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팩토리용 AI업체 트윔에 7.6兆 ‘뭉칫돈’
스마트팩토리용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와 검사기기 제조업체인 트윔이 상장 전 진행한 일반청약에서 7조원이 넘는 증거금을 끌어모았다. 2200 대 1이 넘는 경쟁률을 보이며 흥행에 성공했다.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트윔이 지난 8일부터 이틀간 진행한 일반청약에 약 7조6052억원의 증거금이 몰렸다. 청약 경쟁률은 2266.8 대 1이었다. 1627 대 1의 경쟁률을 보인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에 이어 투자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2010년 설립된 트윔은 AI를 적용한 스마트팩토리용 검사 소프트웨어와 검사기기를 제조하고 있다. KGC인삼공사와 삼성SDI, CJ제일제당 등이 고객이다. 스마트팩토리 관련 장비 제어 소프트웨어 납품처까지 합하면 45개 기업이 트윔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 상반기 매출 150억원, 순이익 32억원을 냈다. 매출은 6개월 만에 작년 전체(182억원)의 82%를 채웠고, 순이익은 이미 작년 실적(29억원)을 넘어섰다.공모 절차를 성공적으로 마친 트윔은 오는 17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공모가격(2만2000원) 기준 시가총액은 1588억원이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스마트팩토리용 AI업체 트윔에 32兆 이상 몰려
스마트팩토리용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와 검사기기 제조업체인 트윔에 32조원이 넘는 기관투자가 자금이 쏟아졌다. 기관들의 러브콜에 힘입어 1600억원에 가까운 몸값으로 증시에 입성하게 됐다.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트윔이 지난 2~3일 진행한 수요예측에 1672개 기관이 참여해 32조원 이상의 주문을 넣었다. 청약 경쟁률은 1627.3 대 1이었다. 참여 기관 중 1545곳이 희망가격(1만7800~2만400원) 상단을 초과하는 가격을 주문을 넣었다.트윔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해 공모가격을 희망가격 상단보다 높은 2만2000원으로 확정했다. 최종 공모가격 기준 공모 규모는 268억원, 시가총액은 1588억원이다. 2010년 설립된 트윔은 AI를 적용한 검사 소프트웨어와 검사기기를 제조해 다양한 분야의 제조업체에 판매하고 있다. KGC인삼공사와 삼성SDI, CJ제일제당 등이 트윔 제품을 사용 중이다. 스마트팩토리 관련 장비 제어 소프트웨어 납품처까지 합하면 45개 기업을 고객으로 두고 있다. 이 회사는 올 상반기 매출 150억원, 순이익 32억원을 기록했다. 6개월만에 작년 전체 매출(182억원)의 82%를 거뒀고, 순이익은 작년 실적(29억원)을 이미 넘어섰다.기관 수요예측을 마친 트윔은 오는 8일부터 이틀간 일반청약을 진행한다. 모집물량은 30만5000주다. 상장 대표 주관사인 대신증권을 통해 청약할 수 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엔비디아, '메타버스 수혜' 분석에 주가 12% 급등
GPU(그래픽처리프로세서), AI(인공지능) 반도체 전문 엔비디아가 '메타버스 수혜주'란 분석에 12% 급등했다. 메타(舊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메타버스 투자를 본격화하면서 엔비디아의 AI(인공지능) 칩 수요가 커질 것이란 전망이다. 엔비디아의 메타버스 플랫폼 '옴니버스'에 대한 성장성도 인정 받고 있다. 4일(현지시간) 엔비디아 주가는 전일 대비 12.04% 오른 298.01달러에 마감했다. 시가총액(7450억달러)은 버크셔해서웨이를 제치고 세계 7위에 올랐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26일엔 대만 TSMC를 누르고 전 세계 반도체 기업 중 시총 1위 타이틀을 갖게 됐다. 증권사들이 엔비디아의 메타버스 사업 경쟁력에 높은 점수를 준 영향으로 분석된다. 웰스파고는 이날 엔비디아의 목표주가를 기존 245달러에서 32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투자 의견은 '비중확대'다.엔비디아의 메타버스 플랫폼 '옴니버스'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웰스파고는 "엔비디아의 옴니버스는 자율주행 자동차·로보틱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핵심적인 '메타버스 플랫폼'이라고 평가했다. 