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인사이트]SK하이닉스, 12년만의 해외채권 발행 ‘흥행’…한일 무역갈등 우려 극복
12년 만에 해외 채권 발행에 나선 SK하이닉스가 모집액의 11배가 넘는 투자수요를 확보했다. 반도체업황 부진과 한·일 무역갈등에 따른 실적 부진 우려를 딛고 흥행에 성공했다. 1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가 5년 만기 해외 채권 3억달러(약 3500억원)어치를 발행하기 위해 전날 진행한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해외 196개 기관투자가가 35억달러(약 4조1700억원)의 매수주문을 냈다. 올해 한국기업이 해외에서 발행한 외화채권 중 가장 높은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씨티글로벌마켓증권, 크레디트스위스, BNP파리바가 발행 주관을 맡았다.SK하이닉스는 폭발적인 수요가 몰리자 채권 발행금액을 5억달러(약 5900억원)로 늘리기로 결정했다. 자금 조달비용도 기대 이상으로 절감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채권 발행금리는 미국 5년 만기 국채금리(연 1.532%)에 1.625%포인트를 더한 연 3.157%로 결정됐다. 희망금리보다 0.275%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이 회사의 글로벌 신용등급은 무디스 기준으로는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9번째로 높은 Baa2(부정적), S&P 기준으로는 가장 낮은 투자적격등급인 BBB-(안정적)다.한국 반도체산업에 대한 해외 투자자들의 두터운 신뢰를 확인했다는 평가다. SK하이닉스는 글로벌 수요 둔화에 따른 반도체 가격하락,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 등으로 올해 들어 실적이 크게 꺾였다. 이 회사의 지난 상반기 영업이익은 2조4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0% 줄었다. 하반기 들어선 한·일 무역갈등이 심화되면서 영업환경이 더욱 악화될 것이란 우려가 커졌다.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 강화로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잇따랐다.그럼에도 글로벌 2위 메모리반도체업체로 매년
-
[마켓인사이트]무디스 “무역분쟁, 日보다 韓에 더 타격”
≪이 기사는 08월26일(15:1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무역분쟁으로 한국이 일본보다 더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의 일본 상품 불매운동보다 일본의 한국 수출상품 규제가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고 판단했다.무디스는 26일 글로벌 거시경제 전망 보고서를 통해 “무역분쟁이 일본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한국에 비해선 작은 정도일 것”이라며 “두 국가간 갈등이 지속될수록 한국 제조업에 부담을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달 한국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인 에칭가스(고순도 불화수소), 포토리지스트(감광액),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에 대한 수출 규제를 강화한 데 이어 화이트리스트(수출 절차 간소화 국가)에서도 한국을 제외하기로 했다. 한국에선 일본상품 불매운동이 확산되는 등 양국 무역관계에 긴장감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최근 한국 정부가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을 연장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무역뿐만 아니라 안보를 둘러싼 갈등까지 확대되고 있다. 마드하비 보킬 무디스 부사장은 “수출여건 약화에 취약한 것을 고려하면 일본과의 무역분쟁은 한국의 단기 경제성장 전망에 더욱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일본 역시 한국의 불매운동과 관광 반대 움직임에 따른 타격을 받고 있지만 한국이 중간재 무역에 차질을 빚는 것보다는 큰 위협은 아니다”라고 말했다.무디스는 무역분쟁에 따른 타격 가능성을 고려해 지난 23일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2.1%에서 2.0%로 낮췄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2.2%에서 2.1%로 하향조정했다. 지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