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마켓인사이트] 적자 자회사 매각 성공한 금호전기… 불안정한 지배구조 개선은 숙제

    [마켓인사이트] 적자 자회사 매각 성공한 금호전기… 불안정한 지배구조 개선은 숙제

    ▶마켓인사이트 5월21일 오후 4시10분조명업체 금호전기가 LED(발광다이오드) 계열사 루미마이크로 매각에 성공하면서 재무 부담을 크게 덜 수 있게 됐다. 적자 자회사를 정리하게 돼 지분법 손실에 따른 실적 악화를 막을 수 있어서다. 그러나 금호전기 오너 일가 간 지분 구조는 여전히 불안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어느 한쪽도 맘을 놓을 수 없는 아슬아슬한 지분 차이가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9년 만에 뺀 ‘앓던 이’금호전기는 루미마이크로 지분 26.31%(1448만6600주)를 에스맥과 리트리버2호조합에 매각하기로 지난 11일 계약을 맺었다. 처분 금액은 주당 1765원으로 255억원 규모다. 금호전기는 계약 당일 계약금 26억원을 받았고, 오는 7월11일 잔금을 받으면 매각이 완료될 예정이다.금호전기는 2009년 루미마이크로를 인수했다. 루미마이크로부터 LED 부품을 받아 LED조명을 만드는 수직 계열화를 위한 포석이었다. 그러나 루미마이크로는 금호전기가 인수한 이후 2012년을 제외하고 지난해까지 매년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실적은 매출 610억원, 순손실 66억원이다. 전년 대비 매출은 10%가량 감소했고, 순손실 규모는 약 네 배로 불어났다.투자은행(IB)업계 관계자는 “루미마이크로 인수 당시에는 LED가 유망 산업으로 각광받았지만 이후 경쟁 과열로 골칫덩이가 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금호전기는 지난해 매출 3386억원, 순손실 201억원을 냈다. 전년 대비 매출은 18% 감소하고 순손실은 15% 늘어났다.◆지배구조 불안은 여전부실 자회사는 털어냈지만 금호전기에는 불안정한 지배구조를 개선해야 하는 숙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주요 주주인 형제간 지분 경쟁이 계속되고 있

  • [마켓인사이트] 구심점 잃은 나이스그룹… 경영권 '안갯속'

    [마켓인사이트] 구심점 잃은 나이스그룹… 경영권 '안갯속'

    ▶마켓인사이트 4월9일 오후 4시20분김광수 나이스(NICE)그룹 회장이 지난달 6일 별세하면서 그룹 지배구조가 어떤 식으로 재편될지에 금융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유가족이 지주회사 나이스홀딩스(상장명 NICE) 지분을 상속받는 과정에서 물어야 하는 막대한 세금 때문에 그룹 지배력이 크게 약화될 수 있어서다. 알짜 계열사들이 대거 매물로 나오거나, 자칫 경영권 분쟁에 휩싸일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온다.◆자사주 매각에 쏠린 눈나이스그룹 지주사인 나이스홀딩스는 지난달 2일 자기주식 242만499주(지분 6.4%)를 시간외 대량매매(블록딜) 방식으로 343억원에 처분했다. 이 회사 관계자는 “유동성과 투자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 자사주를 처분했다”며 “자사주를 누가 사갔는지는 파악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나이스홀딩스는 지난해 말 기준 현금성자산이 5356억원에 달한다. 1년 안에 만기가 돌아오는 단기차입금은 330억원에 불과해 급히 유동성을 확보할 이유가 없다.자사주 매각은 나이스홀딩스의 최대주주인 김 회장(지분율 29.88%)이 타개하기 전에 이뤄졌다. 건강이 나빠진 김 회장이 향후 불거질 수 있는 경영권 분쟁을 염두에 두고 우호주주에게 매각한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김 회장이 보유하던 나이스홀딩스 등의 지분은 부인 최정옥 씨와 장남인 김원우 씨(25) 등이 상속받는다. 이 과정에서 상속받는 자산 가치의 절반가량을 세금으로 내야 한다. 유가족들은 계열사 지분을 거의 보유하고 있지 않아 상속받는 나이스홀딩스 주식을 현물납부하거나, 주식을 담보로 대출받아 세금을 낼 가능성이 높다. 이 과정에서 지분율이 줄어들어 지배력이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 CJ, 5년 만에 공모 회사채 발행

