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예금 이자 더 받자"…은행→상호금융 '이동'

    "예금 이자 더 받자"…은행→상호금융 '이동'

    농협 수협 신협 산림조합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권으로 시중 자금이 몰리고 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에 따라 은행 예금 금리가 연 2%대 초반까지 떨어진 여파다. 상대적으로 고금리를 주는 데다 비과세 혜택까지 부각되자 ‘예테크(예금+재테크)족’의 자금 이동이 본격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연 3%대 고금리 유지18일 한은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상호금융권 수신 잔액은 지난 4월 말 기준 921조2937억원으로 집계됐다. 3월 말(917조8040억원)보다 3조4897억원 늘었다. 1월 말(906조6098억원)과 비교하면 석 달 새 14조원 넘는 자금이 몰렸다.시중은행에서는 자금이 빠지고 있다.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17일 기준)은 총 938조5633억원으로 이달 들어 2조3042억원 감소했다. 지난달에는 정기예금 잔액이 18조3953억원 늘었는데 한 달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비교적 높은 금리를 찾는 예테크족 자금이 상호금융권으로 이동한 것으로 풀이된다. 상호금융권이 연 3%대 고금리 예금 특판을 앞세워 신규 자금을 공격적으로 유치하고 있어서다. 예컨대 충북 영운·용암 새마을금고에서는 연 3.3% 금리를 주는 1년 만기 정기예금 특판 상품을 판매 중이다. 공주신협도 연 3.4% 금리를 내걸고 1년 만기 정기예금 가입자를 모집하고 있다.시중은행 예금금리는 내림세가 뚜렷하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전국 은행에서 판매 중인 38개 정기예금의 기본금리(1년 만기)는 평균 연 2.26%다. 일부 은행의 1년 만기 예금 기본금리는 연 1%대까지 내려왔다. 이날 기준 수협은행의 ‘Sh 첫만남우대예금’ 기본금리는 연 1.85%, iM뱅크 ‘iM주거래우대예금’과 BNK부산은행 ‘더

  • 농협, 비상경영 선포…"예산 20% 절감"

    농협, 비상경영 선포…"예산 20% 절감"

    농협이 예산의 20%를 절감하는 고강도 자구책을 추진한다.농협중앙회는 19일 서울 충정로 본관에서 ‘제3차 범농협 비상경영대책위원회’를 열고 비상경영 체계를 가동했다고 밝혔다. 범농협 비상경영대책위는 앞으로 중앙회와 농·축협, 계열사를 아우르는 농협의 비상경영 체제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다. 위원장은 지준섭 농협중앙회 부회장이 맡는다. 비상경영대책위는 이날 중앙회와 계열사 예산의 20%를 절감하는 고강도 자구책을 추진해 범농협 차원에서 경영 위기를 극복한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지 부회장은 위원회에서 “비상경영 대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달라”고 당부했다.농협은 올해 1분기 유통 부문에서 당초 예상보다 큰 폭의 적자가 발생하자 비상경영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강호동 농협중앙회 회장(사진)도 지난 3월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적자를 내는 유통 부문 구조조정 계획을 밝혔다.강 회장은 당시 기업회생 신청을 한 홈플러스를 거론하며 “농협이 농어민을 위한 유통에 헌신한 부분이 있지만, 문제가 있다면 과감하게 수술대에 올려 정비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며 “적자 계열사에 대해 고강도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안 되면 폐업하더라도 부담을 경감하겠다”고 약속했다.김익환 기자

