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콩 제친 印주식시장, 20년 뒤 10배 커진다
세계 4위 규모인 인도 주식시장이 탄탄한 경제 성장에 힘입어 덩치를 더 키우고 있다. 20년 뒤면 주식시장 규모가 10배가량 커질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20일(현지시간)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올해 1월 인도 주식시장 시가총액은 4조3300억달러를 기록하며 홍콩(4조2900억달러)을 제치고 세계 4위로 올라섰다. 인도 주식시장은 지난해 12월 처음으로 4조달러를 넘어섰는데, 이 중 절반인 2조달러는 불과 4년간의 증가분이다. CNBC에 따르면 인도 주식시장 시가총액은 지난 4월 4조6300억달러로 확대됐다.올 들어 인도 주가지수는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인도 대표 지수인 니프티50지수와 BSE센섹스지수는 올해 각각 14%, 12% 상승했다. 같은 기간 미국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 상승률(14%)에 맞먹는 성과다. 인도 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도 인기를 끌고 있다. 인도 관련 펀드 중 규모가 가장 큰 ‘아이셰어즈 MSCI 인디아’(INDA)는 올 들어 16% 상승했다.에반 메칼프 글로벌X ETF 부문 최고경영자(CEO)는 “인도는 신흥시장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최고의 구조적 성장 사례”라며 “많은 인구, 급증하는 교육받은 젊은 층, 경제 개혁을 추구하는 진보적인 정부가 인도의 주요 강점”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중국을 제치고 세계 1위 인구대국으로 부상하며 소비가 늘어나고 있는 데다 젊은 노동력이 풍부한 인구 구조를 갖추고 있어 인도의 잠재력을 높이고 있다는 분석이다.인도 주식시장은 국내총생산(GDP) 증가에 힘입어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아툴 싱 LGT웰스인디아 CEO는 “GDP 증가와 함께 기업과 주식시장 수익률이 증가하는 흐름은 20년간
-
매도 주문서 쌓여가는 코스피…중·소형주보다 대형주 더 심각
단기 회복세를 보이던 코스피 대형주의 매수·매도 불균형 지표가 이달 최저치로 고꾸라졌다. 시가총액 우량주도 일순간 크게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21일 한국거래소의 코스피 대형주·중형주·소형주지수별 매수·매도 불균형 지표에 따르면 전 거래일 코스피 대형주지수의 매수·매도 불균형 수치는 일일 거래 빈도 기준 0.6473을 기록했다. 지난 14일(0.866)부터 4거래일 연속 하락해 이달 최저치를 경신했다. 수치는 지난달 26일(1.0438) 1을 넘어서는 등 반짝 개선세가 따랐다. 하지만 이후 4거래일을 제외하면 내내 올해 평균치(0.8015)를 밑돈 것으로 나타났다. 전 거래일 중형주와 소형주 관련 값은 각각 0.7151과 0.7536으로 대형주보다 높았다.매수·매도 불균형 지표는 특정 기간 매수자가 주도한 거래 횟수에 매도자가 주도한 거래 횟수를 나눈 값이다. 호가를 누가 제출했는지를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시장에 주식을 팔 사람이 많은지 살 사람이 많은지 가늠하는 심리 지표로 쓰인다. 1을 넘으면 매수 우위, 1에 못 미치면 매도 우위로 본다. 지수 하락기에 매도 우위가 나타나면 투자자가 시장 상황 악화를 예상하고 리스크 관리에 들어갔거나 손해를 감내하고 증시를 이탈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코스피 대형주지수는 지난 8월 2700선이 깨진 뒤 줄곧 2600 전후를 횡보하고 있다.관련 지표를 악화시킨 거래 주체로는 외국인이 지목된다. 시총 100위 종목이 몰린 코스피 대형주지수에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등 외국인 매매가 활발한 우량주 대부분이 포함된다. 101위부터 300위까지 있는 중형주지수, 301위 이하가 모인 소형주지수에 개인이 몰리는 것과는 차이가 있
