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지주 영구채 완판…우리·BNK 이달 출격
금융지주들이 신종자본증권(영구채) 수요예측에서 연일 흥행에 성공하고 있다. 조달 환경이 개선된 시기에 ‘자본 확충’과 ‘유동성 확보’를 모두 잡겠다는 게 금융지주의 구상이다.10일 금융권에 따르면 메리츠금융은 오는 16일 발행 예정인 영구채를 기존 1000억원에서 1300억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지난 8일 진행된 수요예측에서 목표 물량을 뛰어넘는 1300억원의 매수 자금이 접수되면서 발행 규모를 확대했다.iM금융도 8일 열린 1000억원 규모 영구채 수요예측에서 2160억원의 자금을 확보했다. 당초 최대 연 3.7%의 금리를 제시했지만, 흥행에 성공하면서 연 3.43%로 조달 비용을 낮췄다.금융지주 영구채의 인기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앞서 진행된 신한금융과 한국투자금융의 영구채 수요예측에서도 ‘뭉칫돈’이 접수됐다. 신한금융은 2700억원 모집에 7810억원, 한국투자금융은 2500억원 모집에 5190억원의 유효 주문이 들어왔다. 신한금융은 4000억원, 한국투자금융은 4500억원으로 발행 규모를 늘리는 데 성공했다.자본 건전성 개선을 위해 금융지주들이 영구채 카드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영구채는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산정 때 자본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 금융사가 주로 활용한다. 조달 환경도 개선됐다. 그동안 발행 비중이 컸던 보험사 영구채 물량이 줄어들면서 금융지주 영구채가 상대적으로 희소성이 커졌다는 분석이다.후속 주자들도 출격을 대기 중이다. 우리금융은 오는 15일, BNK금융은 21일 영구채 수요예측이 예정돼 있다.장현주 기자
-
영구채 찍고 유상증자…'마통' 차입한도 늘려
부동산신탁사들은 책임준공 리스크가 차츰 현실화하자 발 빠르게 유동성 확보에 나섰다. 채권 발행과 유상증자뿐 아니라 일종의 ‘마이너스 통장’인 단기차입 한도까지 늘리고 있다.신한자산신탁은 지난달 18일 이사회를 열어 단기차입 한도를 3000억원에서 4000억원으로 늘리기로 결의했다. 지난해 대규모 자본 확충을 한 데 이어 올해도 추가적인 유동성 확보에 나선 것이다. 이 회사는 지난해 두 차례 영구채(신종자본증권) 발행으로 1500억원, 주주를 상대로 한 유상증자로 1000억원을 조달했다. 이를 통해 지난해 9월 말 204.3%까지 떨어진 영업용순자본비율(NCR)을 12월 말 519.1%로 올려놨다.KB부동산신탁도 지난해 영구채 발행(1700억원)과 유상증자(1500억원)로만 3200억원을 조달했다. 우리자산신탁 역시 지난해 3월 유상증자로 2099억원의 자본을 쌓았다.금융투자업계에선 부동산신탁사가 추가로 자금을 조달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올해 들어서도 중소·중견 건설사 부도가 이어지고 지방에선 분양 경기 침체가 심화하고 있어서다. ‘책임준공 관리형 토지신탁’ 방식으로 추진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에 신탁사가 직접 자체 자금을 투입하는 일도 잇따르고 있다.소송까지 패소한다면 대규모 충당금 적립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많다. 국내 14개 부동산신탁사는 지난해 총 6434억원의 순손실을 내며 적자 전환했다.김진성 기자
-
[단독] HMM 영구채 주식 전환에…산은 대출여력 5兆 급감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격’에 대비해 기업 구원투수로 나서야 할 산업은행 앞에 장애물이 떨어졌다. 산은이 보유한 HMM 전환사채(CB)가 주식 7200만 주로 전환되면서 건전성 지표에 빨간불이 켜졌기 때문이다.▶본지 2024년 11월 21일자 A1, 5면 참조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이 하락하면서 기업대출 등 자금 공급 여력이 최대 5조원 이상 급감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 산은, HMM 주식 7200만 주 획득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은과 해양진흥공사는 17일 7200억원 규모의 HMM 영구 CB에 대한 주식 전환권을 행사하기로 했다. 