옴니버스는 디자이너들이 3차원(3D) 이미지나 영상을 함께 만드는 온라인 공간이다. 건축설계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어도비, 블렌더 같은 유명 3D 제작 툴 업체들도 합류했다. 디자이너들이 옴니버스를 활용하려면 구독을 해야하는데, 이때 엔비디아의 RTX 그래픽카드가 필요하다.엔비디아는 'GPGPU'라는 제품을 앞세워 현재 세계 AI 반도체 시장의 패권을 쥐고 있다. 엔비디아가 단순한 계산에 능해 AI의 딥러닝(데이터를 반복학습하는 것)에 적합한 GPU를 업그레이
-
유태준 마인즈랩 대표 "AI로 2년 안에 기업가치 1조 만들 것"
'AI(인공지능)가 발전하게 되면 인간의 일자리가 사라질까. 오히려 인간은 더 창의적인 일에 집중하고, 산과 바다로 여행을 즐기며 살 수 있지 않을까.'유태준 마인즈랩 대표(사진)는 이런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AI 서비스기업인 마인즈랩을 시작했다. 유 대표는 3일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AI의 개발을 통해 인간이 보다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기를 바라며 마인즈랩을 설립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2014년 설립된 마인즈랩은 초기에는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사업을 진행했다. 4년 전부터 본격적으로 AI 개발에 들어가 지난 3월 종합 인공지능을 갖춘 세계 최초 AI인간을 개발했다.마인즈랩은 자체 개발한 40여개 AI엔진과 AI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커넥터(API connector)인 '마음(maum) 오케스트라'로 통합해 맞춤형 AI를 개발해준다. 회사는 인간이 AI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가장 큰 부분인 립싱크 분야에서 글로벌 최고 수준의 자체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현재 AI 고객 상담원, AI 돌보미, AI 경비원, AI 속기사 등 AI인간을 삼성전자, 포스코, 신한은행, 하나은행, 현대해상 등에 공급하고 있다. 유 대표는 "기본 노동과 감정 노동은 AI와 로봇이 대체하면 인간은 AI 연구 같은 창의적인 영역에서 이전보다 1000배쯤 더 많은 일자리를 찾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마인즈랩의 AI는 2년 전 보험회사 콜센터 고객 상담원부터 시작했다. 초반에는 간단한 보조를 맡다가 최근에는 30여분간 상담을 맡으며 실제 상담원을 대체하기 시작했다. 유 대표는 "사람들이 퇴근하는 시간에도 응대가 가능하고, 고객 상담원의 감정 노동 스트레스를 덜어줄 수 있다"면서 "보험 계약 성공률도 인간(40%)
-
11년만에 몸값 1500억된 트윔 “완벽한 無人공장 마지막 퍼즐 맞춘다”
“스마트팩토리에 필요한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와 검사기를 한 번에 개발해 제작하는 능력은 저희가 독보적이라고 자부합니다. 기술력이 고도화될수록 사람 한 명 없이도 공장이 돌아가는 완전한 스마트팩토리를 볼 날이 가까워질 것입니다.” ◆모든 불량품 잡아내는 AI 꿈꾸다정한섭 트윔 대표(사진)는 26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무인 공장은 검사 기술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현실화될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트윔은 학습을 통해 진화하는 AI를 적용한 검사 소프트웨어와 검사기기를 만들고 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식품 등 다양한 분야의 제조 현장에 검사 소프트웨어와 기기를 공급하고 있다. 정 대표는 “지금 여러 제조공장에 가보면 사람이 가장 많은 곳은 검사 현장”이라며 “정형화된 기준으로 정상과 불량을 분류하는 기계만으로는 100% 검사가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사람이 다시 한 번 검사작업을 한다”고 설명했다.트윔은 AI가 끊임없이 다양한 불량 유형을 학습하는 방식을 통해 완벽한 검사가 가능한 스마트팩토리를 탄생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KGC인삼공사의 간판 제품인 ‘홍삼정 에브리타임’ 제조공장이 트윔의 검사기술이 적용된 대표적인 현장이다. 이 제품은 홍삼진액을 소형 파우치에 밀봉하기 때문에 포장이 완료된 이후에도 정교한 검사가 필요하다. 정 대표는 “생산과정에서 AI가 학습을 통해 불량 유형을 세분화하면서 검사 정확도를 높여가고 있다”며 “시간이 갈수록 기계가 경험하지 않았던 불량 유형도 직관적으로 판단해 골라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트윔은 KGC인삼공사 외에도 삼성SDI, CJ제