-
주식재산 1·2위, 같은 회사였다…'2700억 보유' 임원 정체
시가총액 2조원이 넘는 상장사 중 주식 재산 100억원 이상 비(非)오너 임원이 27명으로 나타났다. 1등과 2등은 크래프톤과 계열사에서 배출했다. '100억 클럽' 명단에는 1980년 이후 출생한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임원 7명도 이름을 올렸다.기업분석 전문업체 한국CXO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의 ‘비오너 임원 주식 평가액 현황’ 조사를12일 발표했다. 시총 규모 2조원 이상 기업(149개) 중 오너 일가를 제외한 임원들의 보유 자사주를 6일 종가 기준으로 평가했다.비오너 임원 중 조사 대상 회사에 주식을 1주라도 보유한 경우는 3448명으로 조사됐다. 이들 중 10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 주식 재산을 지닌 임원은 165명이었다. 10억원대가 72명으로 최대였고, 30억원대가 8명으로 가장 적었다. 100억원 이상의 임원은 27명으로, 작년 조사 대비 5명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주식 재산 1위는 크래프톤 계열사 라이징윙스의 김정훈 대표가 차지했다. 김 대표는 크래프톤 주식을 84만 3275주 보유해 주식 평가액이 2724억원에 달했다.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는 55만 5044주를 가져 뒤를 이었다. 액수로는 179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조사에서 1위였던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이정호 대표(1732억원)는 그 사이 재산이 293억원 늘었음에도 3위로 밀려났다. 올해 상반기 주가 상승률이 500.26%에 달한 실리콘투의 손인호 부사장(4위·957억원), 펄어비스의 지희환 최고기술책임자(5위·756억원)와 윤재민 부의장(6위·722억원)도 주요 순위권에 올랐다.MZ세대 임원 부자 가운데선 1981년생의 스콧 사무엘 브라운 하이브 사내이사(7위·600억원), 1983년생인 신재하 에이피알 부사장(18위·305억원) 등이 포함됐다. 조사 대
-
국내 상장사 10곳 중 6곳, 2분기 시가총액 줄어들어
2분기 국내 상장사 10곳 중 6곳의 시가총액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합산 시총은 소폭 증가했다. 기업분석 전문업체 한국CXO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의 ‘2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우선주를 제외한 상장 종목 2702개다. 시총 변화는 지난 3월 29일과 6월 28일 종가 기준으로 비교했다.2분기 시총이 감소한 기업 수는 1647개다. 전체의 61%다. 절반 넘는 기업의 주가가 하락했지만, 상장사 합산 시총은 늘었다. 우량주들 상승세 덕분이다. 지난 3월 말 2599조원이었던 합산 시총은 6월 말까지 22조원(0.8%) 증가해 2621조원을 기록했다. SK하이닉스가 2분기 시총이 38조9481억원 늘어 증가 규모로는 가장 컸다.이시은 기자
-
2분기 상장사 60% 시가총액 감소…LG엔솔, 16조 꺾여 1위
2분기 국내 상장사 10곳 중 6곳의 시가총액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합산 시총 자체는 소폭 증가했다. 시총이 가장 많이 늘어난 기업은 SK하이닉스, 가장 많이 감소한 곳은 LG에너지솔루션이었다.기업분석 전문업체 한국CXO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의 ‘2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우선주를 제외한 상장 종목 2702개다. 각사 시총 변화는 지난 3월 29일과 6월 28일 종가 기준으로 비교했다.2분기 시총이 감소한 기업 수는 1647개다. 