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협·신협·새마을금고도 한은과 직접 RP 거래한다
농협·신협·수협·산림조합·새마을금고·상호저축은행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 중앙회 6곳과 자산운용사 7곳이 한국은행의 공개시장 운영 대상 기관으로 새롭게 선정됐다. 앞으로 이들 금융회사는 한은과 직접 환매조건부채권(RP)을 거래할 수 있다. 한은은 이번 조치로 유동성 위기 등이 발생할 때보다 신속하게 이들 금융회사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한은은 18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은행과 증권사 등 57곳을 공개시장 운영 대상 기관으로 정했다고 밝혔다. 세부적으로 ‘통화안정증권 경쟁 입찰·모집 및 증권단순매매’ 대상 기관 23곳, ‘RP 매매’ 대상 기관 44곳, ‘증권대차’ 대상 기관 10곳 등(중복 선정 가능)이다. 이들은 다음달부터 1년간 한은의 공개시장 운영에 참여할 수 있다.농협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 중앙회는 RP 매매 대상 기관에 포함됐다. 이들 기관은 그동안 RP시장에서 거래가 어려워 운용사나 은행 신탁상품 등을 활용해 자금을 운용했다. 한은 RP를 거래하면 대규모 예금 인출 등 유동성 위기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지난해 새마을금고 사태 당시 새마을금고중앙회는 보유하고 있는 국채를 기반으로 자금을 빌릴 창구가 마땅치 않아 자금 운용에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새마을금고중앙회는 한은의 RP 거래 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시중은행이 새마을금고와 RP 매입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공급했다. 이번 조치를 통해 각 중앙회는 보유 국채 등을 담보로 한은에서 직접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됐다.자산운용사는 미래에셋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NH아문디자산운용, KB자산운용, 하나자산운용, 한국투
-
농협·새마을금고도 한은과 RP거래…유동성 공급 속도 빨라진다
농협·신협·수협·산림조합·새마을금고·상호저축은행 중앙회와 7개 자산운용사가 한국은행의 공개시장운영 대상기관에 새롭게 선정됐다. 이들은 한은과 직접 환매조건부채권(RP) 거래를 할 수 있게 된다. 한은은 이번 대상기관 확대로 통화정책 유효성이 높아지고, 유동성 위기시 빠른 지원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한은은 18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시중은행 등 57개사를 공개시장운영 대상 기관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기존 37개사에서 6개 중앙회, 자산운용사 등 20개사가 늘었다. 종류별로 보면 ‘통화안정증권 경쟁입찰·모집 및 증권단순매매’ 대상기관 23개사, ‘환매조건부증권매매’ 대상기관 44개사, ‘증권대차’ 대상기관 10개사 등(중복 선정 가능)이다. 이들 기관은 다음달부터 1년 간 한은의 공개시장운영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이번 대상기관 선정에서 가장 큰 변화는 6대 중앙회가 모두 포함된 것이다. 이들 기관은 그동안 RP거래를 하기 어려워 운용사나 은행 신탁상품 등을 통해 자금을 운용해왔다. 이번 대상기관 선정으로 각 중앙회들은 이런 번거로운 절차 없이 직접 거래에 나설 수 있게 된다.한은 RP를 거래할 수 있게 되면서 대규모 예금인출 등 유동성 위기가 발생할 경우 대응하기도 수월해진다. 지난해 새마을금고 사태 때는 중앙회가 국채를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이를 기반으로 자금을 빌릴 창구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었다. 한은은 새마을금고 중앙회가 RP거래 대상이 아니었기 때문에 직접 나설 수 없었고, 결국 시중은행이 새마을금고와 RP매입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자금이 공급됐다. 이번 RP매입 대상기관 선