  • [단독]  PF로 한눈 팔더니…농·수·신협, 부실채권 27兆 넘어

    [단독] PF로 한눈 팔더니…농·수·신협, 부실채권 27兆 넘어

    ‘풀뿌리 금융’으로 불리는 농협·수협·신협·산림조합 등 4대 상호금융의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이 지난해 27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1.6배 급증한 규모다. 신협과 수협에선 단위조합 962곳 가운데 3분의 1가량인 314곳이 적자를 봤다. 지역·서민금융 공급이라는 본연의 역할을 소홀히 하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에 한눈을 판 결과라는 지적이다. ◇ 부실채권 5년 새 3배 늘어1일 한국경제신문이 금융감독원의 금융통계를 통해 전국 상호금융 단위조합 2164곳의 실적 및 자산 건전성 등을 분석한 결과, 이들이 보유한 부실채권은 지난해 말 기준 27조3517억원으로 파악됐다. 2023년 말 17조3535억원 대비 57.6% 급증했다. PF 부실이 본격화하기 전인 2022년(9조1339억원)에 비하면 세 배 가까이 늘었다.전체 대출에서 부실채권이 차지하는 비중(고정이하여신비율)은 5.26%로 전년(3.41%) 대비 1.85%포인트 뛰었다. 전체 대출 중 5%는 회수가 쉽지 않은 채권이라는 의미다. 금감원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가장 높은 부실률이다. 수협(7.20%), 신협(7.08%), 산림조합(6.58%), 농협(4.53%) 등 개별 조합들도 모두 최고치였다.상호금융 부실의 심각성은 은행과 비교하면 쉽게 파악된다. 국내 20개 은행의 작년 말 부실채권은 14조8000억원으로 상호금융의 절반 수준이다. 하지만 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53%로 상호금융의 10분의 1에 그쳤다. 중저신용자 대출을 주로 취급하는 상호금융이 은행에 비해 부실채권이 많이 발생하긴 하지만, 부실채권비율이 10배에 달한 것은 이례적이라는 지적이다.수협의 작년 말 기준 부실채권은 2조4495억원으로 전년 대비 72.5% 급증했다.

  • 새마을금고·수협·신협, 60년 만에 최악 '2.4조원 적자'

    새마을금고·수협·신협, 60년 만에 최악 '2.4조원 적자'

    새마을금고, 신협, 수협 등이 창립 60여 년 만에 역대 최대 규모 ‘적자 쇼크’에 빠졌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직격탄을 맞으면서다. 상호금융권의 수익 및 건전성 악화 수준이 1997년 외환위기 때보다 심각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역대급 적자와 연체율 상승에도 상호금융의 덩치가 불어나자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새마을금고·신협·수협 2.4조원 적자21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4년 새마을금고 영업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1276개 새마을금고가 1조7382억원 순손실을 기록했다. 전년 860억원 순이익을 낸 것과 비교해 실적이 큰 폭으로 악화했다. 1963년 새마을금고 출범 후 최대 규모 적자다.신협과 수협도 적자 규모가 창립 이후 가장 크다. 같은 날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상호금융조합 영업실적’에 따르면 신협과 수협은 지난해 각각 3419억원, 2725억원 순손실을 냈다. 1960년 설립된 신협은 2002~2023년 22년 연속 흑자 기록을 세웠으나 지난해 적자 전환했다. 수협 역시 1962년 창립 이후 최대 규모 적자를 기록했다. 과거 외환위기 여파가 미친 1999~2001년보다 적자 폭이 크다. 지난해 새마을금고, 신협, 수협 등의 적자를 합하면 2조3526억원에 달한다.상호금융권이 역대 최대 규모 적자를 낸 것은 부동산 PF 부실이 확대돼 대손충당금을 대규모로 쌓았기 때문이다. 대손충당금은 대출 회수가 어려운 때를 대비해 미리 마련해 두는 일종의 준비금으로 회계상 비용으로 처리된다.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1조6000억원 규모의 대손충당금을 적립했다. 신협과 수협은 지난해 각각 충당금 약 6500억원, 800억원을 쌓았다.농협과 산림조합은