전체의 61%다. 938개(34.7%)는 시총이 증가했고, 117개(4.3%)는 신규로 상장되거나 시총 변화가 없었다. 절반 넘는 기업들 주가가 하락했지만, 상장사 합산 시총은 근소하게 늘었다. 지난 3월 말 2599조원이었던 합산 시총은 6월 말까지 22조원 증가해 2621조원을 기록했다. 상승률로 따지면 0.8%다.SK하이닉스가 최근 3개월간 시총이 38조9481억원 늘어 증가 규모로는 가장 컸다. 뒤는 현대차(12조4909억원), 기아(7조3964억원)가 이었다. 시총 증가율로는 실리콘투(302.2%), 삼양식품(217.8%)이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시총이 1조원을 넘는 ‘1조 클럽’ 상장사 수도 10개가 증가해 273개가 됐다. 같은 기간 시총이 가장 많이 줄어든 기업은 LG에너지솔루션(16조290억원)이었다. 시총 감소 규모가 1조원 이상인 곳도 32개로 나타났다.이에 따라 기업들 시총 순위도 요동쳤다. KB금융이 13위에서 8위로 올랐고, 현대차도 한 단계 올라 4위에 안착했다. 삼성SDI는 9위에서 14위로 후퇴했다. LG화학도 10위에서 13위로 내려가 10위권 명단에서 사라졌다.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
-
"GPU는 새로운 석유…엔비디아 시총 5조달러 간다"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는 기술 분야의 금이요, 석유다.”대니얼 아이브스 미국 웨드부시증권 애널리스트가 18일(현지시간) 시가총액 1위에 오른 엔비디아에 내놓은 평가다. 그는 “4차 산업혁명이 진행되는 가운데 더 많은 기업과 소비자가 인공지능(AI) 길로 들어서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테크업계에선 현재 AI산업이 초창기인 만큼 앞으로 시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AI 칩 시장의 80%를 점유하고 있는 엔비디아가 앞으로도 가장 큰 수혜를 보면서 시총이 4조~5조달러로 불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AI 주도로 사업 재편”엔비디아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시총 3조달러를 넘어섰다. 시총이 불어난 속도는 역대 1위다. 시작은 2022년 11월 등장한 챗GPT였다. 생성형 AI가 모든 산업을 재편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면서 대규모언어모델(LLM) 학습과 추론에 필수적인 GPU를 만드는 엔비디아 몸값이 치솟았다. 작년 6월 시총 1조달러를 넘어선 엔비디아는 8개월 후인 올해 2월 2조달러로 내달렸다. 그리고 3개월여 만인 지난 6일 다시 3조달러를 돌파했다. MS와 애플이 시총 2조달러에서 3조달러까지 걸렸던 시간을 10분의 1로 단축했다. 업계에선 ‘AI 산업혁명’이 본격화된 만큼 엔비디아의 시총 1위 등극이 ‘삼일천하’로 끝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차세대 AI 모델을 개발 중인 빅테크들이 앞다퉈 엔비디아에 GPU 대량 주문을 넣고 있다. 여기에 세계 각국 정부도 AI 훈련용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면서 엔비디아의 새 수익원 역할을 하고 있다. 엔비디아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데이터센터 사업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
-
코스피 연중 최고치 경신…시총 2·3위 주가 흐름 엇갈려