    ≪이 기사는 03월22일(15:4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CJ그룹의 지주회사인 CJ㈜가 5년 만에 공모 회사채 시장에 복귀한다. 주요 계열사들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탄탄한 실적을 유지하고 있어 여러 기관투자가들이 관심을 보일 전망이다.2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CJ는 다음달 11일 3년 만기 회사채 1000억원어치를 공모로 발행할 계획이다.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한 수요예측(사전 청약)은 다음달 3일 진행한다. NH투자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고 있다.CJ는 2013년 4월 발행한 1000억원어치 채권(5년물)을 차환하기 위해 오랜만에 공모 회사채 시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차환은 기존 채권을 새 채권 발행자금으로 갚는 것을 말한다. 이 회사는 그동안 차입금 대부분을 은행 대출로 조달해왔다.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어 주요 기관투자가들이 관심을 보일 전망이다. CJ의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은 26조8986억원으로 전년 대비 12.3%, 영업이익은 1조3260억원으로 5.8% 증가했다. 2013년부터 매년 매출과 영업이익을 동시에 늘리고 있다. 식음료 콘텐츠 물류 등 CJ그룹의 핵심사업이 고르게 성장한 것이 컸다. 부채비율(지난해 말 기준)도 144.5%로 양호한 재무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우량 신용도인 ‘AA-’등급을 유지하고 있는 비결이다. IB업계 관계자는 “CJ는 한동안 채권 발행이 없어 주요 기관들의 투자 한도도 넉넉한 편”이라며 “최근 실적과 신용도를 볼 때 어렵지 않게 투자수요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활발히 진행 중인 CJ그룹 지배구조 개편이 마무리되면 CJ는 더 간결한 구도 하에서 지주회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회사는

  • [마켓인사이트] "지배구조 개편 자문업무 잡자"… 증권사들, 치열한 물밑경쟁

    [마켓인사이트] "지배구조 개편 자문업무 잡자"… 증권사들, 치열한 물밑경쟁

    ▶마켓인사이트 2월5일 오후 3시4분‘그룹 지배구조 개편 자문’이 주요 증권사의 핵심 먹거리로 부상했다. 자문 수수료는 물론 주요 그룹들이 지배구조를 손질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재상장 및 유상증자 주관 수수료 등 짭짤한 부수입도 노릴 수 있어서다. 현대자동차그룹 대림그룹 등 지배구조 개편 후보군을 잡기 위한 물밑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다.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효성은 최근 미래에셋대우와 대신증권을 지배구조 개편을 위한 공동 자문사로 선정했다. 두 증권사는 작년부터 지배구조 개편과 관련한 자문 실적을 쌓아 이 부문 선두인 NH투자증권을 추격하고 있다.미래에셋대우와 대신증권은 효성을 포함해 최근 3년 동안 각각 6개 기업의 지배구조 재편 업무를 맡았다. 미래에셋대우는 경동도시가스 크라운제과 유비쿼스 샘표식품 심텍, 대신증권은 BGF리테일 이녹스 매일유업 AP시스템 쿠첸의 지배구조 개편 전략수립 및 실무를 맡았다.한국투자증권과 삼성증권은 ‘다크호스’로 꼽힌다. 한국투자증권은 현대산업개발과 쿠쿠홈시스 휴온스 슈프리마 자문을 맡았다. 삼성증권은 한일시멘트와 오리온 자문을 담당하며 실적을 쌓고 있다.증권업계에서 이 분야 선두는 NH투자증권이다. NH투자증권은 최근 3년 새 롯데그룹 현대중공업 SK케미칼 동아타이어공업 케이씨텍 제일약품 미원에스씨 일동제약 원익IPS 현대씨앤에프 등의 지주사 전환 자문 업무를 수행했다.이들은 자문계약을 체결한 그룹, 혹은 기업에 지배구조 개편에 대한 밑그림을 제공한다. 이후 현물출자(주식스와프), 분할 재상장 등을 하는 과정에서 자문·주관 업무를 담당하며 수수료 수익을 얻는다.

