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인사이트]전자부품업체 심텍, 회사채시장 ‘데뷔’
코스닥 전자부품업체인 심텍이 회사채 발행시장에 데뷔한다.1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심텍은 오는 16일 1년2개월 만기 회사채 300억원어치를 사모로 발행할 계획이다. 채권 금리는 연 5% 수준으로 결정됐다. 1년 만기 ‘BBB’등급 회사채 평균금리(연 4.663%)보다 0.34%포인트가량 높은 수준이다. 이 회사가 발행일부터 채권을 조기상환할 수 있는 조건도 함께 붙일 예정이다.심텍은 컴퓨터와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의 핵심부품으로 쓰이는 인쇄회로기판(PCB)을 제조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 1조75억원, 영업이익 307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는 2015년 지주회사로 전환하기 위해 투자회사인 심텍홀딩스와 사업회사인 심텍으로 인적분할했다. 이를 통해 심텍홀딩스가 지주회사가 돼 심텍을 포함한 12개 계열사를 거느리는 식으로 지배구조를 재편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코넥스 시총 7위 수젠텍, 다음달 코스닥 입성
코넥스시장 시가총액 7위인 체외진단기 제조사 수젠텍이 다음달 코스닥시장으로 이전 상장한다. 12일 수젠텍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11일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로부터 상장예비심사 승인을 받았다. 수젠텍은 지난해 12월 코스닥으로 옮겨가기 위해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했다. 회사는 조만간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수요예측(기관투자가 대상 사전청약), 일반 청약 등을 거쳐 다음달 중 코스닥 상장을 마친다는 계획이다. 코넥스 시총 7위(11일 종가 기준 1982억원)인 수젠텍은 2011년 설립된 체외진단기 제조회사다. 체외진단기기, 진단 시약, 임신·배란테스터 등을 개발·제조하고 있다. 코스닥 이전상장을 위해 진행한 기술성평가에서 지난해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한국기업데이터로부터 모두 A등급을 받았다. 회사는 지난해 매출 54억원, 영업손실 46억원에 순손실 409억원을 냈다. 지난해까지 적자가 이어지고 있어, 향후 실적 증가 가능성을 어떻게 입증할지가 흥행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박종윤 수젠텍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올해 목표 매출은 최대 200억원”이라며 “손익분기점을 넘겨 흑자전환까지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젠텍의 기업공개(IPO) 대표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산화철 제조업체 EG, 정족수 미달로 감사 선임 실패
코스닥 산화철 전문 제조업체인 EG가 정기 주주총회에서 의결 정족수 미달로 감사 선임에 실패했다.EG는 21일 주총에서 윤승수 현 감사를 선임하는 안건을 올렸지만 의결 정족수 미달로 부결됐다. 상법상 주총 안건이 결의되려면 출석한 주주의 주식 수 과반 이상과 의결권 있는 주식의 25%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 감사 선임 안건은 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이 아무리 많아도 의결권이 총 3%로 제한된다. EG 측은 “주총 분산 프로그램 참여, 전자투표 및 의결대리 권유 공시 등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안건 통과를 위한 의결권을 확보하지 못했다”며 “최대한 빨리 임시 주총을 열어 감사를 선임할 것”이라고 밝혔다.1987년 설립된 EG는 산화철 제조과 엔지니어링, 무역, 설비관리 용역사업 등을 하고 있다. 2000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이 회사는 지난해 매출 1125억원, 영업손실 89억원을 기록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네패스신소재, 5대1 액면분할 추진
반도체 소재 제조업체인 네패스신소재가 주식 액면분할을 추진한다.네패스신소재는 오는 5월 발행주식 351만5737주를 1757만8685주로 늘리는 액면분할을 한다고 13일 공시했다. 이 회사는 29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안건으로 올릴 계획이다. 네패스신소재 측은 “유통주식 수를 늘려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액면분할이 완료되면 이 회사 주가(액면가 기준)는 한 주당 500원에서 100원이 된다. 네패스신소재의 이날 종가는 4만5750원이다.네패스신소재는 2000년 설립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소재 제조업체다. 현재 전북 익산에 본사와 생산공장을 두고 있다. 20008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지난해 매출 133억원, 영업손실 36억원을 기록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전자부품업체 아이엠, 자금조달 추진