  • 농협은행, 런던·호찌민 등 해외지점 4곳 늘린다

    농협은행, 런던·호찌민 등 해외지점 4곳 늘린다

    농협은행이 내년까지 영국 싱가포르 인도 베트남 등 주요 국가에 신규 지점 4곳을 추가로 설립하기로 했다.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겠다는 전략이다.20일 금융권에 따르면 농협은행은 글로벌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신규 지점 설립을 적극 추진 중이다. 농협은행은 현재 2개 법인(미얀마·캄보디아)과 6개 지점(미국 뉴욕, 베트남 하노이, 중국 베이징, 호주 시드니, 인도 노이다, 홍콩)을 운영 중이다. 영국 런던, 싱가포르, 베트남 호찌민, 인도 남부에 추가 지점을 설립해 2개 법인, 10개 지점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가장 속도가 빠른 곳은 런던 지점이다. 올해 상반기 런던 사무소의 지점 전환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농협은행은 2021년 8월 런던 사무소를 개소한 뒤 꾸준히 지점 전환을 추진해왔다. 런던 지점을 거점으로 삼고 유럽과 중동, 아프리카 지역으로 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호찌민과 싱가포르에서는 내년 지점을 설립하는 게 목표다. 인도에서는 2023년 5월 설립된 노이다 지점에 이어 2호 지점을 낼 계획이다. ‘인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뱅갈루루 등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지점 설립 지역을 물색하고 있다.자산 규모도 확대 중이다. 농협은행 글로벌 사업 부문의 총자산은 2023년 말 3조1724억원에서 2024년 말 4조4081억원으로 39% 늘어났다.글로벌 사업은 농협은행의 고질적인 약점으로 꼽혔다. 다른 국내 은행은 2000년대 초부터 해외에 진출했지만 농협은행은 2012년 농협금융의 ‘신경 분리’(금융사업과 중앙회 분리) 이후 본격적으로 글로벌 사업에 뛰어들었기 때문이다.강태영 신임 농협은행장은 취임 후 글로벌 사업 행보에 나서고 있다. 강 행장은

  • 신협·수협 등 상호금융도 은행 수준으로 규제한다

    신협·수협 등 상호금융도 은행 수준으로 규제한다

    정부가 제각각인 농·수·신협, 산림조합, 새마을금고 등 5대 상호금융회사의 감독 기준을 상향 평준화한다. 일부 건전성 기준은 은행 수준의 강한 규제를 도입하기로 했다.금융위원회는 3일 관계부처와 올해 2차 상호금융정책협의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상호금융권 건전성 제고 방안을 논의했다. 각 조합을 관할하는 행정안전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산림청과 각 조합 중앙회 관계자가 참석했다. 각 부처는 지난해 새마을금고 ‘뱅크런’ 사태를 계기로 상호금융권 감독 공조를 강화하기로 했다. 지난 5월 1차 협의회에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대응 방안을 주로 논의했다.이날 협의회에선 조합의 자본 확충, 중앙회의 위기 대응 역량 강화, 대형 조합 관리 등 주제별로 총 10대 과제를 지정했다. 자본 확충을 위해 먼저 조합의 분할·해산 등에 대비하는 의무 법정적립금을 자기자본의 세 배로 상향 평준화하기로 했다. 신협의 경우 의무 법정적립금이 납입출자금 총액의 두 배였는데, 농·수협 및 산림조합과 같은 자기자본의 세 배 수준으로 올라간다. 관련 규정이 미비한 새마을금고도 같은 규제를 받도록 할 방침이다.상호금융권의 적기시정조치 기준도 강화한다. 적기시정조치는 금융사의 건전성 지표가 일정 기준에 미달하면 금융당국이 조치하는 강제 구조조정이다. 경영개선 권고, 요구, 명령으로 나뉜다. 금융당국은 가장 강도가 낮은 경영개선 권고의 기준을 농협 수준(순자본비율 5% 미만)으로 단계적으로 높일 계획이다. 현재 신·수협과 산림조합은 자본비율이 2% 미만, 새마을금고는 4% 미만까지 내려가야 경영개선 권고를 받는다.상호금융권 대형화