  • 현대중공업 백기사 누가 찾아주나

    이 기사는 05월16일(09:2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현대중공업그룹이 지주회사로 떠오른 현대로보틱스 주식을 사들일 '백기사(우호 주주)'를 찾고 있다. NH투자증권이 현대로보틱스 지분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을 맡을 주관사로 유력하다는 시각도 있다.  1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현대미포조선이 보유한 현대로보틱스 지분 7.98%를 오는 10월까지 매각해야 한다. 공정거래법에서는 신규 순환출자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중공업은 지난달 1일 인적분할을 통해 현대중공업 현대건설기계 현대일렉트릭 현대로보틱스 등 네 개 회사로 나뉘었다. 이 과정에서 ‘현대로보틱스→현대중공업→삼호중공업→현대미포조선→현대로보틱스’로 이어지는 새로운 순환출자 고리가 생겨났다. 순환출자 고리가 형성되면 6개월 안에 해소해야 하는 만큼 현대미포조선은 현대로보틱스를 10월까지 매각해야 하는 것이다.  IB업계에서는 옛 현대중공업의 지배구조 개편 자문을 맡은 NH투자증권이 관련 작업을 맡을 것으로 보고 있다.  통상 기업 지배구조 개편 자문은 수수료를 받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 대신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거래(딜) 자문을 맡기는 방식으로 자문사에 일감을 챙겨주고 있다. NH투자증권이 현대미포조선이 매각하는 현대로보틱스 블록딜 주관 업무를 맡을 것이라는 평가다.  한 IB업계 관계자는 "자문사였던 NH투자증권이 가장 수수료 수입이 많은 현대로보틱스 블록딜 주관 업무를 따낼 것"이라며 "이 증권사가 적당한 백

  • 삼성, 지배구조 밑그림 다시 그린다...분할 시나리오 완전폐기

    이 기사는 04월27일(10:4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삼성전자가 자사주 전량을 소각하기로 결정하면서 인적 분할을 통한 지주사 전환 작업이 봉쇄됐다. 자사주를 지렛대 삼아 지주사 전환에 나설 것이라는 시나리오가 완전 폐기된 것이다. 기존 지주사 시나리오를 대체할 새로운 개편설에 관심이 쏠린다. 삼성전자는 "사업 경쟁력을 끌어올리는데 도움이 되지 않아 지주사 전환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27일 공시했다. 이 회사는 이날 보유하고 있는 자사주(보통주 1798만1686주, 우선주 322만9693주) 전량을 내년까지 두 차례로 나눠 소각할 예정이라고 발표하기도 했다. 내달 2일 보유한 자사주의 절반을 소각하기로 했다. 나머지 자사주는 내년 이사회에서 결의할 계획이다.  삼성전자가 자사주를 매각한 것을 놓고 삼성전자의 인적분할에 이은 지주사 전환 작업을 완전 폐기하겠다는 것으로 투자은행(IB) 업계는 보고 있다. 이전까지는 삼성전자를 지주사와 사업회사로 인적분할한 이우 삼성전자 지주사를 삼성물산과 합병하는 방식의 지배구조 개편설에 힘이 실렸다. 이재용 부회장도 이를 통해 삼성전자 지주사의 지분율을 높여 ‘이재용 부회장→삼성전자+삼성물산 지주사→삼성전자 사업회사 및 기타 계열사’로 이어지는 지배구조를 갖출 것으로 내다봤다.  이 과정에서 삼성전자가 보유한 자사주는 지주사 개편을 돕는 지렛대 역할로 부각돼 왔다.  자사주는 인적분할과 동시에 지주회사로 넘어가고, 해당 자사주는 자회사 지분으로 전환된다. 지주사는 자사주를 바탕으로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