코스닥 전자부품업체인 아이엠이 국내 자본시장에서 자금조달을 추진한다.1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아이엠은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포함한 다각적인 자금조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국내 신용평가사로부터 ‘B+’로 신용등급을 받았다. 아이엠 관계자는 "지난해 11월 필리핀법인의 부동산 담보대출금 84억원을 상환한 뒤 다시 대출을 진행했지만 예상보다 그 과정이 지연되고 있다"며 "이런 이유로 필리핀법인과 본사가 자금조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아이엠은 2006년 삼성전기 OS사업부문에서 분사해 설립된 전자부품업체로 DVD나 블루레이 등 비디오 기기부품과 휴대폰 카메라렌즈 모듈용 부품 등을 생산하고 있다. 최근엔 기능성 센서발열필름과 헬스케어 관련 제조 쪽으로도 뛰어들어 사업영역을 넓히고 있다. 주력사업인 휴대폰 부품이 매출의 90%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코스닥시장에는 2008년 상장했다.이 회사는 지난해 35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적자전환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910억원으로 전년 대비 23.4% 감소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신라젠, 임직원 30명에 스톡옵션 부여
코스닥 시가총액 2위 바이오기업 신라젠이 임직원 30명에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을 부여한다. 주식시장에선 임직원들이 또 한 번 주가 상승에 힘입어 스톡옵션 '잭팟'을 터뜨릴지 주목하고 있다.신라젠은 오는 27일 열리는 정기 주주총회에서 회사 및 관계회사 임직원 30명을 상대로 총 29만주 규모의 스톡옵션을 부여하는 안건을 올린다고 6일 공시했다. 스톡옵션을 받는 임직원들은 2021년 3월5일부터 2028년 3월4일까지 한 주당 7만3500원에 신라젠 주식을 사들일 수 있다. 이날 종가(7만6900원)보다 3400원 낮은 가격이다.신라젠은 2006년 설립된 바이오기업으로 유전자 재조합으로 만든 바이러스를 활용해 항암치료제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현재 우두 바이러스 유전자를 제조합해 만든 항암치료제 ‘펙사벡’이 이 회사의 주력 제품이다. 펙사벡은 2015년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글로벌 임상 3상 허가를 받았다. 지금까지 미국, 중국 등 전 세계 20여개국에서 600여명의 간암 환자를 상대로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다.신라젠은 독자적인 기술력을 인정받아 2016년 기술특례를 통해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상장 직후 별다른 움직임이 없던 이 회사 주가는 이듬해인 2017년 하반기부터 ‘바이오 열풍’을 타고 큰 폭으로 뛰기 시작했다. 2018년 초 공모가(1만5000원)보다 7배 이상 높은 11만5000원(1월23일 종가 기준)까지 치솟았다. 이 덕분에 상장 전 이 회사에 투자했던 기관투자가들과 스톡옵션을 받은 임직원들이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며 투자금을 회수하는 데 성공했다. 신라젠은 이번을 포함해 2016년부터 총 임직원 138명을 상대로 393만주 규모의 스톡옵션을 제공했다. 이 중 스톡옵
-
코넥스 시총 2위 지노믹트리, 3월 코스닥 이전상장 확정
≪이 기사는 02월18일(15:3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코넥스시장 시가총액 2위업체인 지노믹트리가 다음달 코스닥시장으로 이전상장한다. 공모 규모는 최대 1000억원이 될 전망이다.지노믹트리는 다음달 21일 신주 400만주를 발행하는 방식으로 코스닥시장으로 이전상장을 한다고 18일 공시했다. 현재 발행주식의 약 25%에 해당하는 주식을 새로 발행한다. 이 회사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설비투자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키움증권이 발행주관을 맡고 있다.지노믹트리는 우리사주조합을 상대로는 다음달 18일, 기관투자가를 비롯한 일반 투자자들을 상대로는 다음달 18~19일 청약을 진행할 계획이다. 한 주당 공모 희망가격 범위는 1만7000~2만5000원이다. 예상 공모 규모는 680억~1000억원이다. 지노믹트리는 2000년 설립된 바이오기업으로 암 조기진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대장암, 방광암, 폐암 등의 체외진단 의료기기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해 코스닥 이전상장을 위해 외부기관들로부터 A등급을 받았다. 18일 현재 시가총액은 5024억원으로 툴젠에 이어 코넥스시장 2위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작년 새내기株 10곳 중 6곳 주가, 공모가 못 미쳐
