콘텐츠 바로가기
  • 檢 '손태승 부당대출' 우리銀 압수수색

    우리은행이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친인척 관련 법인 등에 350억원 상당의 부정 대출을 해줬다는 의혹에 대해 검찰이 강제수사에 들어갔다.서울남부지검 금융조사1부(부장검사 김수홍)는 27일 오전 9시께부터 서울 회현동 우리은행 본점 여신감리부서, 신도림동 신도림금융센터, 역삼동 선릉금융센터 등 사무실 여덟 곳을 압수수색했다고 밝혔다. 사건 관련자 주거지 네 곳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다. 손 전 회장 자택은 제외됐다.우리금융지주 자회사인 우리은행은 손 전 회장의 처남 등 친인척과 친인척이 실제 사용자로 의심되는 차주에게 350억원가량을 부적정하게 대출해줬다는 혐의를 받는다. 허위로 의심되는 서류를 받았는데도 별도 사실 확인을 거치지 않았거나 담보가치가 없는 담보물로 대출을 실행하는 식이었다. 이런 부당 대출은 2020년 4월 3일부터 임종룡 현 회장과 조병규 우리은행장이 취임한 이후인 올 1월 16일까지 약 3년9개월간 지속됐다.수시 검사 과정에서 이런 사실을 발견한 금융감독원은 차주와 관련자에 대해 문서 위조, 사기 혐의 등을 적용했고 조사 결과를 검찰에 넘겼다. 검찰은 부적정 대출이 이뤄진 경위와 함께 손 전 회장을 비롯한 당시 경영진이 이를 직접 지시하거나 인지했는지 들여다볼 예정이다. 우리은행 자체 감사를 통해 대출을 주도한 것으로 적발된 임모 전 본부장 등 여덟 명은 면직 처리됐다.장서우 기자

  • 국민연금, 국내 부동산 ‘투자 시동’…대출·핵심 입지에 1.4조 집행

    국민연금, 국내 부동산 ‘투자 시동’…대출·핵심 입지에 1.4조 집행

    국민연금공단이 국내 부동산 출자에 시동을 걸었다. 부동산 대출, 코어(핵심) 권역 투자 펀드로 나눠 1조3500억원을 집행할 계획이다.국민연금은 9일 국내 부동산 투자 위탁운용사 선정 계획을 공고했다. 대출형(Debt) 펀드와 코어 플랫폼 펀드에 각각 6000억원, 7500억원을 집행한다. 대출 펀드 위탁운용사는 2개사, 코어 플랫폼 위탁운용사는 3개사를 뽑을 예정이다.국민연금의 대출 펀드는 국내 상업용 부동산 대출에 투자해야 한다․ 담보인정비율(LTV)은 70% 이상으로 설정됐다. 주거용 부동산엔 투자할 수 없다. 목표 수익률은 연 6.1%로 설정됐다. 선순위 대출 금리가 5% 초반까지 내려와 목표 수익률을 달성하려면 다른 자산군을 섞어줘야 한다. 때문에 국민연금은 우선주 투자를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우선주 LTV는 85%까지로 설정됐다. 중순위 대출이나 우선주는 전체 30% 이내에서만 투자 가능하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경우 선순위 대출만 할 수 있다. 인허가를 완료해야 하며 브릿지론엔 출자할 수 없다.국민연금이 출자하는 코어플랫폼 펀드는 단순 오피스, 호텔 뿐만 아니라 뉴 이코노미 섹터를 최소 30% 이상 투자하도록 했다. 뉴 이코노미 섹터란 산업 발전에 따라 새롭게 부상하는 섹터를 의미한다. 정보기술(IT) 분야의 발달에 따라 데이터 사용량이 늘어나며 각광받는 데이터센터(IDC)가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도심형 물류센터, 셀프 스토리지, 라이프 사이언스 등도 관심 받는 자산으로 꼽힌다. 오피스는 건물 가치를 제고할 수 있거나 저평가된 자산만 투자할 수 있도록 했다.국민연금이 새로운 부동산투자실장을 선임한 뒤 처음 실시하는 출자 사업이다. 지난해 12월 국민연금에 입성한 안준상 부