전환 대상은 HMM이 2020년 4월 발행한 CB다. 당시 산은과 해진공은 이를 절반(3600억원)씩 인수했다.산은과 해진공은 이번 전환권 행사로 각각 HMM 주식 7200만 주를 추가로 획득한다. 해당 CB의 전환가액은 5000원으로, HMM 현 주가(16일 종가 기준 1만9440원)의 4분의 1 수준이다. 산은의 HMM 지분율은 기존 33.73%에서 36.02%로, 해진공은 33.32%에서 35.67%로 높아진다. 양대 주주의 지분을 합하면 72%에 달한다.HMM은 산은과 해진공을 상대로 발행한 영구채를 모두 털어내게 됐다. HMM은 2016~2020년 해운업 위기 당시 유동성 확보를 위해 산은과 해진공을 상대로 총 3조5800억원 규모의 CB를 발행했다. 지금까지 여덟 차례 CB 만기 혹은 스텝업(채권 발행 이후 일정 기한이 지나면 금리가 가산되는 조항) 적용 시기를 맞이했고, 그때마다 산은과 해진공은 주식 전환을 택했다.산은은 난감한 상황에 부닥쳤다. HMM 지분이 늘어날수록 건전성 지표인 BIS 자기자본비율 관리가 어려워져서다. 주식 등 위험가중자산이 많을수록 자기자본비율은 낮아진다. 지난해 말 기준 산은의 BIS 자기자본비율은 13.9%다.
-
키움·DB '증자', 하나 '영구채'…자본확충 속도내는 캐피털社
캐피털사가 자본 확충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그룹 지원을 통해 유상증자를 시도하거나 채권시장에서 신종자본증권(영구채) 조달에 나서고 있다. 자본 확충으로 신용도를 방어하겠다는 구상이다.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키움캐피탈과 DB캐피탈은 이달 들어 각각 500억원, 374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키움캐피탈은 지분 98%를 가진 키움증권, DB캐피탈은 지분 93.6%를 보유한 DB손해보험이 유상증자에 참여한다.유상증자뿐 아니라 영구채 발행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영구채는 재무제표 산정 시 부채가 아니라 자본으로 인정된다. 하나캐피탈은 이달 총 1500억원 규모 사모 영구채를 발행했다. 올해 채권시장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캐피털사 영구채다. 금리는 연 4.75%로 책정됐다. 한국투자캐피탈과 JB우리캐피탈도 지난해 12월 모회사 지원을 받아 각각 1500억원, 2000억원어치 사모 영구채를 발행했다.유상증자·영구채 발행을 통한 자본 확충으로 재무 건전성을 개선하겠다는 게 캐피털사들의 구상이다. 키움캐피탈과 DB캐피탈의 레버리지 배율은 각각 지난해 9월 말 6.6배, 3.7배에서 유상증자 후 6.0배, 3.3배로 낮아질 전망이다. 레버리지 배율은 자기자본 대비 총자산 한도다. 배율이 낮을수록 타인자본 의존도가 낮다는 의미로, 손실 완충력이 높다고 평가된다.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흔들리는 신용도를 방어할 수 있는 점도 캐피털사가 자본 확충에 나서는 배경이다. 신용평가사는 캐피털사의 자본 확충 움직임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재무 완충력을 높이면 신용도 하방 가능성이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장현주 기자
-
KB 이어 신한·우리금융도 영구채 발행 출격
주요 금융지주사가 자본 확충을 위해 앞다퉈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추진한다. KB금융에 이어 신한금융, 우리금융, DGB금융 등이 발행 작업에 들어갔다. 연초 유동성이 풍부한 시기에 자금 조달을 마치겠다는 구상이지만, 금융지주 신종자본증권 수요가 예전 같지 않다는 점은 부담 요인으로 꼽힌다. ○첫 주자 KB 이어 줄줄이 출격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은 다음달 4일 2700억원 규모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위한 수요예측에 나설 계획이다. 흥행 여부에 따라 4000억원까지 증액이 가능하다. 30년 만기로 5년 후 콜옵션(조기 상환권)을 행사할 수 있다.