-
브라이언 강 대표 "빅데이터로 새 가치 만드는 스타트업 주목할 때"
브라이언 강 노틸러스벤처스 공동창업자 겸 대표(52·사진)는 차분한 말투, 정중동 행보 등으로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신사’로 통한다. 하지만 그가 운용하는 스타트업(초기 창업 기업) 투자 펀드는 신사보다는 ‘전사’와 닮았다. 수익률이 경쟁 펀드를 압도하며 업계 ‘톱’을 다툰다. 그가 투자한 말루바, 볼타, 에디슨소프트웨어 등의 스타트업이 대기업에 인수되거나 뉴욕증시에 상장했기 때문이다.그의 선구안은 ‘기술의 발전 방향에 대한 고민’을 통해 단련됐다. 강 대표는 2000년대 초반 설립된 삼성벤처투자 미국법인의 창립 멤버다. 2015년 대만 폭스콘 출신 코니 솅과 함께 실리콘밸리에서 노틸러스벤처스를 창업했다.내년 세 번째 펀드 출시를 준비 중인 그가 주목하고 있는 유망 업종은 ‘빅데이터’다. 강 대표는 20일 실리콘밸리 본사에서 기자와 만나 “빅데이터 스타트업들이 인간의 삶을 바꿀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빅데이터에 대해 지난 수십 년간 스타트업 시장을 주도했던 반도체, 스마트폰에 버금가는 대형 투자처라고 평가했다. 데이터양이 1년에 몇 배씩 증가하는데 현재 활용하는 데이터는 전체의 1%도 안 되기 때문이다. 강 대표는 “데이터 산업 생태계 안에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회사가 유망하다”고 설명했다.강 대표는 빅데이터 기업이 인간의 삶을 편리하게 하는 동시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 대표적인 사례로 직접 투자한 에디슨소프트웨어를 꼽았다. 에디슨소프트웨어는 고객 동의를 얻어 스팸성 이메일을 분류하는 앱을 개발했다.에디슨은 우버나 아마존 등으로부터 고객에게 날아온 영수증 이메일 등에
-
실리콘밸리 최고 투자자가 꼽은 '톱픽'…'메타버스'보단 '빅데이터' [황정수의 인(人) 실리콘밸리]
브라이언 강 노틸러스벤처스 공동창업자 겸 대표(CEO)를 만나면 '신사'가 떠오른다. 강 대표의 차분한 말투, 배려가 몸에 밴 행동, 정중동(靜中動) 행보 등의 영향이 크다. 그러나 강 대표가 운용하는 스타트업(초기 창업기업) 투자 펀드는 신사보단 '전사(戰士)'에 가깝다. 펀드 수익률은 업계 톱을 다툰다. 그가 투자한 말루바, 에디슨소프트웨어, 피스컬노트 등 다수 스타트업은 상장, 대기업의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대박을 터뜨렸거나 대박을 앞두고 있다. 빅데이터와 AI를 결합한 '서비스' 스타트업에 대한 그의 선구안 덕분이다. 강 대표의 정체성과 투자 철학은 그가 창업한 밴처캐피털(VC) 이름이자 앵무조개(사진)를 뜻하는 '노틸러스(nautilus)'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노틸러스는 심해(沈海)에 서식하며 자신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 껍데기는 '파보나치 수열(앞의 두 수의 합이 바로 뒤의 수가 되는 배열)'의 황금비율을 반영해 '안정성'과 '균형'을 상징한다. 마지막으로 미국의 첫 핵잠수함 이름이기도 하다. 자신을 내세우지 않으면서도 압도적 투자 성과를 안정적으로 이어오는 그의 행보와 닮아있다. 최근 실리콘밸리에 있는 노틸러스벤처스 사무실에서 강 대표를 만나 미국 스타트업(초기 창업 기업) 투자 분위기와 유명 기술과 업종, 투자 성과 등에 대해 들어봤다. 그는 자신에 대해 '올드 제너레이션' 등이란 표현을 쓰며 낮추면서도 빅데이터, 메타버스, AI 등 기술 스타트업 투자와 관련해선 확고한 관점을 제시했다. 인터뷰를 질의응답 형식으로 정리했다. 실리콘밸리에 몰리는 돈…기업 고평가 우려도▶노틸러스벤처스 소
-