  • SC제일은행 '티메프사태' 피해업체 지원

    SC제일은행이 티몬·티몬월드·위메프의 매출을 담보로 선정산대출을 받은 입점업체를 대상으로 만기 연장과 연장에 따른 이자를 지원한다고 5일 발표했다. SC제일은행은 선정산대출 상품인 ‘파트너스론’ 만기를 3개월 연장하고, 정산 지연에 따른 대출 이자와 3개월 만기 연장분 이자를 전액 지원하기로 했다. 선정산대출 연체로 신용점수 하락 등의 불이익도 없게 할 방침이다. SC제일은행의 선정산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1050억5000만원이다.선정산대출은 입점업체가 전자상거래(e커머스) 플랫폼 운영사로부터 받을 정산 예정 금액을 은행이 선지급하는 금융상품이다. 나중에 e커머스 업체가 판매 대금을 지급하면 자동으로 대출이 상환되는 구조다. 정산일까지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영세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유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출시됐다. 하지만 자금난에 빠진 티몬·티몬월드·위메프가 지난달부터 정산을 중단하면서 선정산대출을 받은 입점업체가 대출을 갚지 못하는 상황에 부닥쳤다.선정산대출 잔액이 25억9000만원인 국민은행은 지난달 25일부터 입점업체들이 보유한 대출에 대해 최장 6개월까지 원리금 상환을 유예할 수 있도록 했다.정의진 기자

  • 연체 쌓이는 지방銀…금융위기때보다 심각

    연체 쌓이는 지방銀…금융위기때보다 심각

    지역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온 지방은행이 ‘연체의 늪’에 빠졌다. 고금리 장기화 속에 지방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줄폐업에 내몰린 지방 자영업자와 건설·제조·유통기업이 갚지 못한 빚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에 따른 후유증도 고스란히 부실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대출 상환 유예와 같은 일회성 대증요법이 아니라 말라붙은 지방 경제를 살리기 위한 지원 대책을 내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부산·대구·경남·광주·전북·제주 등 지방은행 6곳의 올해 1분기 연체 대출액은 1조3771억원으로 집계됐다. 금감원이 관련 통계를 공개한 2008년 이후 최대치다. 코로나19 사태로 경기가 움츠러든 2020년 1분기(9855억원)보다 심각한 상황이다. 자영업자는 빚 수렁에 빠졌다. 지방은행 6곳의 개인사업자 대출 평균 연체율은 0.86%로 금융위기 때인 2008년 4분기(0.84%)를 웃돌았다. 가계 대출 연체율도 역대 가장 높은 수준(1.01%)이다.지방은행의 주요 건전성 지표가 ‘최악’을 가리키는 것은 고금리 기조가 꺾이지 않으면서 지방 자영업자를 비롯해 기업들까지 한계에 부딪힌 영향이다. 한 지방은행 여신 담당 부행장은 “지방을 직접 둘러보면 체감 경기가 살얼음판 수준”이라며 “가계는 물론 줄폐업 위기에 놓인 자영업자까지 지역에서 느끼는 연체 공포는 상상 이상”이라고 했다. 올 들어 지방은행의 대출 연체 증가 속도가 한층 가팔라진 점도 우려되는 대목으로 꼽힌다.박재원/김보형 기자 

  • 홍콩ELS 손실 턴 은행, 2분기 '실적 반등'

    홍콩ELS 손실 턴 은행, 2분기 '실적 반등'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사태에 발목이 잡혔던 은행권이 올해 2분기 실적 개선에 성공할 전망이다.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하반기로 밀린 가운데 가계·기업대출이 늘어나면서다. 은행권은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정책 및 연체율 관리가 향후 실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17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KB 신한 하나 우리 등 4대 금융지주의 2분기 합산 당기순이익 예상치는 4조5041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2분기(4조2813억원)보다 5.2%(2228억원) 증가한 수치다.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등 4대 은행이 홍콩 ELS 자율배상 비용 1조3234억원을 충당부채로 실적에 반영한 1분기(4조2286억원)에 비해선 6.5%(2755억원) 늘었다.4대 금융지주의 올 상반기 합계 순이익 전망치는 8조7327억원으로 역대 최대였던 작년 상반기(9조1939억원)보다 5.0%(4612억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일회성 비용인 홍콩 ELS 충당부채를 제외할 경우 4대 금융의 상반기 순이익 추정치는 10조561억원으로 작년 실적을 웃돈다.2분기 실적 개선은 대출 증가세가 주도했다. 지난 4~5월 은행 대출 순증액은 29조8000억원으로 1분기 순증액(28조6000억원)을 두 달 만에 넘어섰다. 부동산시장이 회복되면서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5월 은행 가계대출 순증액 6조원 가운데 95%인 5조7000억원을 주담대가 차지했다.2분기 순이익 규모가 가장 큰 ‘리딩 금융’ 타이틀은 KB금융이 차지할 것으로 관측된다. KB금융의 2분기 순이익은 전분기(1조491억원)보다 38.0%(3997억원) 증가한 1조4488억원으로 추산된다. KB금융은 국민은행이 1분기 홍콩 ELS 충당부채를 은행권에서 가장 많은 8620억원 적립한 탓에 신한금융에 순이익 1위 자리