우리금융도 지난달 20일 이사회를 열고 2700억원 규모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결의했다. 최대 4000억원까지 증액할 수 있다. 주요 증권사와 구체적인 발행 시기를 조율 중이다. 지방금융지주도 신종자본증권을 통한 자금 조달에 가세했다. DGB금융지주는 다음달 28일까지 1000억원 규모 신종자본증권을 찍을 예정이다.올해 금융지주 신종자본증권 시장의 포문은 KB금융이 열었다. KB금융은 지난 22일 4050억원어치 신종자본증권을 찍었다. 신종자본증권, 후순위채 등 자본성증권은 재무제표 산정 시 부채가 아니라 자본으로 인정된다. 발행할수록 자본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어 금융지주사와 은행, 보험사 등이 주로 활용한다.금융지주들이 신종자본증권 카드를 잇달아 꺼내 든 것은 건전성 지표인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을 개선하기 위해서다. BIS 비율은 자본을 위험가중자산(RWA)으로 나눈 수치다. KB금융은 증권신고서를 통해 이번 신종자본증권 발행으로 BIS 비율이 0.12%포인트 오를 것이라고 밝혔다.환율 불안정성이 장기화해 자본 확충 필요성이 커진 것도
-
공장 팔고 영구채 발행…군살빼기 나선 韓, 석화 "골든타임 놓쳐" 지적도
중국에 이어 중동에도 치이게 된 국내 주요 석유화학기업들은 일제히 ‘다이어트’에 들어갔다. 유일한 해법인 스페셜티(고부가가치) 시장에 집중하기 위해 기초유분 사업을 축소하고, 경쟁력을 잃은 중간재 사업도 정리하고 있다. 하지만 스페셜티 분야에 투자할 자금 확보가 쉽지 않고, 중국의 스페셜티 추격 속도가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는 점에서 ‘골든 타임’을 놓친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1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지난 10월 말레이시아 합성고무 생산법인을 청산하는 등 해외 법인 18개 중 4개를 매각하기로 했다. 국내에선 여수 2공장 에틸렌글리콜 생산량을 줄이며 매각 준비에 들어갔다. LG화학도 지난 3월 여수 스티렌모노머(SM)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나프타분해설비(NCC) 2공장은 매각을 검토 중이다. 한화솔루션은 재무 구조를 개선하려 7000억원 규모 영구채를 발행했다.하지만 기업들이 체질 개선을 늦춘 탓에 구조 개편이 뜻대로 될지 우려하는 목소리는 여전하다. 롯데케미칼이 3년 전부터 말레이시아 법인 매각을 검토했지만, 사겠다는 곳이 없어 올해 고철값만 받고 청산한 게 대표적이다.오현우 기자
-
産銀 건전성 악화땐 정책금융 '흔들'…반도체·배터리 지원 좌초 우려
HMM 영구 전환사채(CB)의 주식 전환을 계기로 산업은행의 자본 건전성 논란이 커지고 있다. 산은의 건전성 악화는 정책금융 공급 경색과 정부의 증자(재정 투입)로 이어지기 때문에 시중은행의 재무구조 악화와는 차원이 다른 문제로 꼽힌다. HMM의 주주가치 제고와 산은의 건전성 회복, 공적자금 회수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카드 중 하나로 HMM의 자사주 매입 방안이 부상하고 있다. ○CB 전환으로 7200만 주 늘어20일 금융권에 따르면 HMM의 1·2대 주주인 산은과 한국해양진흥공사는 내년 4월 HMM CB의 주식 전환으로 7200만 주씩을 받게 된다. 보유 주식이 증가하면 산은의 건전성 지표인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은 급격히 떨어진다. BIS 자기자본비율은 대출, 채권, 주식 등 은행이 보유한 자산의 성격에 따라 위험가중치를 다르게 매긴다. 일반 대출 가중치가 100%라면 주식 자산은 250%다. 주식을 더 위험하게 보는 것이다.문제는 산은의 HMM 보유 주식이 많아져서 BIS 자기자본비율이 ‘15% 룰’을 넘어간다는 점이다. 15% 룰은 은행이 자기자본 대비 특정 기업 지분을 15% 이상 보유하면 15%가 넘는 지분에는 위험가중치를 1250% 매기는 특별 규정이다.HMM의 이날 주가인 1만8320원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산은의 보유 지분 가치는 4조2355억원으로 산은의 10월 말 기준 자기자본인 26조3000억원의 16% 수준이다. 이미 15%를 웃돈다.다른 조건이 같고 CB의 주식 전환이 이뤄지면 산은의 HMM 보유 지분 가치는 5조5546억원으로 불어난다. 자기자본 대비 HMM 지분 비율은 21%까지 뛴다. 6%포인트에 해당하는 1조6000억원어치 주식에 1250%의 위험가중치가 부여된다는 얘기다. 정부가 예정한 2조원 증자가 내년 초에 이뤄진다
