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넷플릭스 등 OTT가 잠식하는 국내 미디어 시장…가장 큰 수혜자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가 기존 미디어의 역할을 대체할 가능성이 높다는 국내 신용평가사의 전망이 나왔다.나이스신용평가는 13일 OTT 확산으로 인한 국내 미디어 사업자별 신용등급 방향성을 검토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나이스신용평가는 "과거엔 시장 내 각 사업자별 서비스 구분이 플랫폼 제공이나 콘텐츠 제작으로 비교적 명확했지만 OTT 등장으로 사업 간 경계가 모호해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익원도 광고 뿐 아니라 시청자의 구독료 등으로 다양해졌다"고 덧붙였다.OTT는 광고 유무와 정액제 서비스의 제공 여부에 따라 광고형, 혼합형, 구독형, 단편 구매형으로 나뉜다.나이스신용평가는 기존 미디어 사업자의 입지를 크게 위협하는 사업 형태가 구독형이라고 판단했다. 넷플릭스의 사업 형태에 해당한다. 구독형은 전통적 의미의 방송사와 제공 콘텐츠 영역이 중첩되는 데다 독자적인 플랫폼 사업자로 기존 방송 플랫폼의 역할을 상당 부분 대체하기 때문이다. 또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으로 기존 방송 사업자들에 콘텐츠의 질적 향상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봤다.글로벌 OTT 시장 규모는 2019년 기준 460억달러(한화로 약 51조7500억원)다. 오는 2024년까지 연평균 13.4%의 성장을 지속할 전망이다. 국내 OTT 시장 규모는 2019년 기준 8.5억달러 정도다. 올해까지 연평균 21.3%로 성장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OTT는 소비자의 경제적 효용, 광고에서 구독으로 사업자 수익 모델 전환이 확산하면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나이스신용평가는 SBS, JTBC, CJ ENM 등 지상파와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의 신용등급이 중기적으로 하방 압력이 높다고 예상했다. 방송사의 영향력이 저하되면서 광고 매
-
[마켓인사이트]한국판 넷플릭스, 왓챠 NH투자증권 IPO 대표주관사로 선정
≪이 기사는 12월18일(03:2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한국판 넷플릭스’를 표방하는 왓챠가 NH투자증권을 기업공개(IPO) 대표주관사로 선정했다. 1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왓챠는 NH투자증권을 IPO 대표주관사로 선정하고 2021년을 목표로 상장 채비에 나선다. 테슬라(적자기업 요건) 특례 또는 사업모델 특례 상장 등을 검토 중인 것으로도 알려졌다. 왓챠의 누적 투자유치액은 230억원이다. 주요 투자자는 카카오벤처스, 산업은행, 네오플럭스, 아주IB투자 등이다. 2011년 설립된 왓챠는 개인회원들의 별점 데이터를 기반으로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추전해주는 서비스로 출발했다. 영화 마니아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 5억개가 넘는 국내 최다 별점 데이터를 확보했다. CGV는 2300만개, 네이버는 1100만개 수준이다. 2016년엔 왓챠플레이 서비스를 출범했다. 넷플릭스나 웨이브, 티빙처럼 국내외 영화와 드라마를 볼 수 있는 OTT(Over The Top :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다. ‘왕좌의 게임’으로 잘 알려진 HBO를 비롯해 디즈니, 소니픽쳐스, BBC 등 해외 대형 배급사와 CJ E&M, JTBC 등 국내외 50여개 공급사와 계약을 맺고 5만 편 이상 콘텐츠를 제공 중이다. 누적 회원수는 500만명이며 모바일 앱(응용프로그램)은 250만회 이상 다운로드됐다. 중소벤처기업부와 기술보증기금은 지난 7월 왓챠를 ‘차세대 유니콘(1조원 이상 기업가치가 있는 벤처기업)’으로 선정하기도 했다.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