  • 증권사 부동산PF 연체율 또 17%대…대출잔액도 증가

    증권사 부동산PF 연체율 또 17%대…대출잔액도 증가

    반년여간 감소세를 보였던 증권사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이 다시 증가했다. 2020년 말과 2021년 말에 비하면 거의 다섯배 수준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5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증권사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17.57%로 작년 12월말(13.73%)보다 3.84%포인트 높았다. 증권사의 PF 연체율은 2021년말 3.71%에서 2022년말 10.38%로 급증했다. 작년 6월말엔 17.28%로 17%대를 찍고 작년 3분기부터 수개월간 줄었다가 또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증권사 PF 연체율은 2020년 말엔 3.37%, 2021년 말엔 3.71%였다. 지난 3월 말 기준 증권사의 부동산PF 대출잔액 규모는 8조7000억원으로 전 분기에 비해 약 9000억원 늘었다. 각 40조원대 규모인 은행·보험 등 여타 금융권에 비해선 잔액이 적은 편이나 증권사의 경우 대부분 대출이 중후순위라 더 위험성이 높다는 게 중론이다. 중후순위 대출은 변제 우선순위가 선순위 대출에 밀리기 때문에 디폴트(채무 불이행)가 발생할 경우 돈을 회수할 가능성이 낮아서다. 특히 중소형 증권사들은 위험부담이 높은 사업초기 브릿지론과 중후순위 PF 사업 확장 익스포져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금융권 전반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지난 3월말 기준 3.55%로, 작년 12월말(2.70%) 대비 0.85%포인트 올랐다. 금감원 관계자는 "증권사 연체율 수치가 외견상 유독 높게 나타난 것은 계산법 영향이 크다"며 "채무보증을 하지 않는 여타 금융권과 달리 증권사는 채무보증의 규모가 대출채권 규모보다 더 큰데, 현행 연체율 계산은 금융업계 일괄로 대출채권만을 포함해 계산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체 금액을 대출채권 규모로 나누는 현행 산식이

  • 프린시플대체투자 "중소·중견기업 대출 잠재력에 주목"

    프린시플대체투자 "중소·중견기업 대출 잠재력에 주목"

    중하위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한 직접 대출(middle market Direct Lending) 시장이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시장 규모는 작지만 높은 수익률과 낮은 리스크를 기대할 수 있단 분석이다.프린시플대체투자운용(Principal Alternative Credit)은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투자는 수익률과 분산 투자란 장점을 바탕으로 신디케이트론 등보다 높은 매력을 갖고 있다”며 “특히 중하위 중소·중견기업이나 핵심 유망 기업에 대한 직접 투자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프린시플대체투자운용은 상각전영업이익(EBITDA) 500만~1500만 달러 규모의 기업으로 구성된 중하위 시장(Lower-middle market)에 투자하는 운용사다. EBITDA 1500만~5000만 달러 규모의 기업을 대상으론 리스크를 감수하고 높은 수익률을 좇는 투자 방식을 추구한다.프린시플대체투자운용에 따르면 중소·중견기업 대상 직접 대출은 신디케이트론(BSL)이나 하이일드 채권 등의 다른 투자처보다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중소·중견기업 대상 직접 대출의 수익률은 약 9%로 집계됐다. 하이일드 채권 수익률보다 약 3%포인트 높은 수준이었다.중소·중견기업 가운데 상위권에 위치한 기업의 경우 다수의 운용사가 투자할 기회를 엿보고 있는 만큼 상호 경쟁이 치열하다는 분석이다. 투자 기회를 확보하기 위해 더 낮은 수익률을 감수해야 하거나 다수의 투자자와 공동으로 투자해 수익을 나눠 가져야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반면 중하위 중소·중견기업 대출 시장은 상대적으로 경쟁이 덜 치열한 것으로 평가됐다. 많은 대출기관이 더 많은 자본을 투자하기 위해 더 규모가 큰 시장으로 눈