-
'HMM 매각 불발' 후폭풍…산은 정책금융 올스톱 위기
산업은행발(發) ‘정책금융 대란’ 우려가 일고 있다.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의 HMM 매각 불발에 따른 후유증 때문이다. 산은은 보유 중인 HMM 영구 전환사채(CB)를 주식으로 바꿔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자본 건전성 지표가 급락하고 대출 여력이 바닥날 위기에 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반도체 등 주력산업은 물론 중소·중견기업 지원까지 마비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은과 해양진흥공사는 7200억원 규모의 HMM CB를 내년 4월 주식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HMM 주가가 액면가인 5000원 밑으로 떨어지지 않는 이상 전환하지 않으면 경영진 배임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HMM의 이날 종가는 1만8320원이다.산은의 HMM 지분율은 30.87%(9월 말 기준)에서 영구 CB를 주식으로 전환하면 33.95%로 상승한다. 문제는 산은의 HMM 지분 보유 규모가 커질수록 대표적 건전성 지표인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이 급락한다는 점이다. 주식은 위험자산이어서 대출보다 건전성 지표에 더 큰 영향을 끼친다.산은의 BIS 자기자본비율(6월 말 기준)은 14.25%로 19개 국내 은행 중 16위다. 업계에서는 HMM 주가를 현재 수준으로 볼 때 주식 전환 후 산은의 BIS 자기자본비율이 크게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당국의 권고치인 13%를 밑돌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산은의 자본 건전성이 나빠지면 국내외 신인도가 떨어지고 조달 금리가 급등한다. 낮은 금리의 정책금융을 공급받는 기업이 곧바로 직격탄을 맞는다.특히 반도체 지원이 꼬인다. 산은은 정부의 반도체산업 지원 정책의 핵심인 17조원 규모 저리 대출 프로그램을 맡고 있다. 하지만 자본비율이 급락하면 신규 대출을 내주기 어렵
-
영구채 발행 역대 최대…기관이 쓸어 담았다
국내 기업의 신종자본증권(영구채) 발행액이 올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지난 2월 “영구채는 부채가 아니라 자본”이라는 방침을 재확인하자 부채비율을 올리지 않으면서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기업들이 앞다퉈 발행에 나섰다.수요도 꾸준하다. 웬만한 고금리 상품은 일반 개인 투자자에게 풀지 않고 기관이 모두 독식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발행되는 영구채는 발행 3~5년 뒤 콜옵션 행사를 통한 상환이 일반적이어서 “실질적으로는 중기 채권이나 다름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영구채 발행, 올해 최대 될 듯6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초부터 지난달 말까지 국내에서 금융회사를 제외한 일반 기업은 만기 30년 이상 채권인 영구채를 4조6640억원어치 발행했다. 아직 연말까지 2개월 남았지만 벌써 지난해 연간 발행액(1조7115억원)의 세 배에 육박했다. 연간 최대 발행액을 기록한 2019년(3조7060억원)보다 1조원어치가량 많다.영구채는 원금을 갚지 않고 이자만 주는 채권을 말한다. 만기 30년 이상 채권은 원금을 상당 기간 후에 갚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영구채로 분류된다. 올해 영구채 발행이 급증한 것은 IASB가 올 상반기 “영구채는 부채가 아니라 자본”이라는 국제회계기준(IFRS) 방침을 재확인했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이 “영구채를 자본이 아니라 채권으로 분류해야 한다”는 의견을 IASB에 전달했지만 결과를 바꾸지는 못했다. ○발행 3~5년 뒤 상환이 일반적업계에서는 영구채를 자본으로 인식하는 게 적절한지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꾸준히 나온다. 특히 최근 발행되는 영구채에는 스텝업(금리 상향 조정)과 콜