-
서민 없는 서민금융…부동산·건설대출 비중, 은행의 2배
농협·신협·수협·산림조합·새마을금고 등 5대 상호금융조합이 총자산 1000조원의 거대 금융기관으로 성장한 배경에는 ‘예탁금·출자금 비과세’ 제도가 있다. 정부가 상호금융을 지역·서민금융기관으로 육성하기 위해 부여한 일종의 특혜다. 하지만 상호금융이 최근 2년여간 가계대출을 40조원 넘게 줄이면서 서민금융이라는 본업(本業)을 등한시한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고금리·비과세에 고객 몰려상호금융은 조합원에게서 예치금을 받아 다른 조합원에게 대출하는 상호부조형 금융기관이다. 1960년대 출발해 서민금융의 중추적 역할을 해왔다. 정부는 농어촌 등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서민의 재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상호금융을 제도적으로 육성했다.대표적인 지원책이 예탁금·출자금에 대한 비과세 혜택이다. 일반적으로 이자소득에는 15.4%의 세금이 붙지만, 상호금융에서는 1인당 3000만원(복수 조합 합산)까지 농어촌특별세 1.4%만 매겨진다. 예를 들어 저축은행에서 이자로 100만원을 받았다면 15만4000원을 세금으로 내야 하지만, 상호금융에서는 1만4000원만 내면 된다.조합원 출자금에 대한 배당소득도 2000만원까지 비과세된다. 출자금은 예금자 보호 대상이 아니지만, 조합 파산에 따른 출자자 손실이 발생한 적은 거의 없다. 특정 단위조합에 문제가 생기면 인근 조합이 흡수합병하는 방식으로 예탁금과 출자금을 사실상 전액 보호하고 있기 때문이다.얼핏 보면 안전해 보이지만 경영 실패에 따른 책임을 누구도 지지 않는 셈이다. 출자자들은 고배당을 주는 조합을 찾아다니고, 각 조합은 경영 실적과 무관하게 배당한다. 새마을금고가 지난해 순이
-
상호금융의 '배신'…서민대출 외면했다
농협·신협·수협·산림조합·새마을금고 등 5대 상호금융조합의 총자산이 사상 처음으로 1000조원을 넘어섰다. 1960년대 지역 조합으로 시작한 이후 ‘예탁금·출자금 비과세’ 혜택을 등에 업고 빠르게 덩치를 불렸다. 하지만 상호금융은 최근 2년여간 가계대출을 40조원 넘게 줄이며 건설·부동산 대출에만 몰두한 것으로 파악됐다. 서민금융기관으로서 본업(本業)을 외면한 채 욕심만 부리며 부실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상호금융의 총자산은 지난해 말 1013조원을 기록했다. 2018년(669조원) 이후 5년 만에 51.4% 급증했다. 1위 금융그룹인 KB금융그룹의 총자산(716조원)을 훌쩍 넘었다.자산이 증가한 만큼 대출 규모도 크게 늘었다. 5대 상호금융의 여신 잔액(한국은행 기준)은 지난 3월 676조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 1월(622조원)과 비교하면 2년여 만에 54조원(8.6%) 증가했다.그런데 서민들에게 빌려준 돈은 대폭 줄었다. 5대 상호금융의 가계대출 잔액은 같은 기간 311조원에서 270조원으로 41조원(13.2%) 쪼그라들었다. 전체 대출에서 가계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1월 50%에서 올해 3월 40%로 주저앉았다. 빈자리는 건설·부동산 대출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등 기업 대출이 꿰찼다.지역·서민금융기관인 상호금융이 가계대출을 줄이고 기업 대출을 늘리는 것은 제도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많다. 구정한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서민이 필요로 하는 신용대출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것이 상호금융의 본래 목적”이라며 “비영리 법인인 조합들이 설립 취지를 무시한 채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면서 여러 부작
-
횡령에 불법 대출까지…총자산 1000조 상호금융 관리 시스템은 '구멍가게'