  • 충당금 확대에 DGB금융 1분기 순이익 33.5% 감소

    충당금 확대에 DGB금융 1분기 순이익 33.5% 감소

    DGB금융지주는 올해 1분기 순이익 1117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일 발표했다. 1분기 기준 최대 순이익을 낸 지난해(1680억원)보다 33.5% 감소했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충당금이 확대된 게 영향을 미쳤다.시중은행 전환을 추진 중인 대구은행의 1분기 순이익은 1195억원으로 작년보다 6.5% 줄었다. 미래 부실에 대비한 대손충당금을 작년보다 54.9% 늘린 1035억원을 적립하면서다. 1분기 이자이익은 3876억원으로 전년보다 7.1% 증가했다. 대출과 예수금은 지난해에 비해 10%와 9.2% 늘어나는 등 자산도 성장세를 이어갔다. 비은행부문 실적은 악화됐다. 하이투자증권은 1분기 순이익이 -49억원으로 적자전환했고, DGB캐피탈은 전년보다 34.6% 줄어든 134억원의 순이익을 냈다.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 저축은행 줄폐점…서민금융 문턱 높아졌다

    저축은행 줄폐점…서민금융 문턱 높아졌다

    국내 대표 서민금융회사인 저축은행이 쪼그라들고 있다. 저축은행 점포는 최근 3년여간 30개 넘게 줄었다. 저축은행 여신 규모는 지난해 2월부터 1년 넘게 감소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저축은행의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서민금융 공급에 차질을 빚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올 들어 점포 다섯 곳 폐쇄23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에 저축은행 점포 다섯 곳이 문을 닫았다. SBI(강남·전주지점) 신한(여의도) JT친애(이수역) 페퍼(분당여신전문출장소) 등이 점포를 통폐합했다. 상위권 저축은행의 수도권 지점마저 문을 닫은 셈이다. 올 1분기 신규 개설된 점포는 한 곳도 없다.저축은행 점포 폐쇄는 최근 몇 년간 이어지는 추세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저축은행 점포는 271개로, 2020년 말(304개)과 비교해 33개 줄었다. 비대면 금융 거래가 늘면서 오프라인 점포 필요성이 떨어진 결과다.작년 저축은행 업권이 적자로 돌아서면서 비용 절감 필요성이 커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저축은행 점포가 일곱 곳 줄어든 것과 비교하면 올 1분기(다섯 곳 폐쇄) 축소세가 확연히 빨라졌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인건비와 임차료 등 고정비를 줄이는 식으로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고 말했다. 위협받는 서민금융문제는 오프라인 점포가 줄어들면 고령층 등 금융 소외 계층의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지난해 시중은행의 점포 폐쇄와 관련해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어려운 시기에 노인 등 소외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제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직격탄을 날렸다.저축은행은 제1금융권과 비교해 금융 소외 계층 고객 비중이 높다. 또 지역 기반 영업을 해

  • "은행 고금리 부당"…금융민원 4배 증가

    고금리가 이어지며 은행의 대출 금리와 관련한 금융 민원이 작년 네 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은행의 대출 금리가 부당하다며 접수된 민원은 지난해 3141건으로 전년(798건) 대비 2343건(293.6%) 늘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아파트 중도금 대출 가산금리에 대한 불만 민원이 다수였다”고 설명했다. 작년 은행을 상대로 제기된 전체 금융 민원은 1만5680건으로 전년(1만904건) 대비 43.8%(4776건) 증가했다.지난해 신용카드·저축은행 등 중소서민업권에선 2만514건의 민원이 들어왔다. 전년(1만5704건) 대비 4810건(30.6%) 늘었다. 업종별로는 신용카드사(45.4%), 신용정보사(12.6%), 대부업자(12.0%), 신협(9.6%), 저축은행(8.5%) 순이었다.최한종 기자

