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마켓인사이트]롯데카드 매각 계약 코앞(15일)인데..KT 검찰조사 불똥 튀나

     ≪이 기사는 05월13일(15:2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롯데카드 인수전에 황창규 KT 회장에 대한 검찰 조사의 불똥이 튈 가능성이 높아졌다. 공정거래법을 지키려면 롯데그룹은 오는 10월까지 롯데카드를 팔아야 하는데 우선협상대상자인 한앤컴퍼니가 과거 KT와 한 인수합병(M&A) 거래가 검찰 조사대상에 오를 전망이기 때문이다.  13일 금융권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롯데그룹과 사모펀드(PEF) 운용사 한앤컴퍼니는 이르면 오는 15일 롯데카드 매각을 위한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할 계획이다. 지난 3일 한앤컴퍼니를 우선협상자로 선정한 지 7영업일 만이다. 보통 우선협상기간은 한 달이지만 롯데그룹과 한앤컴퍼니는 오는 10월까지 거래를 마무리하기 위해 SPA 체결을 서둘렀다. 롯데그룹은 2017년 10월 지주회사로 전환했다. 일반 지주회사가 금융회사 주식 소유를 금지한 공정거래법에 따라 설립 2년 이내인 오는 10월 중순까지 롯데카드와 손보 등 금융 계열사 지분을 팔아야 한다. 남은 과제는 적어도 2개월 가량이 걸리는 금융당국의 대주주 변경 승인 심사인데 검찰이 황창규 KT 회장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면서 암초를 만났다. 지난 3월말 KT 노조는 2016년 자회사인 나스미디어를 통해 한앤컴퍼니로부터 온라인 광고 대행사인 엔서치마케팅(현 플레이디)을 비싸게 인수해 손해를 

  • [마켓인사이트]롯데칠성음료, 신동빈 사내이사 재선임 추진...국민연금 표향방 촉각

    롯데칠성음료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을 사내이사로 재선임할 예정이다. 과도한 겸임을 이유로 신 회장의 사내이사 선임 안건에 반대한 국민연금이 이번에도 반대표를 행사할지 관심이 쏠린다. 롯데칠성음료는 이달 28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신동빈 회장을 사내이사로 재선임하는 안건을 상정하기로 했다고 6일 공시했다. 신 회장은 현재 롯데지주와 호텔롯데, 롯데케미칼, 롯데제과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롯데쇼핑과 롯데건설,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등 총 8개 그룹 계열사의 사내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국민연금은 2015년과 2017년 신 회장이 계열사 이사를 과도하게 겸직한다는 이유로 롯데케미칼 사내이사 선임 안건에 대해 반대표를 행사했다. 이번 주총에서도 비슷한 이유로 반대표를 던질 가능성이 높다. 신 회장은 현재 형사 재판을 받고 있다는 점도 국민연금의 반대표 행사를 점치는 배경이다.  하지만 신 회장의 재선임 안건은 국민연금 반대에도 통과될 전망이다. 이 회사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이 52.96%에 달하기 때문이다. 국민연금 보유 지분은 10.05%에 머무른다. 롯데칠성음료는 주총에서10대 1의 액면분할을 위해 정관도 고치기로 했다. 이 회사 주식은 현재 100만원이 넘는 ‘황제주’로 유가증권시장 상장 46년만에 처음으로 액면분할을 단행하는 것이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 [단독] 택시 반발 걱정에 '시동' 끈 현대車-롯데 '공유차 연합'

    [단독] 택시 반발 걱정에 '시동' 끈 현대車-롯데 '공유차 연합'

    ▶마켓인사이트 2월12일 오후 3시45분현대자동차와 롯데가 공유자동차 분야에서 연합을 추진했으나 무산됐다. 차량 공유 서비스에 대한 택시업계 반발이 걸림돌로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1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500억원 이상을 투입해 롯데렌탈이 소유한 그린카 지분 10% 이상을 확보하려 했지만 최근 협상이 전면 중단됐다. 현대차의 애초 투자 계획은 그린카 최대주주인 롯데렌탈, 지난해 지분 10%를 사들여 2대 주주가 된 GS칼텍스와 급성장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분야에서 협력하기 위한 포석이었다. 이 협상에 정통한 복수의 관계자는 “대기업들이 뭉쳐 택시업계를 고사시키려 한다는 비판이 나올 수도 있어 협상이 좌초됐다”고 말했다. 글로벌 차량 공유 서비스 우버를 금지하고, 카풀 서비스 허용에도 미온적인 정부 태도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국내 자동차업계가 주춤한 사이 글로벌 완성차업체들은 공유차 시장에 공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독일 다임러는 세계 21개 공유차업체 지분을 사들이는 데 1조원을 쏟아부었다. 도요타, 폭스바겐, 포드 등도 공유차업체들과의 합종연횡을 가속화하고 있다. ‘소유’에서 ‘공유’로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각종 규제와 기득권 반발에 발이 묶인 국내 기업들은 관련 투자를 해외로 돌리고 있다. 현대차와 SK(주)는 지난해 동남아 최대 차량공유 서비스업체인 그랩에 각각 3100억여원과 810억원을 투자했다.이지훈/장창민 기자 lizi@hankyung.com