상호금융의 몸집(총자산)은 1000조원 규모로 커졌지만, 내부통제 시스템은 ‘구멍가게’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감독 사각지대에 방치되면서 내외부 관리·감독 시스템 곳곳에 구멍이 뚫린 탓이다. 불법 대출·횡령 등 금융사고가 끊이지 않고 적자 조합(금고)의 ‘배당 잔치’가 공공연히 계속되는 이유다.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서울 A새마을금고 전 임원과 대출 브로커 등 76명이 담보 가치를 부풀리고 가짜 차주를 앞세워 700억원대 불법 대출을 일으킨 혐의로 경찰에 입건됐다. 이 금고는 대출 원금을 회수하지 못해 작년 7월 금고 총자산 규모에 달하는 부실을 떠안았다.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이 겹치면서 더 이상 금고 운영을 할 수 없게 되자 결국 다른 금고와 합병됐다.서울 B새마을금고는 투자 목적을 속이고 277억원을 투자했다가 지난 1분기 전액 손실 처리했다. 이달 초엔 제주도의 한 수협 직원이 공금을 횡령한 혐의로 구속됐다. 직원 C씨는 2020년 7월부터 작년 1월까지 70여 차례에 걸쳐 회삿돈 9억원을 횡령한 혐의를 받고 있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과 각 상호금융 중앙회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지난해 6월 말까지 농협·신협·수협·산림조합·새마을금고에서 발생한 횡령 등 금전사고 규모는 511억4300만원에 달했다.최한종 기자
-
농·수·신협·새마을금고 '배당 잔치' 제동
농협과 수협, 신협, 산림조합,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 단위 조합의 ‘배당 잔치’에 제동이 걸린다. 연체율 상승으로 건전성이 나빠진 상호금융 단위 조합들이 무분별한 배당에 나서는 것을 정부가 차단하기로 하면서다. 정부는 최소 순자본비율 등 상호금융 조합의 건전성 규제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본지 5월 2일자 A1, 3면 참조 “순자본비율 규제 표준화”금융위원회와 행정안전부, 신협·농협·수협·산림조합·새마을금고중앙회 등 관계부처·유관기관은 20일 ‘2024년 제1차 상호금융정책협의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상호금융권 건전성 제고 방안을 논의했다.금융위 관계자는 “최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으로 상호금융권의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가 악화한 만큼 대응 여력 확보가 시급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새마을금고의 올해 1월 기준 연체율은 6%대로 오른 데 이어 지난 2월에는 7%대까지 추가 상승했다. 하반기 부실 PF 사업장 정리에 본격적으로 들어가면 상호금융사 지표는 더 악화할 전망이다.금융당국과 관계부처는 우선 단위 조합 차원의 ‘퍼주기 배당’을 막고 이익금을 유보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부실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조합 출자자가 ‘배당 빼먹기’에 나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게 금융당국의 시각이다.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순이익(860억원)이 전년 대비 20분의 1로 급감했는데도 4800억원가량을 출자자들에게 배당하면서 논란을 빚었다. 경영실태평가에서 4등급(취약)을 받은 깡통 금고까지 배당에 가세한 것으로 확인됐다.최소 순자본비율 등 상호금융조합의 건전성 규제 체계
-
[단독] 농·수·신협 '작업대출' 전면조사 나선다