  • '사고뭉치' 상호금융…6년간 1500억 날려

    지난 6년간 농협과 수협, 신협, 산림조합 등 상호금융업권에서 총 242건의 금융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법률상 금융당국의 관리·감독이 이뤄지지 못해 상호금융 개별 단위조합의 금융사고가 반복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4개 상호금융사에서 발생한 금융사고는 총 242건이다. 횡령·유용, 사기, 배임, 도난·피탈 등의 사고가 68개월 동안 한 달에 평균 4회씩 금감원에 보고됐다. 전국 단위조합이 1111개로 가장 많은 농협에서 절반이 넘는 135건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 신협(79건), 수협(24건), 산림조합(4건)이 뒤를 이었다.금융사고 금액은 68개월 동안 총 1526억원으로 집계됐다. 농협에서 발생한 사고 규모가 1087억원으로 가장 컸다. 이어 신협(216억원), 수협(128억원), 산림조합(95억원) 순이었다. 올해(1~8월)만 따지면 산림조합에서 발생한 금융사고가 75억원으로 가장 많았다.유 의원은 “개별 단위조합의 부실한 내부 통제로 상호금융업권에서 금융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정의진 기자

  • [단독] 농·수·신협 '적자 조합' 745개로 폭증…관리·감독 안돼 부실 눈덩이

    [단독] 농·수·신협 '적자 조합' 745개로 폭증…관리·감독 안돼 부실 눈덩이

    농협, 수협, 신협, 산림조합 등 상호금융의 개별 단위조합 3곳 중 1곳이 올해 상반기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파악됐다. 무리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투자로 적자 늪에 빠진 단위조합이 지난 5년 사이 네 배로 증가했다. 자산이 1조원 이상인 대형 단위조합이 5년간 두 배로 늘었지만, 상호금융이 ‘몸집만 불린 부실 덩어리’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부동산 PF 부실로 적자 조합 급증1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농·수·신협과 산림조합 등 4개 상호금융의 단위조합(2208개) 가운데 올해 상반기 적자를 낸 조합은 총 745개였다. 2019년(173개)과 비교하면 네 배 이상 많다. 적자 단위조합은 저금리에 힘입어 2020년 120개에서 2022년 72개로 줄었다. 하지만 2023년 356개로 급증하더니 올해는 반년 만에 두 배로 불어났다.4개 상호금융의 전체 단위조합 중 적자 단위조합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9년 7.8%에서 작년 말 16.1%로 높아진 뒤 올해 6월 말 33.7%로 치솟았다. 수협은 90개 조합 중 66개(73.3%)가 올해 상반기에 순손실을 냈다. 같은 기간 산림조합은 141개 단위조합 중 80개(56.7%)가 적자를 기록했다. 전체 단위조합이 총 886개인 신협은 절반에 가까운 441개(49.8%)가 올해 1~6월 적자를 냈다. 단위조합이 1111개로 가장 많은 농협은 154개(13.9%)가 올 상반기에 순손실을 기록했다.상호금융의 경영 상황은 코로나19가 닥치기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도 크게 나빠졌다. 4개 상호금융회사의 전체 단위조합은 2019년 2228개에서 올해 6월 말 2208개로 줄었지만, 적자 단위조합은 같은 기간 173개에서 745개로 330% 늘었다.적자 조합이 늘면서 상호금융회사의

  • 농협·수협, 대출액 400조 육박…재무건전성 '빨간불'

    농협·수협, 대출액 400조 육박…재무건전성 '빨간불'

    총대출액이 400조원에 달하는 농어촌 지역 농협·수협·산림조합의 재무 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공동대출 부실 등으로 연체액이 16조원에 육박하면서다. 농협은 회수가 어려운 부실채권을 사상 처음으로 외부에 매각하기로 했다.6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농협·수협·산림조합중앙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세 개 단위조합의 조합원 상호금융 대출 잔액은 391조4490억원으로 집계됐다.2021년(348조7269억원)에 비해 42조7221억원 늘었다. 올 들어서도 6개월 새 4조원 넘게 증가했다. 대출 잔액은 농협 단위조합이 348조5498억원, 수협 34조1603억원, 산림조합은 8조7389억원이다. 상호금융은 지역 단위조합 차원에서 조합원 간 자금을 융통하는 사업이다.연체 증가 속도는 더 가파르다. 농협 단위조합 연체율은 2021년 0.88%에서 올 6월 3.81%로 4.3배 뛰었다. 국내 전체 은행의 평균 연체율(0.42%)을 크게 웃돈다. 농협 단위조합에서 최고 연체율은 37.61%에 달했다. 수협 단위조합 연체율은 2021년 1.64%에서 올 6월 6.08%로, 산림조합 단위조합은 같은 기간 1.50%에서 5.63%로 증가했다.이들 세 기관에서 연체율이 10%를 넘는 단위조합은 농협 72개, 산림조합 19개, 수협 9개 등 총 100곳에 이른다. 전체 대출 잔액 가운데 연체액은 15조8000억원으로 파악됐다.적자 조합도 상당하다. 작년 말 기준 산림조합은 140곳 중 절반에 가까운 64곳(45.7%)이 적자였다. 수협은 24.4%인 22곳 조합이 적자를 냈다. 농협의 적자 조합은 19곳(1.7%)이었다. 쌓여가는 부실채권 역시 골칫거리다. 임미애 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농협 상호금융의 고정이하여신(연체 3