코스피지수가 연중 최고점 랠리를 이어가고 있다. 올들어 시가총액 상위종목 중 SK하이닉스, 현대차 등이 크게 오른 덕택이다. 반대로 LG에너지솔루션, 네이버 등 성장주는 부진한 모습이다.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28일 장마감 기준 2126조3725억원이던 유가증권시장 전체 시총은 이날 2280조6742억원으로 154조3016억원 늘었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가 2655.28에서 2797.33으로 5.35% 오르며 연고점 랠리를 지속하고 있는 영향이다.이와 같은 상승세엔 올들어 유가증권시장 시총 상위 대형주들이 크게 오르고 있는 것이 주 원인으로 분석된다.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들의 작년말과 현재 시총을 비교 분석한 결과 유가증권시장 시총 2위인 SK하이닉스 시총이 103조123억원에서 169조9885억원으로 66조9762억원(65.02%) 증가하며 가장 많이 늘었다. 이 회사 혼자서만 유가증권시장 시총 증가분의 43.41%를 차지했다.이어 현대차 시총이 43조467억원에서 59조9977억원으로 16조9510억원(39.38%) 늘었으며, 삼성전자 시총이 468조6279억원에서 484조7463억원으로 16조1184억원(3.44%) 늘었다. 뒤를 이어 기아(4위)가 시총이 12조6968억원 늘었고, 한미반도체(5위)가 11조1620억원, 셀트리온(6위)이 10조2964억원, KB금융(7위)이 10조70억원, HD현대일렉트릭(8위)이 7조6708억원 늘며 뒤를 이었다.반대로 시총 상위 대형주 중에서 체면을 구긴 종목들도 있었다. 대표적으로 유가증권시장 시총 3위인 LG에너지솔루션 시총은 작년말 100조350억원에서 현재 80조2620억원으로 19조7730억원(-19.77%) 감소하며 가장 많이 줄었다.이어 POSCO홀딩스 시총이 42조2433억원에서 31조5450억원으로 10조6982억원(-25.33%) 줄었고, LG화학이 35조2256억원에서 25조3779억원으로 9
-
10분의 1 가격에 산다…엔비디아 주식분할에 '시총 2위'로
인공지능(AI) 주도주로 미국 증시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엔비디아가 10일(현지시간) 주식 분할 이후 첫 거래에서 0.75% 상승해 마이크로소프트(MS)에 이어 시가총액 2위에 올랐다.마켓워치에 따르면 이날 엔비디아 주가는 전날보다 0.75% 오른 121.79달러에 장을 마쳤다. 시가총액은 2조9958억달러(약 4132조원)로 애플(2조9600억달러)을 제치고 2위를 탈환했다. 엔비디아는 지난 7일 1208.88달러로 마감한 뒤 당일 주식 가치가 10분의 1로 분할돼 주당 120.88달러로 조정됐다. 대신 엔비디아 보통주 주주들은 보유 주식 수가 10배로 늘어났다. 분할 전 엔비디아 주가가 120달러에 거래된 시기는 2022년 10월이었다. 1200달러로 900% 상승하는 데 2년이 채 걸리지 않았다.시장에서는 주식 분할 효과로 엔비디아의 추가 랠리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 대형 투자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주식 분할을 한 기업 주가가 1년 후 평균 25.4% 급등했다고 분석했다. 소액 투자자의 접근이 용이해진 데다 주식 분할 자체가 주로 실적 모멘텀이 강해 주가가 상승 추세일 때 이뤄지기 때문이다.엔비디아의 현재 주가수익비율(PER)은 45배다. 급격한 이익 증가가 전망되면서 지난 2월(60배)보다 낮아졌다. 제프 밀스 베서머트러스트 수석투자전략가는 “엔비디아는 여전히 상승하고 있지만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이 낮아졌다”며 “이익이 증가하는 한 주가는 계속 달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엔비디아가 주식 분할로 다우지수에 편입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미국 주요 업종을 대표하는 30개 우량주로 구성된 다우지수에는 반도체 대표로 인텔이 편입돼 있다. 올 들어 엔비디아가 반도체 대표 주식으로 떠오르면서 인텔 대
-
"공매도에 장사 없다" 엔비디아 '1일 천하'…시총 3위로 추락