미국 SPAC 에이스컨버전스,템포오토메이션과 합병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에이스에쿼티파트너스(에이스에쿼티)가 미국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기반의 전자회로기판(PCB) 설계업체 템포오토메이션과 합병하는 데 성공했다. 에이스에쿼티가 지난해 미국 나스닥에 2억3000만달러(약 2700억원) 규모로 상장시킨 스팩(SPAC)이 템포오토메이션을 합병하는 방식이다.1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나스닥에 상장한 스팩인 에이스컨버전스(ACE Convergence·ACEV)가 템포오토메이션과 합병 계약을 체결했다. 이 스팩은 에이스에쿼티가 지난해 7월 나스닥에 상장시켰다. 이번 합병 거래는 내년 1분기에 마무리될 예정이다. 합병 이후 법인명은 ‘템포오토메이션 홀딩스(Tempo Automation Holdings, Inc)로 바뀐다. 나스닥 시장에서 ‘TMPO’ 코드로 거래된다.템포오토메이션은 이번 스팩 합병 거래 종결과 동시에 PCB 제조업체인 어드밴스드 서킷츠(Advanced Circuits)의 모회사인 콤퍼스에이씨홀딩스(Compass AC Holdings, Inc.), 전자제품 설계 제조업체인 위즈(Whizz) 등 2개 회사를 추가로 인수할 예정이다. 거래 대금은 스팩 합병을 통해 회사에 유입되는 현금으로 조달할 계획이다. 연관산업 내 수직 계열화를 통해 사업 시너지를 내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총 합병 거래 규모는 9억3600만달러(약 1조1070억원)다.템포오토메이션은 컴퓨터 등 전자제품 내부에 탑재되는 회로기판인 PCB를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기반의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해 생산하는 업체다. 2900억달러(약 340조원) 규모로 추산되는 PCB 시장을 겨냥하고 있다. 올해 1억4600만달러(약 1730억원) 규모의 매출을 낼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이 스팩의 주요 투자자인 글로벌 벤처캐피탈 투자사 '포인트72에셋매니지
-
[단독] 증권가, AI 자산관리 스타트업에 '러브콜'
금융회사들이 인공지능(AI) 로보어드바이저 기업에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투자 규모가 작은 고객에게도 투자 성향과 나이에 따라 ‘맞춤형 PB(프라이빗뱅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방치 상태인 고객의 퇴직연금을 맞춤형으로 관리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하나금융투자는 최근 로보어드바이저 스타트업 파운트에 300억원을 투자했다. 파운트에는 하나금융투자뿐 아니라 산업은행, 신한캐피탈, NICE투자파트너스 등도 100억원을 태웠다. 하나금융투자는 퇴직연금 시장 공략을 위해 파운트와 협업할 예정이다. 김영빈 파운트 대표는 “퇴직연금에 한 번 투자하면 투자 상품을 바꾸지 않는 고객이 대다수”라며 “AI가 운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 투자에 대한 고민과 스트레스 없이 적극적인 퇴직연금 운용이 가능해진다”고 설명했다.김 대표는 장기 포트폴리오 투자를 통해 노후 빈곤 문제를 해결하는 게 회사의 목표라고 설명했다. 전문성이 없어도, 자산 규모가 작아도 자산 배분과 장기 투자를 통해 수익을 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파운트 투자자 중 2년 이상 투자자의 100%, 1년 이상 투자자의 98%가 수익을 내고 있다. 최소 가입금액은 단돈 10만원이다. 3년 이상 투자자의 평균 누적 수익률은 24%다.파운트 AI 자산관리 기술은 기업 간 거래(B2B) 솔루션으로도 활용된다. 우리은행, 삼성생명, 메트라이프, 현대차증권 등 20여 개 금융회사에 AI 로보어드바이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우리은행 ‘우리로보’ 서비스는 자산 관리는 물론 퇴직연금에 대해서도 수익률 관리, 리밸런싱 알림, 포트폴리오 변경 추천 등을 해준다. 파운트 AI 솔루션이 그 역할을 한다.세
-
美·中·英 '격돌'…글로벌 AI 정책 주도권 다툼
국가 주도 인공지능(AI) 진흥 정책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선점하는 자가 모든 것을 지배한다’는 AI 기술이 이미 예고했던 시나리오입니다. 각국이 막대한 예산을 일사불란하게 투입하는 밑바탕에는 한 순간에 도태될 수 있다는 위기감이 깔려 있습니다. ‘컴퓨터의 아버지’ 앨런 튜링의 모국 영국도 AI 생태계 육성에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미국 중국이 주도하는 AI 패권 다툼 한가운데로 뛰어드는 모양새입니다. 영국이 그리는 ‘AI 초강대국’ 청사진을 들여다봤습니다. ◆“AI 인재 끌어가겠다”…직접 나선 영국 정부최근 영국 정부는 35페이지 분량 ‘국가 AI 전략’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다가오는 10년, AI 분야 글로벌 초강대국인 영국의 선도적 위치를 공고히 하겠다”는 취지를 담고 있습니다. 3개월·6개월·1년 이후 등 3가지로 시기를 나눠, 인력 확보와 연구개발(R&D) 투자 및 대중 신뢰 향상 등 포괄적인 육성책을 제시했습니다. AI 인재 확보는 주요 키워드입니다. 영국은 해당 보고서에서 “글로벌 인재 유치를 위해 비자 발급 자격 확대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연간 실적 또는 고용 성장률이 20% 이상인 기업이 해외 인력을
