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마켓인사이트] '유령주식 사고' 유진證 이달 중 제재

    ▶마켓인사이트 6월 5일 오후 4시45분금융감독당국이 지난해 ‘유령주식’ 거래 사고를 일으킨 유진투자증권에 대한 제재를 이르면 이달 결정한다. 이와 관련해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한국예탁결제원도 제재를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5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30일 제재심의위원회에서 유진투자증권과 예탁결제원에 대한 제재 안건을 심의했다. 과태료 등 경징계 수준의 제재 수위가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안건은 이르면 이달 내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에 상정돼 최종 제재 여부와 수위가 결정될 예정이다.지난해 5월 말 유진투자증권 고객이 보유 물량의 네 배가 넘는 유령주식을 매도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고객 A씨는 미국 상장지수펀드 655주를 실제 주식 가격보다 네 배나 오른 가격에 팔아치웠다. 미국 상장지수펀드 종목 주식이 4 대 1 비율로 병합됐는데 증권사가 이를 조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금감원은 지난해 현장 검사를 벌인 결과 유진투자증권의 내부통제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예탁결제원에 대해서도 두 차례에 걸쳐 현장 검사를 진행했다. 유진투자증권 사고에는 예탁결제원의 시스템 결함도 한몫했다는 게 금감원의 판단이다. 증권업계는 증권사 사고로 예탁결제원이 함께 징계를 받게 된 것을 상당히 이례적인 일로 받아들이고 있다.금감원은 예탁결제원의 외화증권 정보 관련 송신과 수신 업무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7가지 개선책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예탁결제원 관계자는 “유상증자, 액면분할 등 권리 정보가 바뀌었을 때 증권사로 실시간 통지를 하는 체계를 갖추는 등 개선책을 마련했다”고 말했

  • 유진저축은행 대표이사에 강진순 유진證 부사장 선임

    유진저축은행 대표이사에 강진순 유진證 부사장 선임

    ≪이 기사는 01월28일(10:4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유진저축은행은 28일 강진순 전 유진투자증권 부사장을 신임 대표이사 사장으로 선임했다.강 신임 사장은 1961년생으로 부산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그 이후 1989년 서울증권(현 유진투자증권)에 입사해 경영기획팀장, 경영관리본부장, 리스크관리본부장, 기획관리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강 사장은 취임사에서 "저축은행업 기본에 충실하겠다"는 말과 함께 유연한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해 안정적으로 성장하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윤석헌 금감원장 "삼바 재감리, 원안과는 달라질 것"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혐의에 대한 재감리와 관련, 원안과는 다른 결론을 낼 가능성을 열어놨다.윤 원장은 16일 기자간담회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해 원안을 고수할 것이냐'는 질문에 "달라져야 한다"고 답했다.  그는 "당초 2012~2014년의 회계처리 적정성을 보지 않는 것이 2015년 회계처리 변경을 정확하게 볼 수 있는 것이란 게 우리 입장이었지만 그것만 고수하기는 어렵다"며 "여러가지 길이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 놓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2015년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종속회사에서 관계회사로 변경해 대규모 순익을 낸 것이 '고의적 분식'이라고 판단하고 지난 5월 중징계를 통보했다. 그러나 증권선물위원회가 심의 과정에서 2012~2014년 회계처리 적정성을 판단해달라고 요청했고 금감원이 이를 거부하고 '원안'을 고수하며 양측간 갈등이 빚어졌다. 증선위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혐의에 대해 판단을 유보하고 금감원에 재감리를 요구한 상황이다.윤 원장은 "재감리 결론이 2015년 문제가 있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2015년(에 대한 지적이) 적정하지 못 했다, 불필요했다고 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회계전문가들은 금감원이 고수해왔던 삼성바이오로직스의 2015년 위법성에 대한 판단을 바꿀 가능성도 열어 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윤 원장은 삼성물산의 감리와 관련해선 "건드릴 정도는 아니다"며 선을 그었다. 그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재감리를 "가능한 빨리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감독원은 3분기(9월 말

  • 한발 앞선 유안타·키움·IBK, 중기특화증권사 ‘재지정’

    ≪이 기사는 04월18일(10:0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유안타증권 키움증권 IBK투자증권이 가장 먼저 중소기업 특화 증권사로 재지정됐다. 기존 중기 특화 증권사들 중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는 평가가 반영됐다.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서 금융위원회는 전날 유안타증권 키움증권 IBK투자증권을 우선 중기 특화 증권사로 재지정하기로 결정하고 해당 내용을 각사에 통보했다. 그동안 중소·벤처기업의 기업공개(IPO)를 비롯해 △유상증자 △채권 발행 △인수합병(M&A) 자문 △크라우드펀딩 중개 △중소·벤처기업 직접 투자 △중소기업 전용펀드 운용 등 중기 특화 증권사 전문 업무를 얼마나 수행했는지를 정량평가한 결과, 이들 증권사가 1~3위를 차지한 결과를 반영했다.   중기 특화 증권사 제도는 중소·벤처기업의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조달을 활성화해 이들의 성장을 돕자는 취지로 2016년 도입됐다. 이번에 재지정된 세 증권사와 유진투자증권 코리아에셋투자증권 KTB투자증권이 최초로 자격을 획득, 2년간 중소·벤처기업 지원을 쉽게 할 수 있는 여러 인센티브를 제공받았다. 한국성장금융과 KDB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이 조성하는 중소기업 M&A펀드 운용사를 선정할 때 우대받는 것을 비롯해 △신용보증기금이 지원하는 P-CBO(자산담보부증권) 발행 주관사 선정시 우대 △증권담보대출 한도 확대 및 금리 인하 등이 대표적인 혜택으로 꼽힌다.유안타증권 키움증권 IBK투자증권은 별도의 프리젠테이션을 진행지 않고 앞으로 2년 더 중기 특화 증권사 자격을 유지하게 됐다. 이번에 자격이 만료된 유진

  • 이에스에이, 유진투자증권 대상 50억원 CB 발행

    이 기사는 04월28일(08:3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코스닥 상장사 이에스에이는 운영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사모 전환사채(CB) 50억원어치를 발행하기로 결정했다고 28일 공시했다.표면 및 만기이자율은 4%이며 만기는 3년이다. 주당 4605원에 이 회사 보통주 108만5776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는 전체 발행 주식의 13.11%에 달하는 규모다. 사채권자는 유진투자증권이다.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