애플을 제치고 미 증시 시가총액 2위 자리를 차지했던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 주가가 하락해 다시 3위로 내려앉았다. 주가가 과도하게 올랐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공매도가 몰린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6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전날보다 1.18% 내린 1209.98달러(약 166만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장 초반 한때 2% 이상 상승세를 보이며 1255.87달러까지 오르기도 했으나, 이후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며 4거래일 만에 첫 하락 마감했다.전날 3조 달러를 처음 넘어섰던 시가총액도 2조9780억 달러(4088조원)로 3조 달러 아래로 내려왔다. 시총 순위에서도 하루 만에 애플(2조9820억달러)에 2위 자리를 내줬다. 시총 1위 마이크로소프트(MS) 주가는 이날 0.12% 올라 시총 3조1550억달러를 기록, 전날보다 격차가 더 벌어졌다. 이날 엔비디아 주가 하락은 오는 10일부터 시행되는 주가 10분의 1분할을 앞두고 그동안 급등으로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엔비디아가 AI 칩 시장의 80%를 장악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법무부가 반독점법 위반 여부에 대해 조사할 예정이라는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엔비디아 주식에 대한 공매도 역시 꾸준히 몰리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이날 금융정보업체 S3 파트너스의 데이터를 인용해 엔비디아에 대한 미결제 공매도 베팅액은 약 340억달러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이는 애플과 테슬라의 공매도를 합친 금액의 두 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엔비디아 주가는 지난달 22일 분기 실적 발표 이후 949.50달러에서 전날까지 2주일 만에 30% 가까이 급등했다. 올해 들어선 143% 올랐다. 시총은 1조7000억달러
-
몸값 30조 뛴 SK하이닉스…1분기 시가총액 증가 1위
올해 1분기 국내 상장사 시가총액이 100조원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가총액 증가 액수가 가장 큰 기업은 SK하이닉스였다.기업분석 전문업체 한국CXO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의 1분기 국내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우선주를 제외한 2692개 상장사다.지난달 말까지 국내 상장사 시가총액 규모는 2599조원으로 연초(2503조원) 대비 96조원 증가했다. 시가총액이 1조원을 넘긴 기업은 올해 초 259개에서 3월 말에는 263개로 늘었다. 이 기간 14개 기업의 시가총액이 1조원 아래로 떨어졌지만, 18개 업체가 새롭게 이름을 올리며 수가 늘었다.1분기 시가총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기업은 SK하이닉스다. 시가총액이 올해 초 103조6675억원에서 지난달 말 133조2233억원으로 29조5568억원 늘었다. 이 기간 삼성전자 시가총액은 475조1946억원에서 491조9100억원으로 16조7153억원 늘어 1위를 굳건히 했다. 이밖에 셀트리온(7조7988억원) 한미반도체(7조960억원) HLB(6조8830억원) 등 35개 업체의 시가총액이 1조원 넘게 증가했다.LG에너지솔루션은 3개월 사이 시가총액이 100조5030억원에서 92조4300억원으로 8조730억원 줄어 감소 액수가 가장 컸다. 네이버(-6조5125억원) POSCO홀딩스(-5조5817억원) 에코프로머티(-4조7668억원) 등도 시가총액 하락세가 가팔랐다.우선주를 포함한 국내 주요 그룹 중 합산 시가총액이 100조원을 넘긴 곳은 삼성(754조5284억원) SK(207조7517억원) LG(177조3129억원) 현대차(152조5616억원) 등 4곳으로 나타났다.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
-
삼성전자·SK하이닉스 시총 34조원 '폭증'…4월 증시는?