금융당국이 농·수·신협 및 산림조합 등 전국 단위조합의 주택 구입용 편법 대출 현황을 전면 조사한다. 일부 새마을금고에서 사업자대출을 받아 주택을 사는 이른바 ‘작업대출’이 발견돼 규모나 경영 실태가 비슷한 상호금융 단위조합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있는지 집중 점검하기 위해서다.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1일 “조만간 각 상호금융 중앙회와 함께 단위조합의 작업대출 여부와 건전성 등에 대한 실태조사에 나선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은 이를 위해 각 중앙회에 검사 대상과 방법, 내부통제 심사 기준 등 조사 지침을 전달했다.중앙회가 먼저 각 단위조합에서 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현황을 점검한다. 이후 비정상적 사례가 발견된 조합에 금감원이 검사를 나갈 방침이다. 금감원은 대출 건수가 많은 단위조합을 중심으로 올 상반기 현장검사에 착수할 방침이다.그동안 금융당국은 농·수·신협 및 산림조합 등의 재무 건전성을 매년 점검했다. 이번 조사는 정기 검사와 별도로 작업대출 등 불법·편법 대출을 적발하기 위한 특별 검사다. 금감원 관계자는 “비정상 거래가 많은 단위조합은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도 악화하는 게 일반적”이라고 설명했다.금융당국이 각 중앙회 주도의 서면 조사부터 하는 것은 들여다봐야 할 현장이 워낙 많기 때문이다. 전국 단위조합은 농협 1055개, 신협 869개, 산림조합 138개, 수협 89개 등 총 2151개에 달한다. 각 조합이 해당 지역을 기반으로 영업하기 때문에 내·외부의 통제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사례도 적지 않다.일부 조합에선 불법 대출이나 횡령 등의 금융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양문석 더불
-
상호금융 연체율 쑥…농협 '부실채권 TF' 신설
올해 들어 농·수·신협과 산림조합 등 상호금융회사의 연체율이 급등하고 있다. 경고음이 커지자 농협중앙회는 부실 채권을 관리하는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긴급 대응에 나섰다. ‘풀뿌리 금융회사’로 불리는 단위 조합들이 지난해 무더기 적자를 낸 데 이어 올 들어 건전성이 더 나빠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본지 4월 29일자 A1, 5면 참조29일 상호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농·수·신협과 산림조합 등 상호금융권에서 발생한 연체 금액이 12조6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말(9조5000억원)과 비교해 석 달 만에 3조1000억원 급증했다.같은 기간 전체 대출 규모가 345조4000억원에서 346조2000억원으로 8000억원가량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전례 없이 가파른 속도로 연체액이 불어났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실제 단위농협 연체율은 작년 말 2.74%에서 지난달 3.64%로 뛰었다. 2022년 말 연체율은 1.21%에 불과했다.올해 들어 연체율이 가장 많이 상승한 곳은 신용협동조합이었다. 신협의 연체율은 작년 말 3.63%에서 지난 2월까지 두 달 새 1.39%포인트 뛰어 5%를 넘어섰다. 수협과 산림조합도 같은 기간 연체율이 0.8%포인트 오르며 각각 4.96%, 4.26%를 기록했다. 농·축협은 3.37% 수준이었다.회수가 불투명한 대출로 분류되는 고정이하여신(NPL)비율도 2022년 말 1.63%에서 지난달 말 3.77%로 확대됐다. 농협중앙회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과 고금리 장기화 등의 영향”이라고 말했다.전국에 깔린 농·수·신협과 산림조합 가운데 ‘적자 조합’도 속출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이 4대 상호금융 단위 조합 2151곳을 전수 조사한 결과, 지난해 적자를 낸 단위
-
농협, 부실채권만 11조…신협, 275곳 무더기 적자
농·수·신협과 산림조합 등 지역 경제의 실핏줄 역할을 하는 상호금융 단위조합들이 흔들리고 있다. 지난해 ‘적자 조합’이 속출한 데 이어 조(兆)단위 부실채권이 쌓인 것으로 드러났다. 기준 없는 무리한 대출, 과도한 고금리 적금 판매 경쟁, 느슨한 관리·감독, 허술한 내부 통제, 경영진의 비전문성 등이 맞물려 총체적 부실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전국 단위조합들은 직원을 늘리고, 여전히 사상 최대 접대비를 펑펑 쓰는 것으로 파악됐다. 