  • [단독] 편의점 4위 한국미니스톱 인수전… '유통 라이벌' 롯데-신세계 맞붙는다

    [단독] 편의점 4위 한국미니스톱 인수전… '유통 라이벌' 롯데-신세계 맞붙는다

    ▶마켓인사이트 9월18일 오후 4시20분유통업계 맞수인 신세계와 롯데가 국내 4위 편의점 한국미니스톱 인수를 놓고 맞붙었다. 편의점 시장 3위를 지키려는 롯데(세븐일레븐)와 이를 탈환하려는 신세계(이마트24)의 대결 구도로 한국미니스톱 인수전이 전개될 전망이다.1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한국미니스톱의 대주주인 일본 이온(AEON)과 매각주관사인 노무라증권이 이날 실시한 매각 예비입찰에 신세계, 롯데 등 복수의 후보가 참여한 것으로 파악됐다. 매각 대상은 이온이 보유한 한국미니스톱 지분 76.06%와 국내 식품업체 대상그룹이 보유한 지분 20% 등 한국미니스톱의 지분 전량이다.한국미니스톱의 지난해 매출은 1조1852억원으로 국내 편의점업계 ‘빅3’인 GS리테일(편의점 매출 6조2780억원) BGF리테일(5조5850억원) 코리아세븐(3조6986억원)에 이어 4위다. 1990년 이온과 대상이 손잡고 국내 편의점 시장에 뛰어든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보였지만 2016년을 기점으로 가맹점 지원비 등이 늘어나며 영업이익이 급격히 줄었다. 그동안 이온은 무수히 제기된 매각설을 꾸준히 부인해왔지만 지난해 영업이익이 26억원까지 줄어드는 등 수익성이 악화되자 결국 매각을 결심했다.가장 유력한 인수후보는 최근 편의점 사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신세계그룹이 꼽힌다. 신세계는 2013년 편의점업체 ‘위드미’를 인수하며 편의점 시장에 뛰어든 뒤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오고 있다. 2017년 위드미 브랜드를 이마트24로 바꿨다. 위드미 인수 당시 89개에 불과했던 매장 수는 지난해 말 기준 2652개까지 늘어났다. 편의점업계에서는 신세계가 2500여 개 매장을 보유한 한국미니스톱을 인수할 경우 단박에 5000

  • "SK·롯데, 올 IB시장의 중심… 바이오·제약 2년 연속 거래 활발할 것"

    "SK·롯데, 올 IB시장의 중심… 바이오·제약 2년 연속 거래 활발할 것"

    올해 투자은행(IB) 거래(딜)가 가장 많이 나올 그룹으로 SK와 롯데가 꼽혔다. SK는 신사업 모색, 롯데는 승계 관련 거래가 많을 것으로 전망됐다. 업종 중에는 ‘바이오·제약’이 IB 전문가들의 가장 큰 주목을 받았다. 올해 자본시장의 가장 큰 화두는 초대형 IB의 단기금융업무 인가에 따른 직접투자 확대가 될 것으로 관측됐다.◆SK와 롯데가 IB 거래 주도할 듯전문가들은 올해 국내 IB업계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그룹은 SK라고 답했다. SK는 응답자 34.7%의 표를 얻어 1위에 올랐다. 2위인 롯데그룹(17.97%)보다 두 배가량 많은 표를 받았다.SK는 지주회사인 SK(주)를 통해 국내외에서 활발한 투자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 SK브로드밴드 회사채 발행, SK E&S의 발전소 지분 매각 등 계열사별로 다양한 IB 거래에 나서고 있다. 롯데그룹은 지배구조 개편과 자금 조달을 위해 호텔롯데 등 계열사의 기업공개(IPO)를 추진하고 있다.SK는 신성장 발굴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수합병(M&A)에 적극 나설 것 같은 기업 부문에서도 40.45%의 표를 얻어 1위에 올랐다. 최근 CJ오쇼핑과 CJ E&M 합병으로 사업구조 개편을 마무리하고 대규모 투자를 예고한 CJ가 2위(21.35%)를 기록했다. 지난해 인공지능(AI)과 증강현실(VR)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을 연이어 인수한 삼성이 3위(13.48%)에 올랐다.롯데는 경영권 강화와 승계 관련 이슈로 지배구조 개편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될 것 같은 그룹 부문에서 26.87%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은 현대자동차(20.9%), 한화(16.42%), 삼성(8.96%) 순이었다.두산은 재무구조 개선 작업이 가장 시급한 그룹으로 지목됐다. 응답자 가운데 32.94%가 두산에 대해 계열사 매각 등을 통한 자금조달이 필요하다고 분석했