연초 주춤했던 국내 증시가 이달 들어 일부 글로벌 지수보다 높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의 대형주 순매수 기조 속 시가총액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다만 대형주 중심으로 상승세가 이어지며 코스닥시장은 2개 종목 상승분을 제외하면 오히려 연초 대비 시가총액이 줄어들었다.27일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올해 코스피 지수 변동률(YTD)은 3.85%다. 코스닥지수는 5.15%로 코스피 지수보다 더 많이 올랐다. 이는 같은 기간 미국 나스닥지수(8.69%)와 S&P500(9.09%), 닛케이225지수(21.89%)보다는 낮았지만, 다우존스지수(4.23%), 러셀2000(2.00%), 영국 FTSE(2.56%), 중국 상해 종합(1.73%)보다 높았다.국내 증시 시가총액도 늘었다. 유가증권시장 시총은 작년 말 2126조원에서 26일 기준 2248조원으로 올해 122조원 늘었다. 코스닥시장도 같은 기간 431조원에서 436조원으로 5조원가량 늘었다.일부 대형주의 상승세가 지수 상승을 대변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대장주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만으로 34조원이 증가했다. 금융업종은 52조원, 운수장비는 25조5000억원 늘었다. 사실상 '기업 밸류업 방안'의 수혜주로 꼽히는 금융주와 반도체가 시총 증가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셈이다. 코스닥시장에서도 바이오주인 알테오젠과 HLB의 시총이 16조원 증가했다. 두 종목의 증가분을 빼면 코스닥시장 전체 시총은 작년 말보다 12조원가량 줄어드는 것이다.시장에서는 외국인 투자자와 기관 투자가의 선호도에 따라 종목별 차별화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작년 2차전지를 끌어 올렸던 개인 투자자들이 올해는 국내 증시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개인 투자자들의
-
국내 증시 시총 상위권 '지각변동'
올 들어 유가증권시장에서 시가총액 상위권의 순위 변화가 큰 폭으로 나타났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로 저PBR(주가순자산비율)주는 뜨고, 2차전지 관련주는 내려갔다.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5일 기준 유가증권시장 시총 상위 20개 종목 가운데 15개가 지난해 말 대비 순위가 바뀌었다. PBR이 낮은 금융주의 주가 상승폭이 컸다. 가장 많이 순위가 오른 종목은 하나금융지주다. 지난해 말 28위에서 이달 20위로 8계단 뛰었다.KB금융도 지난해 말 17위에서 10위로 7계단 올랐다. 2018년 12월 이후 5년3개월 만에 시총 10위로 올라섰다. 셀트리온(12위→8위) 신한지주(18위→15위) 삼성생명(21위→19위) 등도 순위가 올랐다. 52주 신고가를 다시 쓴 이들의 상승세에 코스피지수는 14일 종가 기준 2700선을 뚫었다.전기차 업황 부진 우려 속에 주가가 급락한 2차전지 종목은 순위가 대폭 내려갔다. 포스코퓨처엠은 13위에서 17위로 4계단 떨어졌다. 포스코홀딩스(7위→9위) 삼성SDI(11위→13위) LG화학(10위→11위) 등도 내려갔다. 카카오는 지난해 말 14위에서 이달 18위로, 네이버는 9위에서 12위로 밀렸다.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삼성바이오로직스 현대모비스는 시가총액 순위를 유지했다.코스닥시장도 시총 상위 20개 종목 가운데 16개의 순위가 바뀌었다. 지난해 말 시총 50위권에도 못 들었던 신성델타테크는 이달 10위로 껑충 뛰었다. 엔켐(37위→7위) HLB생명과학(47위→16위) 등도 크게 올라갔다.휴젤(20위→12위) 레고켐바이오(23위→18위)의 오름폭도 컸다. JYP엔터테인먼트는 지난해 말 7위에서 이달 11위로 4계단 내려갔다.윤아영 기자
-
비만치료제 열풍…제약株 시총 10년 만에 최대
세계 주요 제약사 500곳의 시가총액이 10년 만에 최대치로 치솟았다. 비만치료제가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제약사에 대한 투자 열기가 뜨거워진 덕분이다.13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금융정보업체 퀵팩트셋 데이터 기준 글로벌 제약사 500곳의 시가총액은 5조8000억달러(약 7613조원)다. 이는 지난해 말보다 7% 증가한 수치다. 2019년 말 기준 4조2000억달러에 불과하던 제약사 500곳의 시가총액은 2021년 말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 기대로 5조5000억달러까지 치솟았다. 이후 리오프닝 영향으로 2022년 말 5조2000억달러로 쪼그라들었다.