  • 새마을금고, 적자 10배 늘어…점포 연쇄 합병 움직임

    새마을금고, 적자 10배 늘어…점포 연쇄 합병 움직임

    새마을금고와 신협 등 상호금융회사들이 창립 60여 년 만에 사상 최악의 성적표를 받은 것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급증한 영향이 크다. 가계대출보다 수익률이 높은 PF 대출에 몰두하다가 건설업 불황의 직격탄을 맞았다는 분석이다. 건전성이 극도로 악화한 일부 단위 조합(금고)들은 사실상 강제 합병에 내몰려 연쇄 통폐합이 이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새마을금고 충당금 1조4000억원3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새마을금고는 올 상반기 1조2019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1236억원) 대비 적자 폭이 열 배 늘어났다. 신협과 수협도 비슷한 처지다. 신협은 올 상반기 3375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전년 동기(-669억원)보다 적자 규모가 다섯 배 이상 불어났다. 수협의 올 상반기 순손실은 1586억원이다.상호금융권이 역대 최대 규모의 적자를 기록한 것은 부동산 PF 부실이 확대되면서 충당금을 대폭 쌓았기 때문이다. 새마을금고는 올해 상반기에만 1조4000억원 규모의 대손충당금을 신규로 적립했다. 작년 한 해 동안 적립한 충당금 규모(1조2000억원)를 이미 넘어섰다.올해 상호금융이 투자한 상당수 PF 사업장은 연체 상태로 전환된 상황이다. 금융사들이 금융당국 지침에 따라 대출만기 연장에 들어가지 않으면서다. 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더 많은 충당금을 쌓도록 압박하면서 적자 폭이 커진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연체율도 일제히 높아졌다.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은 작년 말 5.07%에서 올해 6월 말 7.24%로 2.17%포인트 뛰었다. 특히 부동산·건설업 대출 등 기업대출 연체율이 이 기간 7.74%에서 11.15%로 3.41% 급등했다. 신협(3.63%→6.25%), 농협(2.65%→3.65%), 수협(4.14%→6.08%)

  • 새마을금고·신협, 창립 60년 만에 최악 '적자 쇼크'

    새마을금고·신협, 창립 60년 만에 최악 '적자 쇼크'

    풀뿌리 서민금융기관인 상호금융조합과 저축은행이 ‘적자 늪’에 빠졌다. 새마을금고, 신협, 수협 등이 각각 반기 기준 사상 최대 적자를 기록하면서다. 건설·부동산 관련 대출 부실이 불어나며 이들 단위 조합과 금고의 연체율도 급등했다. 30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전국 1284개 새마을금고는 올해 상반기 1조2019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전년 동기(-1236억원)와 비교해 적자폭이 열 배가량 크다. 반기 실적 기준으로는 1963년 창립 이후 최대 적자다.신협과 수협 등도 마찬가지다. 신협은 올 상반기 3375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669억원) 대비 적자가 다섯 배 이상 급증했다. 수협의 올 상반기 순손실은 1586억원으로 전년 동기(+134억원) 대비 적자 전환했다. 신협은 1960년 설립된 이후 최대 적자를 냈고, 수협도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6년 이후 손실 규모가 가장 크다.상호금융의 적자 규모가 불어난 것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등의 부실 때문이다. 새마을금고는 올 들어 1조3986억원의 충당금을 새로 쌓았다. 연체율도 6월 말 7.24%로 상승했다.저축은행도 올 상반기 3804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내년 상반기까지 어려움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서형교/오유림 기자