▶마켓인사이트 2월 13일 오후 3시50분지난해 국내 증시에 입성한 기업 중 60% 이상이 주가가 공모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시 약세로 새내기주에 대한 투자 심리가 얼어붙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1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증시에 상장한 77개 기업(스팩·리츠·코넥스 제외) 중 48곳이 지난해 말 주가가 공모가에 미치지 못했다.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7곳 중 4곳, 코스닥시장 상장사 70곳 중 44곳이 각각 주가가 공모가를 밑돌았다.지난해 말 증시 한파의 직격탄을 맞았다는 평가다. 지난해 증시에 발을 들인 새내기주의 상장 당일 주가는 공모가 대비 평균 34.5% 높았지만 연말(12월 28일 종가)엔 공모가보다 10.2% 높은 수준에 그쳤다. 상장 이후 주가가 내리막을 탄 기업이 많았다는 의미다. 지난해 기업들의 상장 공모금액은 총 2조6120억원으로, 2017년(7조8188억원) 대비 5조원 이상 줄었다.기술특례로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기업 수는 눈에 띄게 증가했다. 지난해 기술특례 상장사는 21곳으로, 2005년 이 제도가 도입된 이후 가장 많았다. 기술특례 상장은 전문 평가기관들로부터 기술의 우수성을 인증받은 중소기업은 이익 여부와 관계없이 상장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최근 정부가 코스닥시장 진입 문턱을 낮추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기술특례 상장사 수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다만 금융당국은 적자이면서도 상장하는 기업이 늘고 있기 때문에 공모주에 투자할 때는 미리 기업의 위험 요인과 공모가 산정 근거 등을 확인할 것을 권고했다. 안승근 금감원 공시심사기획팀장은 “기업이 제시한 향후 예상 이익과 사업 계획이 실현될 가능성을 면밀히 분석하고 투자를 결정해야 한다&r
-
제미니투자, 영화 판권 유통사 제이웨이에 35억 투자
벤처캐피털(VC) 제미니투자가 영화 판권 유통회사 제이웨이에 35억원을 투자한다.제미니투자는 오는 15일 제이웨이가 발행하는 신주 266만주를 약 35억원에 사들인다고 7일 공시했다. 이번 증자가 마무리되면 제미니투자는 제이웨이 지분 14.35%를 확보해 2대 주주가 된다. 최대주주인 김병건씨의 지분율은 19.58%에서 16.77%로 낮아진다.1994년 설립된 제이웨이는 영화 투자배급사로부터 영화 판권을 구입해 호텔, DVD 감상실, PC방 등에 디지털 영화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코스닥시장에는 2002년 상장했다. 지난해 1~3분기 누적 매출은 9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6% 증가했지만 13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2016년 이후 3년간 지속적으로 적자를 쌓고 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수성, 투자자 풋옵션 행사로 CB 5억원 조기상환
코스닥 상장기업인 수성이 작년 발행한 30억원 규모 전환사채(CB) 중 일부금액을 1년 만에 조기상환했다.수성은 지난달 31일 CB 5억원어치를 조기상환했다고 1일 공시했다. CB는 일정기간이 지나면 투자자가 발행회사의 신주로 바꿀 수 있는 채권이다.이 CB는 수성이 작년 2월 총 30억원어치로 발행한 것으로 만기는 3년이다. 표면금리는 연 5%, 만기 수익률은 연 11%다. 올해 2월1일부터 한 주당 5152원으로 CB를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데 지속적인 전환가격 조정으로 현재는 전환가격은 4520원까지 하락했다. 수성 측 관계자는 “기한이익상실(즉시 상환) 사유 발생으로 투자자가 조기상환청구권(풋옵션)을 행사해 CB를 상환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회사는 이전 조기상환 물량까지 합하면 지금까지 총 10억원어치 CB를 조기에 갚았다. 1년 전 발행금액의 3분의1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카메라렌즈업체 텔루스, 자회사 디오스텍 흡수합병
코스닥 스마트폰용 카메라렌즈 제조업체인 텔루스가 자회사 디오스텍을 흡수합병한다.텔루스는 오는 4월 디오스텍을 흡수합병하기로 결정했다고 14일 공시했다. 합병비율은 1대0이다. 이 회사는 광학렌즈와 광학기기 카메라모듈 제조사업을 하는 자회사를 통합해 경영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텔루스는 2014년 5월 차바이오텍에서 인적분할돼 설립된 카메라 렌즈업체로 경기 용인시에 본사와 생산공장을 두고 있다. 지난해 1~3분기 매출 72억원, 영업손실 36억원을 기록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자동차부품사 화신테크, CB·유증으로 65억 조달
자동차 부품업체인 화신테크가 전환사채(CB) 발행과 유상증자를 통해 65억원을 조달한다.화신테크는 투자자금 조달을 위해 다음달 14일 제이빈코어스를 상대로 3년 만기 CB 55억원어치를 발행한다고 지난 10일 공시했다. CB는 일정기간이 지나면 투자자가 발행회사의 신주로 바꿀 수 있는 채권이다. 이번 CB의 표면금리는 연 0%, 만기 수익률은 연 3%로 결정됐다. 제이빈코어스는 내년 2월부터 한 주당 5628원에 CB를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전날 종가(5300원)보다 328원 비싼 가격이다.이 회사는 유상증자로도 투자자금 10억원을 추가로 조달한다. 다음달 13일 에이치앤브릿지투자조합을 상대로 신주 20만7039주를 발행하는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하기로 했다. 신주 발행가격은 한 주당 4830원으로 결정됐다.