  • 롯데 말레이시아 자회사 타이탄, 공모가 7.6~8링깃 확정

    이 기사는 06월16일(14:3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롯데케미칼의 말레이시아 자회사인 타이탄이 기업 공개(IPO)를 위한 공모가 밴드를 7.6~8링깃(약 2016~2125원)으로 확정했다. 내달 계획대로 상장하면 시가 총액은 5조원 이상이 된다. 국내 대기업이 해외 기업을 인수해 성공적으로 상장한 모범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1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타이탄은 이날 기업공개(IPO) 희망 공모가 밴드를 7.6~8링깃으로 정하고 현지 수요 예측에 나섰다. 구주 없이 신주 7억4048만3000주를 발행하기로 했으며 지분율은 30%다. 초과 배정 옵션을 고려할 경우 32.3%까지 늘어날 수 있다. 크레디트스위스(CS)와 JP모간, 현지 은행인 메이뱅크(Maybank)가 거래를 주관한다.희망 공모가 기준으로 타이탄의 총 공모 규모는 최대 59억2386만링깃(1조 5747억원)이 될 전망이다. 2012년 상장한 말레이시아 최대 위성방송사 아스트로(Astro) 이후 최대 공모 규모다. 당시 아스트로는 IPO를 통해 15억 달러 규모의 자금을 모집했다.따라서 5년만에 말레이시아 공모 시장 '최대어'로 주목을 받고 있다는 게 업계 얘기다. 타이탄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 사업장을 둔 동남아의 대표적인 석유 화학 기업이다. 롯데는 2010년에 이 회사 지분 100%를 1조5000억원에 인수했다. 공모 후 예상 시가총액이 약 5조원에 달하는 것을 감안하면 약 7년만에 기업 가치를 3배 이상 높이는 성과를 내는 셈이다.국내 대기업이 해외기업을 인수한 후 상장한 사례 중에서도 가장 규모가 크고 성공적인 사례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 IB업계 관계자는 "국내 대기업들이 해외 기업을 많

  • 렌터카 1위 롯데렌탈, 두 달 만에 회사채 발행도 ‘흥행’

    이 기사는 05월24일(11:1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국내 최대 렌터카업체 롯데렌탈이 회사채 발행을 위해 수요예측(사전 청약)에서 모집금액의 세 배가 넘는 투자금을 끌어모았다. 실적 개선을 앞세워 6개월 만에 세 차례에 걸쳐 모두 8000억원에 육박하는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2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롯데렌탈이 공모 회사채 총 2000억원어치 발행을 위해 23일 진행한 기관 수요예측에 총 6500억원의 매수주문이 몰렸다. 만기별로 800억원을 발행하기로 했던 2년물에 2100억원, 800억원을 찍기로한 3년물에 3300억원, 400억원 발행을 계획했던 5년물에 1100억원의 수요가 들어왔다. 대표주관사는 신한금융투자와 한국투자증권, 공동주관사는 KB증권이다.이 같은 흥행 성공에 롯데렌탈은 발행규모를 총 3000억원까지 증액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2년물 800억원, 3년물 1400억원, 5년물 800억원을 발행할 계획이다. 발행 예정일은 오는 31일이다.롯데렌탈 수요예측에는 자산운용사 은행 연기금 등 주요 기관투자가들이 골고루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발행사 측에서 예상했던 금액보다 많은 주문이 들어왔다는 후문이다. 2, 3년물 등 상환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은 단기물 중심으로 발행을 하는 데다 렌터카업계 1위라는 시장지배력을 갖고 있는 회사로 투자자들에게 신뢰감을 심어줬다는 평가다. 신용등급은 상위 네 번째인 ‘AA-’다.렌터카업계 경쟁이 심해지는 상황에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며 지난해 수익성을 크게 끌어올렸던 것도 기관들의 투자를 이끌었다. 롯데렌탈은 지난 1분기말 기준 렌터카 인가 대수 기준

