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인사이트] '아리랑본드'에 꽂힌 골드만삭스
▶마켓인사이트 6월11일 오후 4시35분지난해 5월 200억원짜리 첫 아리랑본드를 찍었던 세계 최대 투자은행(IB)인 미국 골드만삭스가 1년여 만에 다시 1000억원 규모의 아리랑본드 발행에 나선다. 글로벌 금융시장을 이끌고 있는 영미계 투자은행 최초로 아리랑본드를 발행했던 골드만삭스가 발행을 정례화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온다.1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12일 1050억원 규모 아리랑본드를 사모 방식으로 발행할 계획이다.15년물 1000억원, 10년물 50억원어치로 나눠 발행한다. 발행 금리는 연 4% 수준으로 잠정 결정됐다. 신용등급은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가장 높은 ‘AAA’를 받았다. 주로 보험사들이 이 채권 매입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골드만삭스는 지난해 5월 200억원어치 아리랑본드를 발행해 한국 채권 시장에 데뷔했다. 당시는 처음이어서 시범적으로 소액 발행을 했지만 투자 수요가 넉넉한 것을 확인하자 1년여 만에 1000억원대 채권 발행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골드만삭스는 작년부터 자금조달처 다변화 차원에서 한국에서 꾸준히 채권을 발행하겠다는 의사를 보인 것으로 전해진다. 한국 경제의 기초체력이 탄탄해 환변동 위험이 작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화채권은 발행회사가 환변동 부담을 지기 때문에 현지 통화의 안정성이 필수다.원화 강세가 지속되고 있어 원화 채권을 찍어 조달한 자금을 달러로 바꿔가기에 좋은 환경인 것도 아리랑본드 발행에 영향을 줬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지난해 초 1210원 수준이던 원·달러 환율은 1075원20전(11일 기준)까지 내려앉은 상태다.외국 기업의 아리랑본드 발행 여건도 나쁘지 않다. 미국 중앙
-
골드만삭스, 글로벌 승진 인사..국내선 최재준, 김학재 상무 등 3명 포함
이 기사는 11월09일(17:2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미국계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가 9일 글로벌 승진 인사를 단행해 509명을 매니징디렉터(MD)로 선임했다. 국내에서는 최재준, 김학재 채권 담당 상무, 김의준 골드만삭스자산운용 한구총괄 등 총 3명이 승진했다. 9일 골드만삭스는 이날 전세계적으로 승진 인사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지점에서는 DCM(부채자본시장) 분야를 이끌어 온 최재준 상무와 김학재 상무가 MD로 이름을 올렸다. 골드만삭스자산운용 한국 세일즈를 담당해 온 김의준 한국총괄도 포함됐다. 아시아 지역 전체적으로 한국 국적자는 이들을 포함한 총 5명이다. 골드만삭스는 매 2년마다 MD 승진 인사를 단행한다.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이번 인사에서 1980년 이후 출생한 소위 '밀레니얼 세대(Millennials)'가 전체 승진자의 44%를 차지했다. 만 37세 이하의 젊은 인력들이 'IB의 꽃'이라고 불리는 MD에 대거 발탁 된 셈이다. 지난 2015년 MD 인사 당시 1980년대 이후 출생자 비율은 30% 수준이었다. 또 전체 승진자중 17%가 엔지니어링 부문에서 배출된 것도 특징이라는 설명이다. 경력별로는 승진자중 66%가 골드만삭스에서 애널리스트나 어소시에이트 등 주니어 직급에서 시작한 것으로 조사됐다. 21%는 골드만삭스에서 인턴을 거친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드 블랭크페인 골드만삭스 회장은 이날 "신임 MD들은 그동안 회사에서 동료와 고객들에게 눈부시게 헌신했다"며 "새 직급에 올라서서도 성공을 계속 이어가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정소람 기자 ram@hankung.com
-
새 펀드 만드는 골드만삭스PEF 한국서 '제2의 배달의 민족' 찾는다
이 기사는 05월24일(11:0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고령화와 핵가족화 등 우리 사회의 변화속도를 쫓아가지 못하는 서비스 업종에 투자해 소비자와의 간격을 메우겠습니다.”골드만삭스 계열 사모펀드(PEF)인 골드만삭스PIA가 올해 10조원(80억달러)짜리 펀드를 새로 만들어 한국 시장에서도 투자처를 찾아나선다. 골드만삭스PIA는 지난 20여년간 국민은행과 씨앤앰에서부터 배달어플리케이션(앱)인 배달의민족과 부동산 앱 직방까지 우리나라 산업의 전환기마다 새롭게 뜨는 기업을 귀신같이 찾아낸 운용사다. 벌써부터 제2의 배달의 민족과 직방이 어디일지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재현 골드만삭스PIA 한국 담당 대표(사진)는 24일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에서 “이미 존재하는 시장이지만 소비생활의 변화에 비해 서비스 개선 속도는 느린 업종에서 투자처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배달의 민족의 서비스 가운데 하나인 '배민키친'에서 ‘이미 존재하지만 더 개선할 수 있는 업종’의 힌트를 찾을 수 있다. 배민키친은 서울 이태원의 맛집들을 강남지역에 배달전용지점으로 입점시켜 강남에서는 배달의 민족을 통해 즐길 수 있도록 한 서비스다. 단순한 배달앱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더하면 무궁무진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 서비스로 평가된다. 우리 주변의 서비스를 업그레이드하는 아이디어는 직방 등 골드만삭스PIA가 투자한 여러 회사에서도 나타난다. 이 대표는 “물론 새롭게 뜨는 서비스업이 다 유망한 것은 아니다”라며 “오랜 기간 사업을 해 나갈 수 있으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