  • 건설업 침체에 은행권 '깡통 대출' 급증

    부동산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건설·부동산업을 중심으로 은행권의 무수익여신이 증가하고 있다. 무수익여신은 은행이 원금은 물론 이자조차 받지 못하는 이른바 ‘깡통 대출’을 말한다. 건설·부동산 대출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17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은행의 지난해 말 무수익여신은 총 3조5207억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 말(2조7900억원)에 비해 26.2%(7307억원) 증가했다.신한은행을 제외한 네 곳 모두 무수익여신은 두 자릿수 증가를 나타냈다. 농협은행의 작년 말 무수익여신은 7682억원으로 전년 말(5130억원)보다 49.7%(2552억원) 늘어나 증가폭이 가장 컸다. 국민은행도 같은 기간 무수익여신이 5221억원에서 7498억원으로 43.6%(2277억원) 불어났다. 하나은행은 6521억원에서 8678억원으로 33.1%(2157억원), 우리은행은 4701억원에서 5289억원으로 12.5%(588억원) 늘었다. 신한은행만 6327억원에서 6060억원으로 4.2%(267억원) 감소했다.5대 은행이 공개한 ‘거액 무수익여신 증가업체 현황’에 따르면 건설·부동산 업체들의 부도 및 채무 불이행이 무수익여신 증가를 이끌었다. 국민은행은 부동산업을 하는 A업체가 이자를 내지 못하면서 무수익여신이 1년 새 645억원 증가했다. 하나은행도 토목 시설물 건설업체인 B사가 빚을 갚지 않아 무수익여신이 604억원 발생했다. 우리은행은 아파트 건설업체인 C사가 구조조정 대상인 신용평가 D등급을 받으면서 무수익여신 720억원이 새로 잡혔다. 농협은행은 무수익여신이 420억원으로 가장 많이 늘어난 회사가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에 들어간 건설사였다.한 시중은행 리스크관리부문장은 “앞으로

  • HUG보증에도 대출 안나와…30조원 지원 '유명무실'

    HUG보증에도 대출 안나와…30조원 지원 '유명무실'

    정부가 공적 보증 규모를 확대하는 등 프로젝트파이낸싱(PF) 지원책을 내놓고 있지만, 시장에선 체감 효과가 낮다는 반응이 나온다. 금융당국이 건전성 관리를 강조하면서 실제 대출을 내줘야 할 금융권이 소극적 태도를 보이고 있어서다.4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달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 한국주택금융공사(HF)의 PF 사업자 보증 규모를 25조원에서 30조원으로 5조원 늘리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앞서 비주택 PF 보증을 신설하거나 분양가 5% 할인 요건을 폐지하는 등 PF 보증 요건을 완화하겠다는 대책도 내놨다.하지만 건설업계에선 실효성에 의구심을 보이는 시각이 적지 않다. 한 개발업체 관계자는 “지방의 한 주택 사업장은 공적 기관이 보증했는데도 금융권 대출을 받는 데 애를 먹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사가 자기자본을 좀 더 확보해야 한다는 식의 추가 조건을 다는 경우가 있어서다. 금융사나 지점별로 대출한도를 정해 놓은 사례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건전성 강화 시그널을 보낸 이후 일선 금융권에서 대출을 걸어 잠그고 있어 공적 보증 확대 지침이 무색해지고 있다는 평가다.여전히 높은 금리도 건설업계엔 부담이다. 공적 보증을 바탕으로 대출이 나오더라도 연 5% 안팎의 금리(본PF)가 책정된다고 한다. 한 시행사 대표는 “일부 금융사는 PF 대출을 내주더라도 고정금리로만 계약한다”며 “미국 중앙은행(Fed)이 연내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인데, 현재의 높은 금리 수준을 계속 유지하려는 처사”라고 토로했다. 업계에선 정상 사업장에라도 1금융권이 유동성 제공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HUG가 사

  • 하나은행 "기업대출 늘려 리딩뱅크 수성"

    하나은행 "기업대출 늘려 리딩뱅크 수성"

    하나은행이 기업대출을 앞세워 공격적인 대출자산 확대에 나섰다. 정부의 가계빚 억제 방침에 따른 가계대출 감소분을 기업대출로 만회하겠다는 전략이다. 하나은행은 2022년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 취임 이후 기업금융을 강화해 처음으로 은행권 순이익 1위에 올랐다.23일 은행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올해 기업대출 확대를 통해 자산을 17조원가량 늘린다는 방침을 정했다. 작년 3분기 말 507조원(신탁자산 제외) 수준인 자산 규모를 신한은행(510조원)보다 키우겠다는 얘기다. 하나은행은 연초부터 만기가 돌아온 기업대출을 연장하는 등 우량 고객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 법인 신용카드 가입과 외환거래 확대 등 부수 거래를 통해 기업대출의 수익성도 높인다는 전략이다.하나은행은 작년에도 5대 은행 가운데 기업대출 성장세가 가장 가팔랐다. 하나은행의 작년 12월 기업대출 잔액은 157조9412억원으로 2022년 말(137조8962억원)보다 14.5% 증가했다. 액수로는 1년 새 20조원 넘게 불어났다. 국민(7.7%, 12조5483억원) 신한(6.1%, 8조8973억원) 우리(10.3%, 13조2777억원) 농협(6.9%, 8조8709억원) 등 5대 시중은행 가운데 증가율과 증가액 모두 1위였다.하나은행은 기업대출 가운데서도 우량 자산으로 꼽히는 대기업 대출을 늘렸다. 하나은행의 지난해 12월 대기업대출 잔액은 27조7623억원으로 2022년 말(21조2068억원)에 비해 30.9% 증가했다.하나은행의 기업 중심 대출자산 확대 전략은 실적 개선으로 이어졌다. 2022년 ‘리딩뱅크’(1등 순이익 은행)에 오른 하나은행은 지난해 3분기까지 2조7664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해 국민은행(2조8554억원)을 바짝 뒤쫓고 있다. 같은 기간 하나은행의 순이익 증가율은 23.3%로 국민은행(12.0%)을

