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인사이트]코로나19 영향서 벗어나나?...서울 A급 오피스 거래대금 분기 역대 최대
올해 3분기 서울 A급 오피스 거래액에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해외투자가 제한된 가운데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시장에 유동성이 풍부해진 여파로 분석된다.글로벌 종합 부동산 서비스 회사 JLL(존스랑라살)코리아는 21일 ‘2020년 3분기 서울 A급 오피스 시장’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서울의 A급 오피스 시장이 상반기 주춤했지만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고, 풍부한 유동성과 핵심(코어) 자산 선호현상이 맞물려 호조세를 이어갈 것이란 것이 보고서의 골자다.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3분기 서울 A급 오피스 거래 금액은 약 6조 2000억원으로 역대 분기 최고 거래 금액을 기록했다. 전분기 대비 150%, 전년 동기 대비는 99% 상승한 수치로, JLL 기준 아시아·태평양 권역 1위다.3분기의 거래건수는 1,2분기보다 더 적었다. 하지만 높은 가격의 우량 자산을 중심으로 투자가 집중되면서 거래액이 급증했다. 3분기엔 1000억원 이상 대형 거래가 10개 이상 성사됐다. 실물 자산 매각 뿐 아니라 수익증권 거래(Share Deal)도 다수 발생하였다.JLL관계자는 "국내 오피스 매매 시장의 호황세에 더해, 코로나19로 인해 의사결정이 지연된 빌딩들을 중심으로 클로징이 이번 분기 다수 이뤄졌다"고 분석했다. 3분기 최대 규모 거래는 서울역 인근에 새롭게 들어선 프라임급 오피스 빌딩인 SG타워다. 파인트리자산운용이 시행사인 PTSG PFV로부터 약 9400억 원에 인수했다. 최대 출자자는 교직원공제회다. 그 외엔 두산그룹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매각한 동대문 두산타워(8000억원), 서대문역 인근 센터포인트 돈의문(6600억원), 국민연금이 매각한 쌍림동
-
CBRE "아시아 주요도시 오피스 입주 기업인 절반, 임대료 재협상 요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한국 일본 중국 등 아시아태평양지역 주요 도심의 오피스빌딩에 입주한 기업인들 가운데 절반 가량이 임대료를 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재협상을 요구했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기업의 타격이 상업용 부동산 시장으로 전이될 경우 부동산과 연관된 금융 부문을 시작으로 전방위 경기 침체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글로벌 부동산 서비스업체 CBRE는 이달 초까지 아시아태평양지역 주요 오피스를 임차한 기업 고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집계됐다고 21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부동산, 기술 및 통신, 은행 등 금융사, 소매업 등 다양한 업종의 기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응답자는 중국(30%)과 대만(11%), 홍콩(9%) 등 중화권을 중심으로 호주(10%)와 일본(5%) 한국(4%) 등의 기업 담당자다. 설문 대상 기업인의 36%는 빌딩 임대료 감면 협의를 진행했고, 24%는 임대료 유예기간을 요청했다고 응답했다. 무상 임대기간의 연장과 핏아웃(인테리어공사 기간) 지원금을 요청했다는 응답도 각각 17%와 15%가량 나왔다. 건물주에게 실제로 구제조치를 받았다는 비율은 29%에 그쳤다. 22%는 일부 임대료 조정 등을 받았으나 더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답했고 나머지 7%는 만족한다고 답했다. 올 하반기 전망에 대해 기업인들은 비즈니스 환경이 나빠질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51%의 응답자는 코로나19 사태로 경제활동에 차질을 빚은 상반기에 비해서도 하반기에 환경이 더 나빠질 것이라고 응답했다. 일본과 호주 기업인들의 70~80% 가량은 하반기에 기업 환경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중
-
1분기 서울 오피스 빌딩 공실률 10.1%
이 기사는 04월19일(10:4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올 초 대형 오피스 빌딩이 잇따라 준공되면서 서울의 1분기말 기준 오피스 빌딩 공실률이 10%를 넘어섰다.19일 글로벌 종합 부동산서비스 업체인 컬리어스인터내셔널에 따르면 2017년 1분기말 서울 오피스 공실률은 지난 분기 대비 1%포인트 높은 10.1%를 기록했다.잠실의 롯데월드타워와 타워730, 수송동 수송스퀘어, 여의도 케이타워 등 대형 오피스 빌딩이 잇따라 준공되면서 공급량이 33㎡만이상 늘어난 탓이라는 게 컬리어스 측의 설명이다. 업게 관계자는 "여의도 국제금융센터(IFC)가 준공돼 공실률이 크게 높아졌던 2012년 3분기와 유사한 상황이 벌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롯데월드타워, 타워730 등이 새로 들어선 잠실 일대는 ‘기타권역’으로 분류된다. 이 지역의 공실률은 전분기 대비 3.5%포인트나 높아진 12.3%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2분기 소셜커머스 업체 쿠팡이 타워730으로 이전할 계획이라 다소 낮아질 가능성은 있다.서울 도심권역(CBD)에선 수평 증축이 끝난 수송스퀘어의 영향으로 공실률이 소폭 오른 11.7%를 기록했다. 대규모 신규 공급이 없었던 강남권역(GBD)은 중국계 기업 등 꾸준한 임차수요에 힘입어 안정세(7.0%)를 지속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유명한 컬리어스 리서치파트장은 “1분기 공급된 오피스 빌딩이 임대 마케팅이 활발히 진행하고 있어, 2분기엔 공실률이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대형 오피스 빌딩 가치에 영향을 주는 명목 임대료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0.7%가 올랐다. 같은 기간동안 물가 상승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