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인사이트] "지배구조 개편 자문업무 잡자"… 증권사들, 치열한 물밑경쟁
▶마켓인사이트 2월5일 오후 3시4분‘그룹 지배구조 개편 자문’이 주요 증권사의 핵심 먹거리로 부상했다. 자문 수수료는 물론 주요 그룹들이 지배구조를 손질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재상장 및 유상증자 주관 수수료 등 짭짤한 부수입도 노릴 수 있어서다. 현대자동차그룹 대림그룹 등 지배구조 개편 후보군을 잡기 위한 물밑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다.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효성은 최근 미래에셋대우와 대신증권을 지배구조 개편을 위한 공동 자문사로 선정했다. 두 증권사는 작년부터 지배구조 개편과 관련한 자문 실적을 쌓아 이 부문 선두인 NH투자증권을 추격하고 있다.미래에셋대우와 대신증권은 효성을 포함해 최근 3년 동안 각각 6개 기업의 지배구조 재편 업무를 맡았다. 미래에셋대우는 경동도시가스 크라운제과 유비쿼스 샘표식품 심텍, 대신증권은 BGF리테일 이녹스 매일유업 AP시스템 쿠첸의 지배구조 개편 전략수립 및 실무를 맡았다.한국투자증권과 삼성증권은 ‘다크호스’로 꼽힌다. 한국투자증권은 현대산업개발과 쿠쿠홈시스 휴온스 슈프리마 자문을 맡았다. 삼성증권은 한일시멘트와 오리온 자문을 담당하며 실적을 쌓고 있다.증권업계에서 이 분야 선두는 NH투자증권이다. NH투자증권은 최근 3년 새 롯데그룹 현대중공업 SK케미칼 동아타이어공업 케이씨텍 제일약품 미원에스씨 일동제약 원익IPS 현대씨앤에프 등의 지주사 전환 자문 업무를 수행했다.이들은 자문계약을 체결한 그룹, 혹은 기업에 지배구조 개편에 대한 밑그림을 제공한다. 이후 현물출자(주식스와프), 분할 재상장 등을 하는 과정에서 자문·주관 업무를 담당하며 수수료 수익을 얻는다.
-
현대중공업 백기사 누가 찾아주나
이 기사는 05월16일(09:2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현대중공업그룹이 지주회사로 떠오른 현대로보틱스 주식을 사들일 '백기사(우호 주주)'를 찾고 있다. NH투자증권이 현대로보틱스 지분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을 맡을 주관사로 유력하다는 시각도 있다. 1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현대미포조선이 보유한 현대로보틱스 지분 7.98%를 오는 10월까지 매각해야 한다. 공정거래법에서는 신규 순환출자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중공업은 지난달 1일 인적분할을 통해 현대중공업 현대건설기계 현대일렉트릭 현대로보틱스 등 네 개 회사로 나뉘었다. 이 과정에서 ‘현대로보틱스→현대중공업→삼호중공업→현대미포조선→현대로보틱스’로 이어지는 새로운 순환출자 고리가 생겨났다. 순환출자 고리가 형성되면 6개월 안에 해소해야 하는 만큼 현대미포조선은 현대로보틱스를 10월까지 매각해야 하는 것이다. IB업계에서는 옛 현대중공업의 지배구조 개편 자문을 맡은 NH투자증권이 관련 작업을 맡을 것으로 보고 있다. 통상 기업 지배구조 개편 자문은 수수료를 받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 대신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거래(딜) 자문을 맡기는 방식으로 자문사에 일감을 챙겨주고 있다. NH투자증권이 현대미포조선이 매각하는 현대로보틱스 블록딜 주관 업무를 맡을 것이라는 평가다. 한 IB업계 관계자는 "자문사였던 NH투자증권이 가장 수수료 수입이 많은 현대로보틱스 블록딜 주관 업무를 따낼 것"이라며 "이 증권사가 적당한 백
-
삼성, 지배구조 밑그림 다시 그린다...분할 시나리오 완전폐기
이 기사는 04월27일(10:4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삼성전자가 자사주 전량을 소각하기로 결정하면서 인적 분할을 통한 지주사 전환 작업이 봉쇄됐다. 자사주를 지렛대 삼아 지주사 전환에 나설 것이라는 시나리오가 완전 폐기된 것이다. 기존 지주사 시나리오를 대체할 새로운 개편설에 관심이 쏠린다. 삼성전자는 "사업 경쟁력을 끌어올리는데 도움이 되지 않아 지주사 전환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27일 공시했다. 이 회사는 이날 보유하고 있는 자사주(보통주 1798만1686주, 우선주 322만9693주) 전량을 내년까지 두 차례로 나눠 소각할 예정이라고 발표하기도 했다. 내달 2일 보유한 자사주의 절반을 소각하기로 했다. 나머지 자사주는 내년 이사회에서 결의할 계획이다. 삼성전자가 자사주를 매각한 것을 놓고 삼성전자의 인적분할에 이은 지주사 전환 작업을 완전 폐기하겠다는 것으로 투자은행(IB) 업계는 보고 있다. 이전까지는 삼성전자를 지주사와 사업회사로 인적분할한 이우 삼성전자 지주사를 삼성물산과 합병하는 방식의 지배구조 개편설에 힘이 실렸다. 이재용 부회장도 이를 통해 삼성전자 지주사의 지분율을 높여 ‘이재용 부회장→삼성전자+삼성물산 지주사→삼성전자 사업회사 및 기타 계열사’로 이어지는 지배구조를 갖출 것으로 내다봤다. 이 과정에서 삼성전자가 보유한 자사주는 지주사 개편을 돕는 지렛대 역할로 부각돼 왔다. 자사주는 인적분할과 동시에 지주회사로 넘어가고, 해당 자사주는 자회사 지분으로 전환된다. 지주사는 자사주를 바탕으로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