신협 275곳 무더기 적자2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1055개 농협 단위조합에서 발생한 고정이하 여신은 10조7754억원에 달했다. 2022년 5조3187억원에서 95.1% 급증했다. 회수 불가능한 대출이 빠르게 늘어났다는 얘기로, 금융당국이 관련 통계를 공개한 2011년 이후 최대 규모다. 한국경제신문이 금감원 금융통계를 확인한 결과 고정이하 여신 비율이 두 자릿수를 넘어선 신협이 수두룩한 것으로 파악됐다.적자 조합도 속출하고 있다. 지난해 농·수·신협과 산림조합 등 상호금융업권의 당기순이익은 2조407억원으로 전년(3조1276억원) 대비 1조869억원 감소했다. 수협은 단위조합 89곳 중 28곳이 적자를 낸 것으로 드러났다. 수협 전체로도 당기순손실(-591억원)을 기록했다.신협 275곳, 산림조합 31곳, 단위농협 18곳도 적자에 내몰렸다. 부실 대출 증가로 대손충당금이 늘어난 데다 순이자마진이 감소한 영향이다. 상호금융권 관계자는 “물가는 치솟고 금리는 꺾일 기미가 보이지 않으면서 지역 경기가 가라앉아 상호금융 전체가 직격탄을 맞고 있다”며 “지방 부동산시장이 얼어붙고 기존에 높은 금
-
농협·SC제일·한국씨티, 홍콩 ELS 배상절차 개시
주요 시중은행에 이어 외국계 은행도 금융감독원의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분쟁조정안을 수용해 자율배상에 나선다.농협은행은 28일 이사회를 열고 홍콩 ELS 손실 관련 자율배상을 결의했다. 지난해 말 기준 농협은행의 홍콩 ELS 판매 잔액은 약 2조1310억원이다. 올해 상반기 만기가 도래하는 금액은 7380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농협은행은 외부 전문가를 포함한 자율조정협의회를 구성해 손실 고객에 대한 조정절차에 들어갈 방침이다.외국계 은행인 SC제일은행과 한국씨티은행도 이날 이사회를 통해 금감원의 분쟁조정안을 토대로 투자자와 배상 협상에 나서기로 했다. SC제일은행은 홍콩 ELS 판매 잔액이 1조원(1조2427억원)을 웃도는 데다 영국 스탠다드차타드(SC)그룹이 지분 100%를 보유해 자율배상이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적지 않았다. 판매사인 은행의 위법 행위에 대한 법적 판결이 없는 상태에서 먼저 배상이 나서는 것은 글로벌 관행에 맞지 않는다는 시각이 있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SC그룹이 한국에서의 사업 강화 차원에서 SC제일은행의 선제적 배상에 동의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한국씨티은행도 홍콩 ELS 판매 잔액이 370억원 정도로 크지 않지만 2021년 소매금융에서 철수했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배상을 결정했다는 평가가 나온다.시중은행 중 홍콩 ELS 판매 잔액이 가장 많은 국민은행(8조1972억원)과 신한은행(2조3701억원)도 29일 이사회를 열고 자율배상 계획을 확정할 방침이다. 은행들은 다음달부터 홍콩 ELS 손실 투자자와 접촉해 배상 내용과 절차 등을 안내할 계획이다. 자율 조정에 실패하면 분쟁 조정이나 소송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박재원 기자
-
'농협사태' 금감원도 가세…"중앙회의 인사 개입은 부당"
금융당국이 NH투자증권 차기 사장 선임을 놓고 벌어진 농협중앙회와 농협금융지주의 충돌에 강한 우려를 나타냈다. 특히 중앙회가 내부 출신 인사를 NH투자증권 사장에 앉히려는 시도에 대해선 “법적 근거도 없는 인사 개입”이라며 유감을 나타냈다. 중앙회는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지만, 당국의 노골적 비판에 내심 불편한 기색이다. 일각에선 금융감독원이 민간 금융사 최고경영자(CEO) 선임 과정에 과도하게 개입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본지 3월 9일자 A1, 3면 참조 중앙회 vs 농협금융 충돌10일 금융권에 따르면 NH투자증권은 11일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와 임시이사회를 열고 유찬형 전 농협중앙회 부회장(63)과 윤병윤 NH투자증권 IB1사업부 대표(57), 사재훈 전 삼성증권 부사장(60) 중 한 명을 사장 후보로 선정한다.