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여의도 파크원은 어떻게 부동산 금융의 바이블이 됐나 [마켓인사이트]

    여의도 파크원은 어떻게 부동산 금융의 바이블이 됐나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7월14일(08:2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도대체 저기가 어디죠?"지난 3월 그래미 어워드에서 방탄소년단(BTS)의 무대가 등장하자 전세계 팬들의 질문이 폭주했다. 화려한 도심 야경이 내려다보이는 마천루 꼭대기에 수백개의 조명이 설치됐고 드론이 아찔한 높이의 상공을 날아다니며 공연을 중계했다. 유튜브에서 조회수 3300만여회를 기록한 이 영상 덕분에 촬영지인 여의도 파크원 타워는 '핫플레이스'로 떠올랐다. 10년 동안 흉물로 방치됐던 철골 구조물이 글로벌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다. ◆국내 자본 2조여원 투입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파크원이 이달 완공 1주년을 맞았다. 이곳에 들어선 현대백화점 '더현대서울'은 지난 달 개장 100일 만에 매출 2500억원을 돌파했다. 이 건물에 위치한 페어몬트 앰배서더 호텔은 인기 드라마 '펜트하우스' 세트장으로 사용되며 연일 화제몰이 중이다. 흉측하다고 세간의 눈총을 받았던 빨간 기둥은 전위적인 건축물이라고 호평받기에 이르렀다. 불과 몇 달새 벌어진 일이다. 파크원은 2010년 토지 소유주인 통일교 재단과 시행사의 지상권 소송으로 약 10년 간 공사가 전면 중단됐던 프로젝트다. 사업 불확실성에 종교적인 문제까지 얽히면서 수차례 좌초 위기를 맞았다. 미래에셋, 하나금융그룹, KB국민은행 등 내로라하는 금융회사가 뛰어들었다가 모두 두 손을 들고 포기했다. 사업비만 2조6000억원이 드는 초대형 개발사업이라는 점도 부담이었다. 다들 해외 투자자를 유치하지 않고선 불가능하다고 했다. 독특한 디자인 때문에 중국 자본이 투입됐다는 소문이 돌

  • 메리츠증권, 수천억 규모 르메르디앙호텔 부지 개발 사업 PF 조달한다

    메리츠증권, 수천억 규모 르메르디앙호텔 부지 개발 사업 PF 조달한다

    메리츠증권이 현대건설과 부동산개발회사 웰스어드바이저스가 인수하는 서울 역삼동 르메르디앙서울호텔 부지 개발사업의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조달을 담당한다. PF 조달 규모는 5000억원 이상일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컨소시엄에 참가한 다른 금융기관들과 함께 대출 구조를 설계하는 작업 등이 진행 중이다. 2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메리츠증권이 주도하는 금융사 컨소시엄은 현대건설의 르메르디앙서울호텔 인수·재건축 프로젝트에 대한 PF 대출 절차를 밟아가고 있다. 현대건설과 웰스어드바이저스 최근 공동 지분투자 방식으로 르메르디앙서울호텔의 건물과 대지를 전원산업 등 기존 소유주로부터 7000억원에 사들이기로 결정했다. 서울 강남권 역세권에 자리 잡은 대규모 부지에 고급 레지던스를 짓겠다는 게 양사의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PF 대출 규모가 5000억~6000억원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체 인수금액에서 현대건설과 웰스어드바이저스 측의 투자금을 제외하고 추산한 금액이다. PF 대출금을 조달받아 개발사업을 추진하는 PFV(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의 운영과 관리 업무는 부동산투자운용사인 마스턴투자운용이 맡았다. 신논현역 역세권에 자리 잡은 이 호텔은 2017년 9월에 문을 연 5성급 호텔으로 지하 7층~지상 17층, 대지면적 1만362㎡, 연면적(건축물 바닥면적의 합) 60만5661㎡ 규모다. 1995년 리츠칼튼서울호텔로 문을 열었으나 이후 대규모 리모델링공사를 통해 지금의 모습으로 탈바꿈했다. 호텔의 최대 소유주인 전원산업은지난해 초에 발생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사태의 여파로 호텔 운영이 직격탄을 맞게되자 같은 해 4

  • [마켓인사이트][산업 리포트] 거센 구조조정 겪어내고 '부활'한 저축은행에 드리운 또 다른 '그림자'

    [마켓인사이트][산업 리포트] 거센 구조조정 겪어내고 '부활'한 저축은행에 드리운 또 다른 '그림자'