-
새내기주 원티드랩, 무상증자 결정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9월27일(14:4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지난달 상장한 채용 플랫폼 기업 원티드랩이 무상증자로 유통주식 수를 두배로 늘린다.원티드랩은 27일 이사회를 열고 주주들을 상대로 보유 주식 1주당 신주 1주를 공짜로 발행하는 무상증자 안건을 승인했다. 다음달 12일까지 원티드랩 주식을 보유하면 신주를 받을 수 있다. 신주 발행 예정일은 다음달 28일이다. 무상증자로 원티드랩 발행 주식 수는 470만3068주에서 940만6136주로 늘어난다.2015년 설립된 원티드랩은 온라인 플랫폼 ‘원티드’(Wanted)를 통해 채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지원자의 합격 가능성을 예측하는 서비스도 내놓았다. 이 회사는 지난해 매출 146억원을 내며 창사 후 처음으로 매출 100억원을 넘어섰다. 올 들어서도 상반기 매출 134억원, 영업이익 23억원을 거두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무상증자 소식에 원티드랩 주가는 이날 코스닥시장에서 오후 한 때 18.06% 뛴 7만7800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하지만 고점을 찍은 뒤 곧바로 하락곡선을 그리면서 오후 2시40분 기준 6만6400원까지 주저앉았다. 전거래일보다 0.76% 높은 수준이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스타트업계 '미다스의 손', 노정석의 7번째 도전
국내 스타트업계의 대표적 연쇄 창업자인 노정석 비팩토리 대표(사진)가 로봇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글로벌 화장품산업 혁신에 나선다. 이번이 일곱 번째 창업이다.노 대표는 지난해 1월 화장품 제조 스타트업 비팩토리를 설립했다. 화장품을 소비자 취향에 따라 소량으로 생산해 판매하는 업체다. 소비자가 스마트폰 등으로 특정 성분의 양, 선호하는 향 등을 선택하면 로봇이 원격으로 제조해주는 방식이다. 일종의 ‘화장품 프린터’다. 노 대표는 “프린터가 다양한 색상의 잉크를 사용해 인쇄물을 출력하는 것처럼 로봇이 화장품 원료를 자동으로 배합해 제품을 생산한다”고 설명했다.그의 이름 뒤에는 늘 ‘미다스의 손’ ‘창업의 달인’ 같은 꼬리표가 따라붙는다. ‘해킹의 신’으로도 불린다. 1996년 당시 포항공대(포스텍)와 해킹 경쟁을 벌여 수사까지 받았던 건 아직도 회자되는 유명한 일화다. KAIST 경영공학과를 졸업한 노 대표가 처음 세운 회사는 1997년 공동 창업한 보안업체 인젠이다. 인젠이 코스닥시장에 상장하면서 거액을 손에 쥔 노 대표는 다시 창업에 나섰다. 2002년 젠터스라는 보안업체를 설립했다. 하지만 1년 만에 폐업했다. 2005년 블로그 개발 스타트업 태터앤컴퍼니를 다시 창업했다. 2008년 구글이 태터앤컴퍼니를 약 600억원(추정)에 인수했다. 그는 2010년 식당 예약 앱 등을 개발하는 회사인 아블라컴퍼니를 또 세웠다. 2012년에는 공유 오피스 업체 패스트파이브 등을 운영하는 패스트트랙아시아를 공동으로 설립하기도 했다.아블라컴퍼니는 신통치 않았다. 그는 회사 이름을 파이브락스로 바꾼 뒤 새로운 사업에 나섰다. 모바일 게임을 즐기는 사
-
딥노이드 공모주에 1.3조 몰려
이달 상장을 앞둔 인공지능(AI) 솔루션 기업 딥노이드에 1조원이 넘는 증거금이 몰렸다.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딥노이드가 지난 5일부터 이날까지 진행한 공모주 일반청약에 약 1조3149억원의 증거금이 들어왔다. 경쟁률은 834.8 대 1이었다.딥노이드는 지난달 말 진행한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에선 1179 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참여 기관 1222곳 대부분이 희망 공모가격(3만1500~4만2000원)의 최상단 가격으로 주문을 넣었다. 