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인사이트] 부영을지빌딩 매각 장기화…하나대체운용 인수 포기
▶마켓인사이트 1월18일 오전 4시16분부영그룹이 보유한 서울 을지로 부영을지빌딩(사진) 매각전이 장기화할 조짐이다. 인수 협상을 벌이던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이 발을 빼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18일 부동산금융업계에 따르면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은 최근 매각 주관을 맡은 컬리어스인터내셔널코리아-에스원 측에 인수가 불가능하다고 통보했다. 독점권을 갖고 협상할 수 있는 기한은 이달 말까지지만 사실상 거래가 무산됐다.부영을지빌딩은 서울 중구 을지로1가에 있는 지하 6층~지상 21층에 연면적 5만4653㎡ 규모의 오피스 빌딩이다. 부영그룹 계열 부영주택이 2017년 초 삼성화재로부터 4380억원에 이 건물을 매입했다. 당시 가격은 3.3㎡당 2650만원으로 이전까지 단위면적당 최고가였던 광화문 센터포인트 빌딩 매매가(3.3㎡당 2606만원)를 넘어섰다.부영주택은 작년 5월 이 건물을 다시 매물로 내놨다. 지난해 3.3㎡당 2800만원대, 4700억원가량을 제시한 이지스자산운용이 우선협상대상자가 됐지만 거래가 무산됐다. 이어서 비슷한 가격으로 협의하던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과의 딜도 이번에 깨진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이 지난해 국내 주요 공제회로부터 위탁받은 부동산 블라인드펀드 자금을 활용하려고 했지만 출자자(LP) 들의 승인을 받는 데 실패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부영주택의 인수 직후 삼성화재는 서울 서초동으로 본사를 옮겼다. 이 때문에 부영을지빌딩의 건물 공실률은 5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영 측이 임차계약을 맺은 뒤 일정 기간 임대료를 면제해주는 ‘렌트프리’ 등의 적극적 마케팅을 하지 않은 것도 공실률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
[마켓인사이트] 삼성화재, 인슈어테크社에 396억 투자
▶마켓인사이트 12월23일 오후 2시11분삼성화재가 인슈어테크(보험+기술) 업체에 400억원가량을 투자한다. 정체된 주가에 활력을 불어넣을 새 성장동력 찾기에 나선 것으로 증권업계는 분석하고 있다.2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화재는 삼성벤처투자가 운용하는 ‘SVIC 44호 금융R&D신기술사업투자조합’(가칭)에 396억원을 출자하기로 했다. 이 펀드는 다음달 결성되며 인슈어테크 업체에 투자할 예정이다.인슈어테크는 기존 보험업에 빅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AI) 등의 기술을 접목한 것이다. 보험사들이 고객 자료를 활용해 맞춤식 상품을 설계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삼성화재는 인슈어테크를 적극 도입하는 차원에서 이 같은 투자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삼성화재 주가는 지난 21일 1000원(0.36%) 내린 27만7500원에 마감하는 등 올 하반기 25만~27만원 선을 맴돌고 있다. 지난 3분기 영업이익이 345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6% 증가하는 등 양호한 실적을 내고 있지만 새로운 국제보험회계기준(IFRS17) 등의 리스크 요인이 주가 발목을 잡고 있다.삼성화재는 앞서 지난 5월 인도네시아 증시에 상장한 현지 손해보험사 TPI에 280억원을 투자해 지분 5.29%를 확보했다. TPI는 지난해 말 총자산 1조1698억원, 지난해 당기순이익 482억원을 기록했다. 역시 새 수익원 마련을 위한 투자로 분석된다.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삼성생명·화재, 1.3兆 삼성전자 지분 '블록딜' 흥행 대박
▶마켓인사이트 5월31일 오후 4시50분삼성생명과 삼성화재가 금산분리법을 준수하기 위해 보유 중이던 삼성전자 주식 총 2700만 주(지분율 0.43%)를 주식시장에서 매각해 1조3163억원을 현금화했다. 삼성전자의 전날 종가(4만9500원)보다 1.5% 할인한 4만8750원에 전량을 파는 데 성공했다.이 같은 할인율은 거래 규모 10억달러(약 1조1000억원) 이상의 시간외 대량매매(블록딜)로는 한국에서는 2010년 이후, 아시아·태평양에서는 2012년 이후 가장 낮은 것이다.3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삼성생명과 삼성화재는 이날 개장 전 보유하고 있던 삼성전자 주식 2298만 주(지분율 0.38%)와 402만 주(0.06%) 등 총 2700만 주를 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했다.▶본지 5월31일자 A1, 14면 참조아·태 지역 기관투자가가 매각 주식의 61%를, 미국과 유럽 기관투자가가 각각 26%와 13%를 사들였다. 45일간 지분을 매각하지 않는 조건이 붙었다. 매각주관사를 맡은 골드만삭스와 JP모간은 투자자 모집에 나설 때만 해도 최대 2.4%의 할인율을 제시했지만 해외 기관투자가에게 인기가 높아 할인율이 낮아졌다. 할인율이 2.4%에서 1.5%로 떨어지면서 삼성생명과 삼성화재는 122억원을 더 벌어들였다.할인율은 블록딜에 나선 매각주관사가 기관투자가를 끌어들이기 위해 매각 가격을 일부 깎아주는 것이다. 할인율이 낮을수록 회사가 벌어들이는 금액은 많아진다. 그러나 매각 규모가 클수록 거래 성사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할인을 많이 해주는 게 일반적이다. IB업계 관계자는 “이탈리아발 글로벌 금융불안 등으로 주식시장이 크게 움츠러든 상황에서도 블록딜이 성공한 것은 삼성전자의 투자 매력이 그만큼 높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블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