농협금융 지분 100%를 가진 농협중앙회의 강호동 신임 회장은 지난 7일 이석준 농협금융 회장을 만나 유 전 부회장을 사장 후보로 추천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강 회장은 인수 10년을 맞은 NH투자증권이 다른 계열사와의 시너지를 내기 위해선 ‘농협맨’인 유 전 부회장이 적합하다는 입장이다.이 회장은 강 회장의 요구를 거부했다. 그는 “사장 후보 선정은 NH투자증권 임추위가 독립적으로 결정할 문제”라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 전 부회장이 증권업 경력이 없다는 점을 우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후보인 윤 대표와 사 전 부사장은 각각 NH투자증권과 삼성증권에서 일한 ‘증권맨’이다. 금감원 “지주·계열사 독립성 보장을”파열음이 커지자 금감원이 가세했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중앙회가 농협금융을
-
PF 부실 '비상'…농·신협 부동산 대출 옥죈다
금융당국이 농협 수협 신협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업권의 부동산 대출 규제를 대폭 강화한다. 상호금융조합이 건설·부동산 대출 부실화에 대비해 쌓아야 하는 충당금을 30%씩 늘리기로 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부실 위험이 커지면서 상호금융조합의 건전성이 크게 악화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다. 다만 상호금융조합이 충당금 부담으로 대출을 줄이면 건설 사업장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감독규정 개정안 의결금융위원회는 21일 정례회의에서 농협 수협 신협 등 상호금융조합의 건설·부동산업 대출에 대한 대손충당금 적립 비율을 높이는 내용의 감독규정 일부 개정안을 의결했다. 향후 대손충당금 비율을 △정상 대출의 1%에서 1.3%로 △요주의 대출의 10%에서 13%로 △고정 대출의 20%에서 26%로 △회수의문 대출의 55%에서 71.5%로 높인다. 1년 이상 연체된 추정 손실 채권은 현재와 마찬가지로 100%를 충당금으로 쌓도록 했다.대손충당금 적립 비율은 올해 6월부터 반년마다 10%씩 단계적으로 높아진다. 최종적으로 2025년 2분기 말부터는 기존보다 30% 많은 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새마을금고의 경우 작년 말 행정안전부가 감독 기준을 개정하면서 이 같은 규제를 받게 됐다.상호금융조합이 건설업과 부동산업 대출 비중을 각각 총대출의 30% 아래로 관리해야 하는 규제도 올해 말 시행된다. 건설업과 부동산 대출을 합친 금액은 총대출의 50% 이내로 제한해야 한다.금융당국은 상호금융의 부동산 PF대출이 급격하게 부실화하자 이 같은 규제를 마련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상호금융업권의 PF 대출 연체율은 2022년 말 0.09%에서 작년 3분기 말 4.18%로 4.09%포인트 급등했다
-
텅 빈 美 빌딩에 떠는 韓금융사…5대 그룹 손실, 벌써 1조 달해
국내 금융회사들이 비상이다. 미국과 유럽 등 해외 상업용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투자 손실이 커지면서다. 국내 5대 금융그룹의 투자 평가 손실만 최소 1조원에 달한다. 해외 부동산 가격이나 임대료가 더 내려가면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1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국내 5대 금융그룹의 해외 부동산 투자는 총 782건으로 나타났다. 고객에게 판매한 해외 부동산 펀드 등과는 별개로 금융그룹 소속 계열 금융회사들이 자체 집행한 투자다. 전체 원금은 20조3868억원에 이른다.투자 원금 규모는 하나금융이 6조2458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KB금융이 5조6533억원, 신한금융이 3조9990억원 등으로 뒤를 이었다. 농협금융은 2조3496억원, 우리금융은 2조1391억원이었다.5대 금융그룹은 이 중 대출 채권을 제외하고 수익증권과 펀드 등 512건의 투자에 총 10조4446억원의 원금을 투입했다. 현재 이 자산의 평가 가치는 총 9조3444억원으로, 애초 투입한 원금보다 1조1002억원 줄어든 상태다. 평가 수익률은 -10.53%로 집계됐다. 