  • 농협·신협·새마을금고도 한은과 직접 RP 거래한다

    농협·신협·새마을금고도 한은과 직접 RP 거래한다

    농협·신협·수협·산림조합·새마을금고·상호저축은행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 중앙회 6곳과 자산운용사 7곳이 한국은행의 공개시장 운영 대상 기관으로 새롭게 선정됐다. 앞으로 이들 금융회사는 한은과 직접 환매조건부채권(RP)을 거래할 수 있다. 한은은 이번 조치로 유동성 위기 등이 발생할 때보다 신속하게 이들 금융회사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한은은 18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은행과 증권사 등 57곳을 공개시장 운영 대상 기관으로 정했다고 밝혔다. 세부적으로 ‘통화안정증권 경쟁 입찰·모집 및 증권단순매매’ 대상 기관 23곳, ‘RP 매매’ 대상 기관 44곳, ‘증권대차’ 대상 기관 10곳 등(중복 선정 가능)이다. 이들은 다음달부터 1년간 한은의 공개시장 운영에 참여할 수 있다.농협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 중앙회는 RP 매매 대상 기관에 포함됐다. 이들 기관은 그동안 RP시장에서 거래가 어려워 운용사나 은행 신탁상품 등을 활용해 자금을 운용했다. 한은 RP를 거래하면 대규모 예금 인출 등 유동성 위기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지난해 새마을금고 사태 당시 새마을금고중앙회는 보유하고 있는 국채를 기반으로 자금을 빌릴 창구가 마땅치 않아 자금 운용에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새마을금고중앙회는 한은의 RP 거래 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시중은행이 새마을금고와 RP 매입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공급했다. 이번 조치를 통해 각 중앙회는 보유 국채 등을 담보로 한은에서 직접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됐다.자산운용사는 미래에셋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NH아문디자산운용, KB자산운용, 하나자산운용, 한국투

  • 농협·새마을금고도 한은과 RP거래…유동성 공급 속도 빨라진다

    농협·새마을금고도 한은과 RP거래…유동성 공급 속도 빨라진다

    농협·신협·수협·산림조합·새마을금고·상호저축은행 중앙회와 7개 자산운용사가 한국은행의 공개시장운영 대상기관에 새롭게 선정됐다. 이들은 한은과 직접 환매조건부채권(RP) 거래를 할 수 있게 된다. 한은은 이번 대상기관 확대로 통화정책 유효성이 높아지고, 유동성 위기시 빠른 지원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한은은 18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시중은행 등 57개사를 공개시장운영 대상 기관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기존 37개사에서 6개 중앙회, 자산운용사 등 20개사가 늘었다. 종류별로 보면 ‘통화안정증권 경쟁입찰·모집 및 증권단순매매’ 대상기관 23개사, ‘환매조건부증권매매’ 대상기관 44개사, ‘증권대차’ 대상기관 10개사 등(중복 선정 가능)이다. 이들 기관은 다음달부터 1년 간 한은의 공개시장운영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이번 대상기관 선정에서 가장 큰 변화는 6대 중앙회가 모두 포함된 것이다. 이들 기관은 그동안 RP거래를 하기 어려워 운용사나 은행 신탁상품 등을 통해 자금을 운용해왔다. 이번 대상기관 선정으로 각 중앙회들은 이런 번거로운 절차 없이 직접 거래에 나설 수 있게 된다.한은 RP를 거래할 수 있게 되면서 대규모 예금인출 등 유동성 위기가 발생할 경우 대응하기도 수월해진다. 지난해 새마을금고 사태 때는 중앙회가 국채를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이를 기반으로 자금을 빌릴 창구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었다. 한은은 새마을금고 중앙회가 RP거래 대상이 아니었기 때문에 직접 나설 수 없었고, 결국 시중은행이 새마을금고와 RP매입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자금이 공급됐다. 이번 RP매입 대상기관 선