  • [크레디트 인사이트]롯데칠성 재무구조에 먹구름 드리운 ‘클라우드’

    [크레디트 인사이트]롯데칠성 재무구조에 먹구름 드리운 ‘클라우드’

    이 기사는 04월13일(05:0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롯데칠성이 2014년 ‘클라우드’를 앞세워 야심차게 진출한 맥주사업이 재무 구조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빚을 내 마케팅 비용을 쏟아붓고도 기존 이익을 갉아먹는 상황을 개선하지 못하고 있어서다.13일 롯데칠성에 따르면 지난해 주류부문 영업이익은 273억원으로 2015년(451억원) 대비 39% 급감했다. 수입 맥주 증가세에 대응하기 위한 마케팅 비용 지출이 이익을 갉아먹었다는 분석이다. 맥주사업 진출 전인 2013년 소주 ‘처음처럼’을 중심으로 올린 주류부문 영업이익은 691억원으로 지난해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롯데칠성은 2014년 4월 ‘클라우드’ 신제품을 출시하면서 하이트진로와 오비맥주가 95%를 점유하는 맥주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2012년 하반기부터 2015년까지 2200억원을 투자해 맥주1공장을 세우고 2014년 한해에만 1118억원의 마케팅비용을 쏟아부었다. 2014년부터 올 상반기까지는 1공장의 두 배 생산능력을 갖춘 2공장에 589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하며 경쟁사들을 긴장시켰다. 하지만 맥주시장의 낮은 성장세와 수입 맥주의 파죽지세는 ‘토종 맥주 삼국지’를 꿈꿨던 롯데칠성의 전략에 차질을 야기하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맥주 수입금액은 2013년 8900만달러에서 2016년 1억8155만달러(약 2070억원)로 3년만에 두 배로 급증했다. 이 기간 주류 대장주 하이트진로의 맥주 매출액은 8727억원에서 8027억원으로 감소했다. 한국주류산업협회는 과당경쟁을 막기 위해 2013년부터 업체별 점유율은 공개하지 않고 있다.&ls

  • 롯데정보통신, 택스리펀드 사업 진출

       이 기사는 03월09일(14:4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롯데그룹 계열사 롯데정보통신이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내국세를 환급해주는 택스리펀드(tax-refund) 사업에 진출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정보통신은 최근 글로벌 내국세 환급 업체인 핀트랙스와 함께 택스리펀드 합작회사를 설립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핀트랙스는 세계 2위 택스리펀드 시스템 운영회사로 33개국에서 사업을 하고 있다.  합작방식은 핀트랙스가 롯데정보통신의 택스리펀드 자회사 큐브리펀드 지분 일부를 인수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정보통신이 지난해 경영권을 인수한 큐브리펀드는 각종 입장시설의 예약·예매 결제서비스와 택스리펀드 사업 등을 하고 있다.  택스리펀드 회사는 사후면세점의 세금 환급을 대행해 주고 수수료 수익을 얻는다. 사후면세점은 외국인 관광객이 산 물건의 세금 일부(부가가치세·개별소비세)를 출국 이전 돌려받을 수 있는 매장이다. 국세청에 따르면 국내 사후면세점은 2011년 2071곳에서 지난해 1만2077곳으로 여섯 배 가까이 늘었다.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 롯데케미칼, 자사주 블록딜 성공…유동성 2150억원 확보

    이 기사는 02월22일(11:0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롯데케미칼이 자사주 전부를 22일 시간 외 대량매매(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했다.롯데케미칼은 이날 오전 자사주 58만3388주(지분율 1.70%) 전부를 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했다. 주당 매각 가격은 전일 종가(38만3500원) 대비 3.91% 할인된 36만8500원으로 총 2150억원 규모다. 국내 기관과 외국인이 모두 관심을 보인 가운데 외국인이 많은 수량을 가져간 것으로 알려졌다.롯데케미칼이 자사주를 판 것은 주식매수청구에 의해 취득한 자사주는 5년 이내 처분해야 하는 자본시장법 규정 때문이다. 이번에 처분한 자사주는 2012년 12월 옛 호남석유화학과 케이피케미칼이 합병할 때 주식매수청구로 취득한 물량이다.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