  • 태영發 '유동성 리스크' 차단…PF대출 보증 25조 적기공급

    태영건설발(發) 건설업계 유동성 리스크가 확산하는 가운데 정부가 25조원 규모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보증의 적시 공급과 저금리 대출 대환 상품 출시 등 자금 흐름 개선 대책을 내놨다.국토교통부는 10일 이 같은 내용의 ‘건설산업 활력 회복 방안’을 발표했다. 먼저 정상 사업장이 원활하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공적 PF 대출 보증 25조원을 차질 없이 공급하기로 했다. PF 대출 대환보증도 신설한다. 무보증 고금리로 PF 대출을 받은 사업장이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PF 보증을 통해 저금리 대출로 갈아탈 수 있게 된다.단기 자금인 건설사 보증 PF-ABCP(자산유동화기업어음)를 장기 대출로 전환하는 보증 프로그램도 3조원에서 5조원으로 증액한다. PF 대출 시 부가되는 건설사의 책임 준공 의무에 대한 이행 보증도 확대(3조원→6조원)한다. 비주택 PF 보증도 3조원에서 4조원으로 늘린다. 사업 추진에 애로를 겪고 있는 민간 사업장은 LH가 사업성 등을 검토해 매입 후 정상화를 추진한다. LH는 이를 공공주택사업으로 전환해 직접 시행에 나서거나 다른 시행사·건설사에 매각할 예정이다.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을 조기 집행해 ‘일감’을 공급하는 식으로 건설사에 유동성을 공급하겠다는 구상도 담겼다. 국토부는 올해 집행 관리 대상 예산 56조원 중 19조8000억원(35.5%)을 올해 1~3월 집중 투자할 방침이다.이인혁 기자

  • 금리인하기 역발상 투자…은행株 '재조명'

    금리인하기 역발상 투자…은행株 '재조명'

    은행주들이 연초부터 대거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올해 각국 중앙은행이 금리를 내릴 것이란 분석이 나오면서 은행주의 실적 둔화 가능성이 제기됐다. 하지만 증권가에선 지금이 은행주 매수 적기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금리 인상이 대체로 은행주에 악재로 인식되지만 경기 침체 상황에선 오히려 긍정적인 요소가 적지 않다는 설명이다. 상대적으로 △부동산 투자 기대 수익률이 높아지고 △대출이 늘고 △가계부채 부실 우려가 작아질 수 있다는 점 등이 그렇다. 여기에 배당 효과도 기대해볼 만하다.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주요 은행주로 구성된 KRX은행지수는 올해 들어 4.6% 하락했다. KB금융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등 주요 은행주의 주가가 모두 연초부터 내리막을 걷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올해 세 차례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다. 기준금리가 낮아질수록 예금과 대출 이자 차이가 줄어 순이자마진(NIM)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하지만 최근과 같은 경기 침체 상황에선 금리 인하가 오히려 은행주에 긍정적이란 분석이 나온다. 금리 인하가 주택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면 부동산 시장에 유동성이 늘어나 은행의 NIM도 개선될 여지가 생긴다.오는 3월 배당을 노리는 매수세도 점차 증가할 전망이다. 앞서 투자자가 배당금을 확인하고 투자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정부 방침에 따라 주요 금융지주가 결산배당 기준일을 연말에서 ‘배당금 확정 이후’로 바꿨다. 결산배당에만 정부 방침이 먼저 적용되면서 ‘작년 결산배당’과 ‘올해 1분기 배당’ 기준일 시기가 겹치는 현상도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4대 은행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