  • 서민 없는 서민금융…부동산·건설대출 비중, 은행의 2배

    서민 없는 서민금융…부동산·건설대출 비중, 은행의 2배

    농협·신협·수협·산림조합·새마을금고 등 5대 상호금융조합이 총자산 1000조원의 거대 금융기관으로 성장한 배경에는 ‘예탁금·출자금 비과세’ 제도가 있다. 정부가 상호금융을 지역·서민금융기관으로 육성하기 위해 부여한 일종의 특혜다. 하지만 상호금융이 최근 2년여간 가계대출을 40조원 넘게 줄이면서 서민금융이라는 본업(本業)을 등한시한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고금리·비과세에 고객 몰려상호금융은 조합원에게서 예치금을 받아 다른 조합원에게 대출하는 상호부조형 금융기관이다. 1960년대 출발해 서민금융의 중추적 역할을 해왔다. 정부는 농어촌 등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서민의 재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상호금융을 제도적으로 육성했다.대표적인 지원책이 예탁금·출자금에 대한 비과세 혜택이다. 일반적으로 이자소득에는 15.4%의 세금이 붙지만, 상호금융에서는 1인당 3000만원(복수 조합 합산)까지 농어촌특별세 1.4%만 매겨진다. 예를 들어 저축은행에서 이자로 100만원을 받았다면 15만4000원을 세금으로 내야 하지만, 상호금융에서는 1만4000원만 내면 된다.조합원 출자금에 대한 배당소득도 2000만원까지 비과세된다. 출자금은 예금자 보호 대상이 아니지만, 조합 파산에 따른 출자자 손실이 발생한 적은 거의 없다. 특정 단위조합에 문제가 생기면 인근 조합이 흡수합병하는 방식으로 예탁금과 출자금을 사실상 전액 보호하고 있기 때문이다.얼핏 보면 안전해 보이지만 경영 실패에 따른 책임을 누구도 지지 않는 셈이다. 출자자들은 고배당을 주는 조합을 찾아다니고, 각 조합은 경영 실적과 무관하게 배당한다. 새마을금고가 지난해 순이

  • 상호금융의 '배신'…서민대출 외면했다

    상호금융의 '배신'…서민대출 외면했다

    농협·신협·수협·산림조합·새마을금고 등 5대 상호금융조합의 총자산이 사상 처음으로 1000조원을 넘어섰다. 1960년대 지역 조합으로 시작한 이후 ‘예탁금·출자금 비과세’ 혜택을 등에 업고 빠르게 덩치를 불렸다. 하지만 상호금융은 최근 2년여간 가계대출을 40조원 넘게 줄이며 건설·부동산 대출에만 몰두한 것으로 파악됐다. 서민금융기관으로서 본업(本業)을 외면한 채 욕심만 부리며 부실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상호금융의 총자산은 지난해 말 1013조원을 기록했다. 2018년(669조원) 이후 5년 만에 51.4% 급증했다. 1위 금융그룹인 KB금융그룹의 총자산(716조원)을 훌쩍 넘었다.자산이 증가한 만큼 대출 규모도 크게 늘었다. 5대 상호금융의 여신 잔액(한국은행 기준)은 지난 3월 676조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 1월(622조원)과 비교하면 2년여 만에 54조원(8.6%) 증가했다.그런데 서민들에게 빌려준 돈은 대폭 줄었다. 5대 상호금융의 가계대출 잔액은 같은 기간 311조원에서 270조원으로 41조원(13.2%) 쪼그라들었다. 전체 대출에서 가계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1월 50%에서 올해 3월 40%로 주저앉았다. 빈자리는 건설·부동산 대출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등 기업 대출이 꿰찼다.지역·서민금융기관인 상호금융이 가계대출을 줄이고 기업 대출을 늘리는 것은 제도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많다. 구정한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서민이 필요로 하는 신용대출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것이 상호금융의 본래 목적”이라며 “비영리 법인인 조합들이 설립 취지를 무시한 채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면서 여러 부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