-
‘신용도 방어 총력전’…풀무원식품·포스코퓨처엠 신종자본증권 카드 활용
신용도 방어 총력전에 나선 기업들이 신종자본증권(영구채) 카드를 활용하고 있다. 재무지표 산정 부채가 아닌 자본으로 취급된다는 점을 활용해 신용도 하방 압력을 줄이겠다는 구상이다.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풀무원식품은 이날 400억원 규모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위한 수요예측을 진행했다. 3년 후 콜옵션(조기상환권)을 조건이 달렸다. 수요예측 결과 400억원 '완판'은 실패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공모 희망 금리 최상단인 연 6.2%의 금리가 책정된 만큼 추가 모집에서 목표 물량을 채우겠다는 게 발행사와 주관사 측의 입장이다.풀무원식품이 공모 시장에서 신종자본증권 발행에 나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기존에는 사모 시장에서 주로 신종자본증권 조달을 시도했다. 앞서 모회사인 풀무원이 공모 신종자본증권 수요예측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면서 풀무원식품이 공모 조달을 결정한 것으로 관측된다. 풀무원은 지난 7월 700억 원 모집에 980억 원의 매수 주문을 받았다.풀무원식품이 신종자본증권 카드를 꺼내든 건 재무지표 개선을 통해 신용도를 방어하기 위한 취지다. 신종자본증권은 회계 기준상 자본으로 인정되는 자본성증권이다. 발행할수록 회사의 자본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현재 풀무원식품의 신용도에는 ‘부정적’ 꼬리표가 달려 있다. 한국기업평가와 나이스신용평가는 풀무원식품 신종자본증권에 대해 ‘BBB+(부정적)’로 매겼다. 국내 식품 사업의 양호한 수익성에도 불구하고 해외 식품 사업의 저조한 수익성이 발목을 잡고 있다는 평가다. 풀무원식품 올해 6월 말 기준 부채비율은 219.2% 수준이다.신용도 하방 압력이 커진 포스코퓨처엠도 사상 처음으로
-
'부채비율 200%' 막겠다…CJ대한통운·에코프로비엠 영구채 줄발행
롯데지주 HD현대오일뱅크 CJ대한통운 코오롱인더스트리 에코프로비엠을 비롯한 비금융 기업들이 줄줄이 신종자본증권(영구채) 발행에 나서고 있다. 이들 기업은 부채비율을 100%대로 묶어두기 위해 자본으로 회계처리하는 영구채 조달에 나섰다는 평가가 나온다.2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CJ대한통운은 다음 달까지 사모 영구채 2500억원어치 발행할 계획이다. 영구채는 발행액만큼을 ‘자본’으로 회계처리하는 채권이다. 만기가 30년 이상인 만큼 상환 의무가 크지 않아, 자본으로 분류했다. 하지만 발행사는 3~5년 후 콜옵션을 행사해 영구채를 상환하는 관행이 자리 잡았다.CJ대한통운 영구채의 만기는 30년이다. 이 회사는 영구채 발행 3~5년 뒤부터 조기 상환할 수 있는 콜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 민간채권평가사 3개가 산출한 금리 평균(이하 민평금리)에 1.5~1.6%포인트를 얹어 결정될 전망이다. 현재 민평금리를 바탕으로 산출하면 연 4.8~5.1% 수준이다. 영구채에는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으면 금리를 1.5%포인트 올리는 ‘스텝업’(금리 상향 조정) 조항도 담겼다.CJ대한통운은 영구채 발행자금으로 만기가 도래하는 상환전환우선주(RCPS) 2000억원을 상환할 계획이다. 이 회사의 6월 말 부채비율은 139.9%로 작년 말보다 8.4%포인트 상승했다.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영구채 발행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그동안 영구채는 자본 건전성을 개선하려는 금융회사들이 주로 발행했다. 하지만 올들어 비금융기업들도 부쩍 발행 규모가 늘었다. CJ대한통운을 비롯한 비금융 기업들은 100%대 부채비율을 수성하기 위해 영구채 발행에 나섰다. 비금융기업의 적정 부채비율 수준에 논란이 많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통상
