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P모간, 폭스바겐 결제 플랫폼 지분 75% 인수
미국 투자은행(IB) JP모간이 세계 2위 완성차 업체 폭스바겐의 결제 플랫폼 폭스바겐페이먼트의 지분 75%를 인수한다. 인수 절차는 내년 상반기에 마무리될 예정이다.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JP모간은 "디지털 결제 시스템을 확장하고 자동차 산업에 진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인수 이유를 밝혔다.폭스바겐페이먼트는 차량 관련 간편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다. 자동차 구매와 리스, 차량 내 결제, 주유 및 전기 자동차 충전, 차량 내 엔터테인먼트 구독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2017년에 설립돼 32개국에서 운영 중이다.JP모간의 EMEA(유럽·중동·아프리카) 일괄 결제 부문 책임자인 샤로크 모이니안은 "커넥티드 카(정보통신 기술과 연결해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차량)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커넥티드카에서 자동차가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는 지갑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폭스바겐은 폭스바겐페이먼트의 지분 25.1%를 유지할 방침이다. JP모간은 폭스바겐과 협업해 추후 자동차 시장뿐만 아니라 다른 시장에도 진출하기 위해 폭스바겐페이먼트의 결제 플랫폼을 확대할 계획이다.폭스바겐 그룹의 올 상반기 금융 서비스 부문(폭스바겐페이먼트 포함)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267억7000만달러(약 31조2994억원)에 달했다. 폭스바겐페이먼트의 실적은 공개되지 않았다.맹진규 기자 maeng@hankyung.com
-
"車 반도체 부족 2024년까지 간다"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이 쉽게 마무리되지 않을 것이라고 글로벌 완성차 업계의 경영인들이 일제히 경고하고 나섰다. 역대 최고가를 잇따라 경신하고 있는 산업용 실리콘 부족 현상이 특히 문제라는 지적이다.6일(현지시간) CNBC 등에 따르면 세계 2위 완성차 업체 독일 폭스바겐의 헤르베르트 디스 최고경영자(CEO)와 군나르 헤르만 포드 유럽이사회 의장, 올라 칼레니우스 다임러 회장 등은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1’에서 “반도체 부족은 복잡한 문제이고 언제 풀릴지도 알 수 없다”고 입을 모았다.디스 CEO는 방송에 출연, “반도체 부족 때문에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에서 점유율을 잃고 있다”며 “협력사들이 반도체 생산 확대를 추진해왔지만 쉽지 않다”고 하소연했다.폭스바겐은 당초 반도체 부족 현상이 올여름께 해소될 것으로 봤지만 이뤄지지 않았다. 폭스바겐에 납품하는 반도체 재료 공장의 상당수가 말레이시아에 자리잡고 있는데, 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으로 공장 가동이 수차례 중단됐기 때문이다.디스 CEO는 “광범위한 반도체 부족 문제는 오래 지속될 것 같다”며 “인터넷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반도체 수요가 커졌기 때문에 (완성차업계가) 더 타격을 받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와 관련, 헤르만 회장은 “반도체 칩 부족 현상이 2024년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당초 업계에서 예상한 2023년보다 1년가량 더 지속될 것이란 예측이다. 완성차업계 흐름이 전기자동차로 쏠리면서 칩 부족 현상이 심해졌다는 분석이다. 소형차인 포드 포커스의 경우 300개가량의 반도체 칩을 쓰고 있는데 전기차는 최대 3000개를
-
폭스바겐파이낸셜코리아, 6년 만에 공모 회사채 발행
≪이 기사는 04월08일(13:5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폭스바겐파이낸셜코리아가 6년 만에 공모 회사채를 발행한다. 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폭스바겐파이낸셜코리아는 1000억원 규모 회사채를 오는 19일 발행한다. 신용등급은 ‘A+’이며 만기는 3년이다. 한국스탠다드차타드증권과 부국증권이 발행을 주관한다. 희망 금리 범위는 만기 3년 A+등급 회사채에 대한 민간 채권평가사 시가평가 금리인 연 2.085%에 -0.30 ~ 0.10%포인트를 가산한 금리다. 오는 12일 기관투자가를 상대로 수요예측(사전 청약)을 받아 발행금리를 확정한다.2010년 7월 설립한 폭스바겐파이낸셜코리아는 폭스바겐과 아우디 차량 구매자에 대한 할부 금융 및 리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2014년 7월 1000억원, 11월 1500억원, 2015년 1500억원 규모 회사채를 연달아 발행했지만 이후 종적을 감췄다. 배기가스 조작 사건에 휘말리며 차량 판매가 부진을 겪은 탓이다. 이번 회사채 발행은 폭스바겐과 아우디 차량 판매가 회복한 데 따른 것이다. 차량 판매가 늘면서 할부 금융 등을 위한 자금 조달 필요성이 커졌다. 지난해 폭스바겐파이낸셜코리아의 할부금융채권은 5514억원으로 전년보다 53.3%, 리스자산은 5216억원으로 55.7% 증가했다. 실적도 개선세다. 영업수익(매출)은 3222억원으로 18.1%, 순이익은 156억원으로 17.9% 늘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
[단독] '10조 대어' 한온시스템 매각 시동
▶마켓인사이트 3월 19일 오후 4시30분올해 국내 인수합병(M&A) 시장의 최대 매물로 꼽히는 한온시스템 매각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10조원 이상의 가격이 예상되는 초대형 거래여서 M&A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1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사모펀드(PEF) 운용사 한앤컴퍼니는 모건스탠리를 주관사로 선임하고 한온시스템 매각 절차에 들어갔다. 2014년 한앤컴퍼니가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한국타이어)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한온시스템의 전신인 한라비스테온공조 지분 69.99%를 약 3조8000억원에 미국 비스테온그룹에서 인수한 지 7년여 만이다.한온시스템은 자동차 에어컨 등 공조기(열관리)를 제조하는 회사다. 국내 시장 점유율 45%(2019년 기준)로 1위이며 글로벌 공조시장에서도 점유율 2위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 6조8700억원, 영업이익 약 3160억원을 올렸을 것으로 추정된다.M&A 전문가들은 한앤컴퍼니 컨소시엄이 보유한 지분 가치가 최소 8조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전기자동차 보급 확산으로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의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PEF와 차량용 전장사업에 관심이 많은 국내 일부 대기업이 인수 후보로 거론된다.LG그룹·한국타이어 등 인수전 뛰어드나폭스바겐·테슬라도 후보군 거론한앤컴퍼니는 2018년 캐나다 마그나인터내셔널의 유압제어 사업부문을 약 1조4000억원에 인수해 한온시스템에 합치는 등 ‘볼트온(bolt-on)’ 전략으로 기업 가치를 높였다. 인수 이후 1조5000억원 이상을 연구개발(R&D)에 투입하는 등 친환경 기술 개발도 중시했다. 최근엔 전체 매출 중 친환경 분야 매출을 40% 이상 확보하고, 친환경차 연구 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