화신테크는 1985년 설립된 자동차 부품업체로 자동차 프레스용 금형을 제조하고 있다. 지난해 1~3분기 18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2017년에 이어 적자를 이어가고 있다. 매출(204억원)도 전년 동기 대비 15.2% 감소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주가추락 방어 나선 힘스, 10억원어치 자사주 매입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장비업체인 힘스가 10억원어치 자사주 매입에 나선다. 장기간 이어진 주가 하락에 대처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힘스는 오는 10일부터 4월9일까지 장내에서 자사주 10만2360주를 매입하기로 결정했다고 9일 공시했다. 약 10억원어치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이 회사 관계자는 “주가 안정을 통해 주주가치를 높이고자 자사주 취득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힘스는 1999년 설립된 OLED 장비업체로 인천 남동구에 본사를 두고 있다. 지난해 7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당시 796대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할 만큼 투자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하지만 상장 이후 이 회사 주가는 하락세를 타며 공모가(2만원)를 한참 밑도는 9770원(8일 종가기준) 수준까지 내려앉았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현대바이오, 70억원어치 전환사채 발행
코스닥시장 상장기업인 현대바이오사이언스가 전환사채(CB) 발행으로 70억원을 조달했다.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7일 3년 만기 CB 70억원어치를 사모로 발행했다고 이날 공시했다. CB는 일정 기간이 지난 후 투자자가 발행회사의 신주로 교환할 수 있는 채권이다. 이번 CB의 표면금리는 연 1%, 만기 수익률은 연 4%로 결정됐다. 투자자들은 내년 1월부터 한 주당 5511원에 CB를 주식으로 바꿀 수 있다. 같은 시기부터 조기상환청구권(풋옵션) 행사도 가능해진다. 현대바이오사이언스의 최대주주인 씨앤팜(60억원)과 최대 매출처인 비타맥스(10억원)이 해당 CB를 사들였다. 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2000년 현대아이비티라는 사명으로 설립된 바이오기업으로 그 해 8월 하이닉스반도체(현 SK하이닉스)의 모니터사업을 인수하며 디스플레이사업에도 발을 들였다. 지난해 6월 모니터 제품 생산을 중단하고 8월 사명을 현대바이오사이언스로 변경했다. 2012년 경영권을 획득한 씨앤팜이 지분 9.44%를 보유하며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해 1~3분기 매출 224억원, 영업이익 13억원을 기록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황금돼지해? 황금공모株의 해
▶마켓인사이트 12월31일 오후 2시50분올해 공모주 시장에는 조(兆) 단위 기업 가치를 가진 대어급 기업공개(IPO)가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지난해 공모금액은 2조8198억원으로 2013년 이후 가장 적었지만 올해는 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그만큼 공모주 투자자들의 셈법도 복잡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기업 가치 대비 공모가가 합리적이거나 미래 성장성이 확실한 공모 기업에만 자금이 몰리는 ‘쏠림 현상’이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호반건설, SK매직도 상장 유력3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장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 가운데 공모금액이 조 단위가 될 곳은 현대오일뱅크와 교보생명이 꼽힌다. 현대중공업그룹 계열사인 현대오일뱅크의 공모금액은 2조원대, 교보생명은 1조~2조원 수준으로 예상된다.지난해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하고 올 상반기 상장을 추진하고 있는 안마의자 등 렌털 회사 바디프랜드, 현대자동차그룹의 정보기술(IT) 계열사 현대오토에버, 이랜드그룹의 유통 계열사 이랜드리테일은 조 단위 기업가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역시 조 단위 기업 가치를 노리고 있는 호반그룹 주요 계열사 호반건설과 SK네트웍스 자회사인 SK매직도 올해 상장이 유력하다.장외시장인 K-OTC의 대표 종목 중 하나인 침대 매트리스 제조회사 지누스와 삼광글라스 계열사 군장에너지, 홈플러스 매장을 자산으로 담은 역대 최대 규모의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 한국리테일홈플러스 제1호위탁관리리츠 등도 대기 중이다. 이외에 사모펀드(PEF) 운용사가 인수한 두산공작기계와 에이치라인해운, 화장품 관련 회사 지피클럽과 앨엔피코스메틱도 이르면 올해 증시에
![[마켓인사이트] 황금돼지해? 황금공모株의 해](https://img.hankyung.com/photo/201812/AA.18594445.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