-
HMM 영구채 6000억원 주식 전환…정부 지분 67% 넘어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가 HMM 영구 전환사채(CB) 6600억원어치를 주식으로 전환했다. 이번 주식 전환으로 산은·해진공 등 정부 산하기관이 보유한 HMM 지분은 67%로 늘었다. 매각대상 지분이 늘어난 만큼 앞으로 HMM의 매각 작업은 한층 어려워질 전망이다.산은과 해진공은 HMM 제196회 CB를 주식으로 전환했다고 24일 발표했다. 해당 CB는 2019년 10월 발행된 196회차 CB로 전환가액이 5000원이다. 주식 전환으로 산은과 해진공의 보유 주식은 각각 6600만주씩 늘었다. 산은의 지분율은 30.87%에서 33.73%로, 해진공은 30.38%에서 33.32%로 확대됐다. 합산 지분율은 61.25%에서 67.05%로 불어났다. 채권단의 주식 전환에 앞서 HMM은 지난달 말 산은과 해진공에 해당 CB에 대한 조기상환 의사를 통보했다. 이자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다. CB는 지난 5년 동안 금리가 연 3%였다. 하지만 6년차에 접어드는 이달 말부터는 연 6%로 올랐다. 산은과 해진공은 CB를 현금으로 상환하기보다는 주식으로 전환했다. 두 기관은 그동안 배임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HMM이 상환 의사를 밝힐 때마다 주식 전환권을 행사했다. HMM는 내년 4월 스텝업이 발동되는 제197회 CB만 남게 된다. 7200억원 규모로 총 1억4400만주다. 산은과 해진공은 이 역시 주식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 CB까지 모두 전환되면 산은의 지분율은 36.02%, 해진공은 35.67%로 치솟게 된다. HMM은 이날 1만70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시가총액은 12조7711억원에 달한다. 산은과 해진공이 보유한 지분 가치를 시가로만 따져도 8조5630억원에 이른다.하지은 기자 hazzys@hankyung.com
-
자금시장 외면에…그룹 골칫거리 전락한 효성화학·GS엔텍
효성화학 GS엔텍 이수건설 등이 그룹의 골칫거리로 전락했다. '눈덩이 부실'에 자금조달이 여의치 않은 이들 회사는 그룹 지주회사·계열사로부터 유동성 지원을 받기로 했다. 이들 회사의 부실이 자금줄을 타고 모회사, 계열사로 번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2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효성화학은 오는 26일 사모 신종자본증권(영구채) 1000억원어치를 발행한다. 금리는 연 8.3%다. 2년 이후 최초 이자율에 연 3.5%, 5년 이후에는 연 4.5%, 10년 이후에는 연 5.5%를 추가로 얹는 금리 상향 조건이 붙어 있다.효성은 효성화학의 신종자본증권 1000억원어치 전액을 인수한다. 앞서 효성화학은 지난 2월에도 효성을 대상으로 1000억원 규모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한 바 있다. 기업들은 신종자본증권 발행액 만큼을 자본으로 회계처리한다. 그만큼 유동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부채비율을 끌어내릴 수 있다. 효성화학의 재무구조가 갈수록 나빠지자 모회사가 발 벗고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효성화학의 지난 6월 부채비율은 17만%대로 치솟은 상황이다. 이처럼 나빠진 재무구조로 효성화학 채권을 사들이려는 수요도 포착하기 어렵다. 지난 6월 열린 효성화학의 공모 회사채 수요예측에서는 단 한 기관도 매수 주문을 넣지 않았다. 신종자본증권 발행 과정에서도 투자자를 구하지 못하면서 지주사에 재차 손을 벌린 것이다. GS글로벌 자회사인 GS엔텍도 모회사를 통해 자금을 조달한다. GS엔텍은 다음 달 900억원어치 회사채 발행을 준비 중이다. GS글로벌이 이번 회사채에 대한 지급 보증을 제공한다. GS엔텍은 1988년 설립된 이후 정유 및 석유화학 플랜트용 화공기기 제작하는 기업이다. 장기간 적
