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09월 11일 07:05 자본 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마켓인사이트]SK하이닉스, 12년만의 해외채권 발행 ‘흥행’…한일 무역갈등 우려 극복
12년 만에 해외 채권 발행에 나선 SK하이닉스가 모집액의 11배가 넘는 투자수요를 확보했다. 반도체업황 부진과 한·일 무역갈등에 따른 실적 부진 우려를 딛고 흥행에 성공했다.

1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가 5년 만기 해외 채권 3억달러(약 3500억원)어치를 발행하기 위해 전날 진행한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해외 196개 기관투자가가 35억달러(약 4조1700억원)의 매수주문을 냈다. 올해 한국기업이 해외에서 발행한 외화채권 중 가장 높은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씨티글로벌마켓증권, 크레디트스위스, BNP파리바가 발행 주관을 맡았다.

SK하이닉스는 폭발적인 수요가 몰리자 채권 발행금액을 5억달러(약 5900억원)로 늘리기로 결정했다. 자금 조달비용도 기대 이상으로 절감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채권 발행금리는 미국 5년 만기 국채금리(연 1.532%)에 1.625%포인트를 더한 연 3.157%로 결정됐다. 희망금리보다 0.275%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이 회사의 글로벌 신용등급은 무디스 기준으로는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9번째로 높은 Baa2(부정적), S&P 기준으로는 가장 낮은 투자적격등급인 BBB-(안정적)다.

한국 반도체산업에 대한 해외 투자자들의 두터운 신뢰를 확인했다는 평가다. SK하이닉스는 글로벌 수요 둔화에 따른 반도체 가격하락,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 등으로 올해 들어 실적이 크게 꺾였다. 이 회사의 지난 상반기 영업이익은 2조4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0% 줄었다. 하반기 들어선 한·일 무역갈등이 심화되면서 영업환경이 더욱 악화될 것이란 우려가 커졌다.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 강화로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잇따랐다.

그럼에도 글로벌 2위 메모리반도체업체로 매년 조(兆) 단위 이익을 내며 양호한 현금창출력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 투자자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내년부터는 반도체업황이 바닥을 찍고 돌아설 것이란 전망이 하나둘씩 나오는 것도 투자심리 회복에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5세대(5G) 통신 상용화 등으로 서버용 반도체 수요가 늘어날 것이란 기대가 형성되고 있다.

IB업계 관계자는 “실적 악화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론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판단한 투자자들이 적극적으로 매수의향을 보였다”며 “해외에서도 인지도가 높은 한국 대기업이면서 비교적 높은 금리를 제공한다는 것도 투자자들의 눈길을 끈 요인”이라고 말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