    ≪이 기사는 11월08일(03:4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저축은행들에 2011년은 악몽으로 기억된다. 수면 아래 감춰져 있던 일부 경영진과 대주주의 불법 행위가 도미노처럼 드러났고,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촉발된 부동산 경기 침체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 대거 부실화했다.과도하게 위험을 감수했던 영업 활동의 여파까지 맞물리면서 저축은행은 추풍낙엽처럼 무너졌다. 영업이 정지된 저축은행들은 급하게 제3자에 넘어갔다.2011년 구조조정 이전까지 저축은행 소유자는 주로 개인과 일반 기업이었다. 구조조정을 겪으면서 은행계 금융지주회사와 증권사가 저축은행 인수에 적극 뛰어들었다. 일부 대부업체도 동참했다.구조조정이 마무리된 뒤 저축은행들은 전열을 가다듬었다. 구조조정 과정에서 쪼그라든 자산을 불리기 시작했고 수익성도 개선했다. 이러면서 2014년 6월 말 이후 2019년 6월 말까지 저축은행업은 연평균 10% 이상의 자산 성장세를 기록했다.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업의 순이익은 1조1000억원에 달했다. 구조조정 이후 저축은행업을 이끈 건 외국계와 대부계 저축은행이었다. 적극적인 유상증자로 공격적으로 대출에 나서면서 2016년엔 자산 성장률이 30%를 웃돌았다. 지난해에도 20%를 훌쩍 넘어섰다. 특히 가계와 개인사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가계성 대출이 자산 성장을 견인했다.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2015년 말만해도 저축은행의 가계성 대출은 20조5000억원 정도였다. 전체 대출의 58.5% 수준이다. 올 상반기 말 기준으로는 17조7000억원 증가한 38조2000억원으로 전체 대출의 64.5%를 차지하고 있다.가파른 성장이 한계에 부딪힌 걸까. 올 들어 저축은

  • [마켓인사이트]부산저축銀 캄보디아 시행사 파산선고‥6400억원 회수 ‘급물살’ 탈까

    [마켓인사이트]부산저축銀 캄보디아 시행사 파산선고‥6400억원 회수 ‘급물살’ 탈까

    ≪이 기사는 05월22일(04:4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예금자들의 돈으로 대규모 부실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업을 벌이다가 2011년 잇달아 영업정지를 당한 부산저축은행 및 계열 저축은행들이 캄보디아 부동산 개발을 위해 국내에 설립한 시행사가 파산선고를 받았다. 부산저축은행이 남겨놓은 자산의 상당부분이 캄보디아에 있는 만큼, 이 시행사에 대한 파산선고를 계기로 회수작업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회생법원 제21부(부장판사 전대규)는 지난 16일 부산·부산2·중앙부산·전주·대전저축은행 등 부산저축은행 계열 5개사가 캄보디아에서 대규모 개발 사업을 벌이기 위해 2003년 설립한 ‘랜드마크월드와이드(이하 LMW)’에 대해 파산 선고를 내렸다.  파산 관재인으로는 이정선 변호사가 선임됐다. 법원은 내달 17일까지 LMW에 대한 채권 신고를 받아 오는 7월11일 채권자 집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후 관재인은 LMW의 채권·채무관계 및 보유 자산 내역을 조사해 확정하고 채무 변제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LMW를 설립해 지금까지 대표를 맡고 있는 것은 이상호씨(62·사진)다. 부산저축은행 경영진과 광주일고 동문으로 아주 긴밀한 관계였다. 이 저축은행의 부실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예금보험공사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LMW가 이 대표 산하에 있어 채무 상환에 비협조적이었는데, 파산 선고가 내려지고 관재인이 선임된 만큼 이제부터는 본격적으로 보유 자산 회수하는 업무에 착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회수를 하게 되면 부산저축

  • [마켓인사이트]매각 4수 나선 헌인마을 PF채권...강남 노른자땅 개발 재개될까

    [마켓인사이트]매각 4수 나선 헌인마을 PF채권...강남 노른자땅 개발 재개될까

    13년째 표류중인 서울 서초구 내곡동 헌인마을 개발사업이 재추진된다. 우리은행 등 대주단이 사업부지를 담보로 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채권 매각에 나서면서다.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우리은행과 예금보험공사 등 10곳의 PF대주단이 대출채권 공개매각에 나설 계획이다. 매각 대상은 대주단이 헌인마을 개발사업 시행사인 ㈜우리강남PFV(이하 우리강남)에 빌려준 약 2170억원의 채권이다. 대주단은 오는 7~8일께 매각 공고를 낼 예정이다. 예비입찰 등 매각일정은 4월 중 진행될 전망이다. 매각주관사는 삼정KPMG회계법인이 맡았다.헌인마을 개발사업은 서초구 내곡동 374번지 일대 13만 2379㎡ 부지를 고급 단독주택 단지로 조성하려던 사업이다. 2006년 삼부토건과 동양건설산업이 시공사로, 이들이 출자해 만든 우리강남이 시행사로 참여했다. 우리강남은 사업추진을 위해 우리은행 등 금융권에 전체 토지의 77%인 9만 9455㎡를 담보로 2300억 가량을 대출받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2011년 사업이 좌초됐다. 이 여파로 시공사인 삼부토건과 동양건설산업은 부도를 맞아 법정관리에 들어갔고 매각돼 주인이 바뀌었다. 대주단의 헌인마을 PF채권 매각은 이번이 네 번째다. 대주단은 2015년, 2016년, 2018년 매각에 나섰지만 유찰된 바 있다. 채권자만 3000명에 달하는 900억원 규모의 ABCP(자산담보부기업어음)와 주인이 바뀐 삼부토건과 동양건설산업이 가진 후순위 우선수익권의 존재가 발목을 잡았다. 이에 이번 매각에 앞서 대주단 등은 ABCP 채권자 협상 창구를 단일화했다. 삼부토건과 동양건설산업이 후순위 우선수익권과 우리강남의 출자지분 등을 대출채권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