-
반포사옥까지 팔아 3000억 뒷바라지…이수화학의 '밑빠진 독' [김익환의 컴퍼니워치]
이수화학이 자회사인 이수건설 뒷바라지에 3000억원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뒷바라지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서울 반포사옥까지 팔았다. 하지만 이수건설의 부실은 한층 깊어져 부채비율이 2200%를 넘어섰다. 지원금 3000억원이 의미 없이 증발한 데다 이수건설의 부실이 이수화학으로 번져갈 우려도 커졌다.이수건설은 지난 10일 신종자본증권(영구채) 200억원어치를 발행했다. 만기는 30년이다. 금리는 연 8.5%다. 하지만 이수건설은 발행일로부터 1년 6개월 뒤인 2026년 3월 10일부터 영구채를 조기 상환할 권리를 부여받았다. 관례상 영구채 발행사는 조기상환권을 무조건 행사한다. 이수화학도 1년 6개월 뒤 영구채를 상환할 전망이다.특수목적회사(SPC)인 하이브라운이 이 영구채를 기초자산으로 자산유동화증권을 발행한다. 한양증권이 이 유동화증권의 주관사다. 이수건설의 모회사인 이수화학이 이수건설 영구채의 신용보증을 제공한다. 이수건설이 영구채를 상환하지 못하면 이수화학이 대신 갚아줘야 한다는 의미다.이수건설은 1976년 출범한 건설사다. 아파트 브랜드 '브라운스톤'을 앞세워 주택 시장에 진출했지만, 실적은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 해외 건설사업에서 숨은 부실이 터지면서 무더기 적자를 이어갔다.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누적으로 229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올 상반기에도 233억원의 순손실을 냈다.재무구조도 최악이다. 올 6월 말 부채비율은 2209.3%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이 회사의 자본은 129억원이다. 지난해 발행한 500억원어치 영구채가 자본으로 회계처리된 결과다. 결손금 규모가 수백억원에 이르는 것이다. 사실상 1년 반~3년 뒤에 상환해야 하는 영구채를 제거하면 이 회사는
-
"'메가박스' 심상치 않다"…빚 눈덩이로 불어나더니
메가박스가 심상찮다. 주말에도 영화관 좌석 절반 이상은 비어있다. 사상 최대 위기였던 코로나19 암흑기가 지나갔어도 봄날은 아직이다. 위기 징후는 회사 실적·재무제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메가박스를 운영하는 메가박스중앙 부채비율은 눈덩이 적자 탓에 1600%를 넘어섰다. 이 회사가 최근 급한 불을 껐다. 상환 압박이 커진 신종자본증권(영구채) 콜옵션(매수청구권) 시점을 2년 연기한 것이다. 혹독한 구조조정 대책이 절실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메가박스중앙은 2021년 12월 발행한 영구채 300억원어치의 콜옵션 행사 시점을 올해 12월에서 2026년 12월로 연기하기로 영구채 투자자(세리니티제이차)와 합의했다.앞서 메가박스중앙은 2021년 12월 특수목적회사(SPC)인 세레니티제이차를 대상으로 300억원어치 영구채를 찍었다. 만기는 30년으로 발행금리는 연 4.4%였다. 메가박스중앙은 2024년 12월부터 이 영구채를 조기 상환할 수 있는 콜옵션을 부여받았다. 세레니티제이차는 한양증권을 주관사로 이 영구채를 기초자산으로 유동화자산을 발행했다.영구채는 발행액만큼을 ‘자본’으로 회계처리하는 채권이다. 만기가 30년 이상인 만큼 상환 의무가 크지 않아, 자본으로 분류했다. 하지만 발행사는 3~5년 후 콜옵션을 행사해 영구채를 상환하는 관행이 자리 잡았다. 영구채 발행을 돕기 위해 메가박스중앙의 모회사인 콘텐트리중앙이 이 영구채에 대해 신용보증을 제공했다.2022년에 흥국생명이 영구채 5억달러(약 6650억원) 콜옵션 행사 미실시로 이 같은 관행은 더 굳어졌다. 당초 흥국생명은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기로 했다. 발행 3~5년 뒤에 발행사가 콜옵션을 행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