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마켓인사이트]KTB, 비전펀드와 인도 식료품 스타트업 '그로퍼스'에 2억 달러 투자

    ≪이 기사는 07월18일(14:3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KTB네트워크가 인도 온라인 식료품 플랫폼 스타트업 ‘그로퍼스’에 2000만 달러(236억원)를 투자했다. 1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KTB는 최근 그로퍼스와 2000만 달러 규모의 신주 인수 계약을 체결하고 납입을 마무리했다. 그로퍼스는 온라인 상에서 식료품을 주문하면 배달해주는 스타트업으로 인도 내 관련 업종 중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시리즈 F 라운드인 이번 투자에는 기존 투자자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주도로, 미국 헤지펀드 타이거글로벌 매니지먼트, 세계 최대 벤처캐피털(VC) 세콰이어 캐피털이 함께 참여했다. 전체 투자 금액은 2억 달러(2361억원)이다. 비전펀드, 타이거글로벌, 세콰이어 캐피털은 직전 라운드에서도 약 6100만 달러(721억원)를 투자했다. 국내 투자자로는 KTB가 이번에 처음으로 참여했다. 그로퍼스는 이번 라운드에서 4억2300만 달러(5000억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창업 이후 누적 투자금액은 약 6억4200만 달러(7584억원) 정도이다.  2013년에 설립된 그로퍼스는 가장 많은 식품 관련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는데다&n

  • [ASK 2018] "1800억弗 인도 부실채권 투자 유망"

    [ASK 2018] "1800억弗 인도 부실채권 투자 유망"

    ▶마켓인사이트 5월18일 오후 4시50분미국의 부실채권 투자 전문 운용사 바르데 파트너스의 일프린 카스테어스 공동 최고투자책임자(CIO·사진)는 “정부가 부실채권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 나선 인도에서 투자 기회가 많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카스테어스 CIO는 18일 “인도 정부가 1800억달러(약 194조원) 규모의 부실채권(NPL)을 해결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며 “매각되는 부실채권 중 옥석을 가려 투자해볼 만하다”고 밝혔다. 한국경제신문은 오는 29일부터 이틀간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리는 ‘ASK2018-글로벌 사모·헤지펀드·멀티애셋 투자 서밋’을 앞두고 그와 이메일 인터뷰를 했다.카스테어스 CIO는 “자산이 많고 실적도 좋은데 일시적으로 재무 상태가 악화돼 부실채권으로 분류된 상장 대기업 채권이 인도에 적지 않다”며 “인도 현지 은행들이 이 같은 부실채권들을 시장에 내다파는 ‘디레버리징(부채축소)’이 곧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그는 중국 시장에 대해서는 “장기적으로는 흥미로운 시장이지만 아직 부실채권 규모가 정부가 적극 대응에 나설 정도는 아니다”며 “기업 부실화 징후도 심하지 않아 당장 투자 기회가 생길 것 같지는 않다”고 평가했다.한국에 대해서도 “경영 환경과 법 제도가 채권투자에 적합한 시장”이라면서도 “아직 시스템적인 부실 징후가 없어 부실채권 투자 기회는 많지 않다”고 분석했다. 그는 “한국에서는 기업대출 등 다른 수익 창출 기회를 눈여겨보고 있다”고 덧붙였다.카스테어스 CIO는 “글로벌 동향을 볼 때 신용 사이클이 당장 축소기에

  • CJ대한통운, 인도 물류기업 다슬 지분 50% 인수

    이 기사는 04월26일(08:4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CJ대한통운은 인도 물류기업 다슬(Darcl) 지분 50%(1193만1071주)를 570억원에 인수하기로 결정했다고 26일 공시했다. 다슬 지분 취득 예정일은 오는 6월30일이다.CJ대한통운 관계자는 "인도 종합물류업체 1위 달성 및 아시아권의 일괄 물류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다슬 인수를 결정했다"고 말했다.다슬은 지난해 약 3100억원의 매출을 올린 인도의 중견 물류기업이다. 현지에 200여곳의 물류망을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