작년부터 비만치료제에 관심이 커지면서 글로벌 제약사 주가가 급등했다. 2021년 6월 덴마크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처음 승인받으면서 비만치료제가 투자자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11일 기준으로 미국 일라이릴리의 시총은 6977억달러로 글로벌 제약사 중 1위다. 주가는 작년 말보다 30%가량 상승해 미국 상장사 중 9위다. 뒤를 이어 노보노디스크는 시총 5916억달러로 작년 말보다 30% 증가했다. 노보노디스크는 지난해 비만치료제 위고비 열풍에 힘입어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를 제치고 유럽 시총 1위를 차지했다.반면 미국 화이자는 2021년 말 제약사 순위 3위에서 올해 9위로 떨어졌다. 화이자는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판매로 큰 인기를 얻었으나 비만치료제 개발에는 아직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신정은 기자
-
글로벌 제약사 시총 5.8조달러…10년 만에 최대
전 세계 주요 제약사 500곳의 시가총액이 10년 만에 최대치로 치솟았다. 비만치료제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제약사에 대한 투자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13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자회사인 금융정보업체 퀵(QUICK) 팩트셋 데이터 기준 글로벌 제약사 500곳의 합계 시가총액은 5조8000억달러(약 7613조원)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말보다 7% 증가한 수치로, 10년 만에 최대치다.2019년 말 기준 4조2000억달러에 불과했던 제약사 500곳의 시가총액은 2021년 말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 대한 기대감으로 5조5000억달러까지 치솟았다.이후 리오프닝이 시작되면서 제약사 500곳의 시가총액은 2022년 말에는 5조2000억달러로 쪼그라들었다. 하지만 비만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작년부터 제약사 주가가 급등했다.비만치료제 등장으로 글로벌 제약사의 희비도 갈렸다. 전 세계 제약사 가운데 현재 시가총액 1, 2위는 비만치료제 선두 주자인 미국 일라이릴리와 덴마크 노보노디스크다.일라이릴리의 시가총액은 11일 기준 6977억달러로 작년 말보다 30%가량 상승했다. 미국 상장사 가운데는 9위다. 시총 1조달러 클럽 가입도 넘보고 있다. 노보노디스크 현재 시가총액은 5916억달러로 역시 작년 말보다 30% 올랐다. 노보노디스크는 지난해 비만치료제 위고비 열풍에 힘입어 명품기업 루이비통모엣헤네시(LVMH)를 제치고 유럽 시가총액 1위로 올라섰다.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는 2020년 말까지만 해도 시가총액 3위권에 들지 못했다. 2021년 6월 노보노디스크 위고비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처음 승인받으면서 비만치료제가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았고, 이 두회사의 시가총액은 2023년엔 오랜 기
-
美 항공사 '물귀신'된 보잉…사우스웨스트 주가 15% 급락
미국 항공기 제작사 보잉의 737 맥스 여객기 인도가 지연되며 미국 항공사들도 실적을 하향하고 채용을 중단하는 등 사업에 차질을 빚고 있다. 보잉 대신 에어버스와 계약을 체결하는 항공사들이 늘면서 보잉과 에어버스 간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미 CNBC 방송은 사우스웨스트 항공이 보잉 737 맥스 항공기의 인도 지연으로 올해 운송 및 실적 전망을 하향한다고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올해 총 79대가 인도될 것으로 예상했던 보잉 항공기가 46대로 줄어든 영향이다. 사우스웨스트는 여객기 전량을 보잉 737 맥스 기종으로 운영하고 있다. 실적 전망 하향 조정의 여파로 이날 뉴욕증시에서 사우스웨스트 주가는 14.86% 급락했다. 4년만에 최대 낙폭이다. 알래스카 항공도 이날 JP모건이 주최한 항공업계 콘퍼런스에서 보잉의 여객기 인도가 지연되며 올해 운송 전망이 유동적이라고 밝혔다. 알래스카 항공은 보잉에 대한 미 연방항공청(FAA) 및 법무부 조사로 여객기 인도 지연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스콧 커비 유나이티드 항공 CEO는 이날 콘퍼런스에서 보잉에 737 아직 FAA 인증을 받지 않은 맥스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