금융그룹별 투자 원금 대비 평가 가치를 보면 하나금융(-12.22%), KB금융(-11.07%), 농협금융(-10.73%) 등이 -10%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금융은 -7.90%, 우리금융은 -4.95%였다.5대 금융그룹이 해외 부동산에 대출 채권, 신용공여, 채무보증 등 대출 형태로 집행한 투자 규모는 약 9조9421억원으로 집계됐다. 하나금융이 3조6297억원(98건)으로 가장 많았고, KB금융(2조8494억원·47건)과 우리금융(1조7086억원·63건)이 뒤를 이었다. 신한금융과 농협금융도 1조2193억원, 5351억원 규모로 조사됐다.대부분 선순위 대출로 당시 투자 금액과 현재 평가 금액이 비슷한
-
농협회장 3파전…"중앙회·경제지주 합칠 것"
‘농민 대통령’으로 불리는 농협중앙회장을 뽑는 선거가 이틀 앞으로 다가오면서 후보자 간 막판 경쟁이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7명이 출사표를 던진 가운데 강호동 율곡농협 조합장(60), 송영조 부산금정농협 조합장(67), 조덕현 동천안농협 조합장(66) 등이 3파전을 펼칠 것이란 관측이 많다. 세 후보는 공통으로 농협중앙회와 경제지주의 통합을 공약으로 내걸고 있다.12년 만에 다시 사업 재편 추진22일 농협중앙회에 따르면 오는 25일 서울 충정로 농협중앙회에서 차기 농협중앙회장을 뽑는 선거가 치러진다. 농협중앙회장은 비상근직이지만 206만 명에 달하는 농협 조합원을 대표하는 막강한 영향력을 지닌다. 임기는 4년 단임이다.이번 선거는 17년 만에 조합장 1111명이 모두 참여하는 직선제로 치러지면서 결과를 예측하기 쉽지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판세는 강 후보와 송 후보, 조 후보(가나다순) 간 3파전으로 흘러가고 있다. 이들 외에 임명택 전 농협은행 언주로지점장(67), 이찬진 전 여의도연구원 정책자문위원, 정병두 국민의힘 고양시을 국회의원 예비 후보(59), 황성보 동창원농협 조합장(68) 등도 후보로 출마했다.유력 후보는 모두 농협중앙회와 농협경제 통합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현재 농협중앙회는 농협은행 NH투자증권 등을 거느린 금융지주와 하나로유통 농협홍삼 남해화학 등을 보유한 경제지주를 아래에 두고 있다. 금융업에 치중된 사업 구조를 개선하고, 농민에게 도움을 주는 경제사업을 키우기 위해 2012년 ‘신경분리’(신용·경제 부문 분리)가 이뤄진 결과다. 공약이 실현되려면 농협중앙회와 경제지주가 합쳐야 한다. 농협법 개정 사안이다.농협중앙회 관계자는 “
-
이석준 농협금융 회장 "리스크 관리·신기술 도입으로 내실 다져야"
이석준 농협금융그룹 회장(사진)은 2일 신년사를 통해 “더 이상 농협이라는 ‘특수성’에 머물거나 안주하지 않고 ‘특별한 금융회사’로 거듭나는 농협금융을 다함께 만들어 가자”고 당부했다.이 회장은 지난해를 돌아보며 “모든 사업은 ‘제로 베이스’에서 시작하는 것이 원칙이었다”며 “차별화된 서비스로 업계를 선도하자는 ‘디지털 기반 고객중심 초일류 역량 내재화’를 지향점으로 노력했다”고 했다. 그 결과 슈퍼 플랫폼 구축 등을 이뤄냈다고 자평했다.이 회장은 “2024년은 전쟁 등으로 지정학적 불안이 새롭게 고조되고 고금리·경기둔화, 부동산발 잠재 리스크 경제 및 금융 시계도 불투명한 해”라고 밝혔다. 그는 “원칙과 기본을 세워 금융업 존재의 근간인 ‘리스크 관리’에 힘쓰며 회사 기틀을 견고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 회장은 인공지능(AI)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통해 내실을 다지고 미래를 준비하겠다고도 밝혔다.그는 “농협금융이 온·오프라인 어디에서든 고객 생활에서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끊김 없이 제공해 인생의 긴 여정에서 모든 순간을 함께하는 금융회사가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이소현 기자 y2eonlee@hankyung.com




![[단독] 농·수·신협 '작업대출' 전면조사 나선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405/AA.36585158.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