딥노이드는 2008년 설립된 AI 업체로 의료 분야에 특화된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 개발부터 배포, 거래, 임상 활용 등 모든 주기를 포함하는 의료 AI 플랫폼을 구축해놨다. 이 회사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인허가를 받은 의료 AI 판독 솔루션만 15건이다. 딥노이드는 이번 상장 과정에서 조달하는 120억원을 서버를 비롯한 전산장비 확충과 AI 분야 연구개발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공모 절차를 마무리한 딥노이드는 오는 17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공모가격(4만2000원) 기준 시가총액은 1802억원이다. 상장 후 곧바로 매도가 가능한 주식은 총 205만9884주로 전체 발행주식의 44.5% 정도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딥노이드, 청약 첫날 경쟁률 121 대 1
상장을 앞둔 의료 인공지능(AI) 솔루션 기업인 딥노이드가 일반청약 첫날 모집물량보다 120배 이상 많은 주문을 받았다.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이날 딥노이드가 진행한 공모주 일반청약 결과 121 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약 1918억원의 증거금이 들어왔다. 딥노이드는 앞서 지난 2~3일 진행한 기관투자가 수요예측에선 1179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흥행에 성공한 덕분에 공모가격을 희망 가격(3만1500~4만2000원) 중 가장 높은 4만2000원으로 확정했다. 참여 기관 1222곳 중 대부분이 희망 공모가격 최상단 이상으로 주문을 넣었다.딥노이드는 2008년 설립된 AI 업체로 의료 분야에 특화된 기술력을 갖고 있다. 개발부터 배포, 거래, 임상 활용 등 AI의 모든 주기를 포괄하는 의료 AI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인허가를 받은 의료 AI 판독 솔루션만 15건에 달한다. 이 회사는 지난해 매출 10억원, 영업손실 50억원을 기록했다. 딥노이드는 오는 6일까지 일반청약을 진행한다. 상장 주관사인 KB증권을 통해 청약할 수 있다. 청약 마지막날 참여하는 투자자가 더 많음을 고려하면 경쟁률은 더 높아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원티트랩 공모주에 5.5兆…크래프톤 이겼다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8월03일(16:2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채용 플랫폼기업인 원티드랩의 공모주 일반청약에 5조원이 넘는 증거금이 몰렸다. ‘대어’인 크래프톤과 청약일정이 겹쳤음에도 흥행에 성공했다.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원티드랩이 지난 2일부터 이날까지 진행한 일반청약에 약 5조5291억원의 증거금이 쏟아졌다. 청약 경쟁률은 1731 대 1이었다. 지난달 말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에서 1504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데 이어 개인투자자들로부터도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청약결과가 부진할 수 있다는 예상을 깨고 투자자들의 시선을 붙드는 데 성공했다. 당초 공모주시장에선 이 회사의 일반청약이 크래프톤과 똑같은 시기에 진행되는 탓에 경쟁률이 저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았다. 하지만 크래프톤이 예상보다 개인들로부터 관심을 받지 못하면서 오히려 반사이익을 얻었다는 평가다. 크래프톤의 일반청약 경쟁률은 7.8 대 1에 그쳤다. 청약 증거금은 원티드랩보다 적은 5조358억원이 들어왔다.환매청구권(풋백옵션)이 있다는 점도 원티드랩의 흥행에 기여했다는 평가다. 이번 일반청약에 참여한 개인은 상장 이후 6개월 동안 한국투자증권에 원티드랩 공모주를 공모가격(3만5000원)의 90%인 3만1500원에 되사달라고 요구할 수 있다. 원티드랩 주가가 상장 후 크게 떨어지더라도 손실을 최소화할 안전장치가 있는 셈이다. 2015년 설립된 원티드랩은 온라인 플랫폼인 ‘원티드’(wanted)를 통해 채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지원자의 합격 여부를 예측하는 서비스도 내놓았다. 이 회사는 지난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