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마켓인사이트] 고급 인력 보강 나선 외국계 증권사

    ▶마켓인사이트 5월24일 오후 3시5분국내에 진출한 외국계 증권사 간 인력 이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사업 확장과 맞물려 인력 수요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2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크레디트스위스(CS)는 최근 UBS와 KB증권에서 근무했던 김세원 상무와 홍콩 JP모간 출신인 정우성 상무를 영입했다. 이천기 CS 한국대표가 아태지역 부회장으로 승진하는 등 한국 사업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인력 보강에서 나선 것으로 보인다.김 상무는 프랑스 로레알에 매각된 스타일난다의 최고재무책임자(CFO) 출신으로 유망 업종으로 떠오른 화장품과 패션분야에서 경험을 쌓은 것을 높게 평가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 상무는 에너지부문 IB출신으로 커버리지 확대 차원에서 영입이 이뤄졌다. CS는 총싸움게임 ‘배틀그라운드’ 개발사 블루홀의 지분 매각 자문을 맡는 등 새로운 분야로 IB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노무라증권도 삼성증권 출신인 한정훈 상무를 영입했다. 한 상무는 삼일회계법인 출신으로 2004년 삼성증권에 입사해 삼성그룹 롯데그룹 관련 IB 업무를 담당했으며 우리은행 민영화 등을 자문했다. 이로써 노무라증권은 신응식 대표가 2016년 취임 이후 추진한 상무급 인재 영입을 마무리했다.이외에 뱅크오브아메리카(BoA)메릴린치는 바클레이즈 출신인 이수혁 이사를 새로 받아들였고, 라자드코리아도 한국투자증권·CS 출신인 오신나 이사를 영입하며 인력 보강을 마쳤다. JP모간의 배동근 상무는 블루홀 CFO로 옮기며, CS의 심건 상무는 투자회사로 이직했다.IB업계 관계자는 “외국계 증권사는 원래 인력 이동이 빈번한데 최근 다른 증권사나 사모펀드(PEF) 등으로 기존 인력이

  • GS칼텍스, 첫 스위스프랑화 채권 발행

    GS칼텍스가 처음으로 스위스프랑화 표시 채권을 발행했다. 최근 글로벌 신용등급이 오르자 해외시장에서 자금조달을 늘리고 있다는 평가다.2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GS칼텍스는 최근 유럽 등 해외투자자들을 상대로 6년 만기 스위스프랑화 채권 1억달러(약 1080억원)어치를 발행했다. 유럽계 IB인 크레디트스위스와 BNP파리바가 발행주관을 맡았다.GS칼텍스가 스위스프랑화로 채권을 발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회사는 그동안 달러화 위주로 외화채권을 발행해왔다. GS칼텍스 관계자는 “자금조달 수단 다변화 차원에서 스위스프랑화로 채권을 찍었다”고 말했다.GS칼텍스는 2014년 4억달러 규모 글로벌본드를 발행한 이후 3년간 해외 채권시장에서 자취를 감췄지만 지난해부터 다시 해외 채권발행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6월 5년 만기 글로벌본드 4억달러(약 4500억원)어치를 성공적으로 발행하며 복귀를 알렸다. IB업계에선 신용등급 상승으로 GS칼텍스의 해외 자금조달 여건이 더 좋아졌다고 보고 있다. 국제 신용평가사인 무디스가 지난 2월 GS칼텍스의 신용등급을 ‘Baa2’에서 ‘Baa1’으로 상향조정한 데 이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지난달 이 회사 등급을 ‘BBB’에서 ‘BBB+’로 높였다.차입 부담을 크게 줄이면서 재무구조를 개선한 것이 반영됐다. 이 회사의 지난해 말 기준 총 차입금은 4조243억원으로 2016년 말(5조613억원) 대비 1조원 이상 감소했다. 연간 2조원 이상 영업이익을 거두면서 회사 내에 쌓은 현금을 차입금 상환에 쓴 덕분이다. GS칼텍스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2조16억원으로 2016년(2조1404억원)에 이어 2조원대를 유지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