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금융株 뜨고 배터리 지고…증시 물갈이

    금융株 뜨고 배터리 지고…증시 물갈이

    국내 증시의 시가총액 상위권에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올 들어 유가증권시장 시총 상위 10개 종목 중 절반이, 코스닥시장에선 10개 종목 모두 순위가 바뀌었다. 정부의 밸류업 정책과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로 금융주와 바이오주가 새로운 주도주로 떠오르면서다.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1월 2일~8월 30일) 유가증권시장 시총 상위 10개 종목 가운데 절반인 5개 종목의 순위가 바뀌었다. 시총 상위 4대장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말과 비교해 순위 변동이 없었다. 현대차는 삼성전자 우선주를 제치고 시총 5위로 한 계단 상승했다. 실적 개선과 주주환원책의 영향으로 올 들어서만 시총이 11조원 불어났다.상반기 밸류업 정책의 윤곽이 드러나고 배당 매력이 부각되면서 금융주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지난해 10위권 밖에 있던 KB금융과 신한지주가 나란히 여덟 계단씩 오르며 각각 9위, 10위에 안착했다. 반면 2차전지 관련주인 포스코홀딩스는 7위에서 11위로, 삼성SDI는 11위에서 14위로 떨어졌다. 업황이 악화된 네이버와 LG화학도 10위권에서 이탈했다.코스닥시장에선 순위변동이 더 크게 일어났다. 1년도 안 돼 시총 10위 종목 전체가 바뀌었다. 지난해 코스닥시장을 달군 2차전지 관련주가 밀려나고 제약·바이오주가 시장 주도주로 떠오르면서다. 면역항암제 개발 기업 알테오젠은 지난달 27일 에코프로비엠을 밀어내고 코스닥 시총 1위 자리에 올랐다. 자체 개발한 히알루로니다제 ‘ALT-B4’의 기술 수출 소식 등이 주목받으며 올해 주가가 세 배 이상 폭등했다. 시가총액도 지난해 5조원대에서 현재 17조원에 육박하고 있다.HLB도 지난달 말 시총 3위에 올랐

  • 국내 신평사들 , "SK그룹 사업구조 개편으로 재무안정성 개선될 것"

    국내 신평사들 , "SK그룹 사업구조 개편으로 재무안정성 개선될 것"

    SK그룹의 사업구조 재편으로 계열사들의 사업 및 재무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는 국내 신용평가사들의 의견이 나왔다. SK(주)는 △SK이노베이션과 SK E&S 합병 △SK온과 SK트레이딩인터네셔널·SK엔텀 합병, △에센코어·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의 SK에코플랜트 자회사 편입 등을 포함한 그룹 리밸런싱을 단행했다.21일 한국신용평가는 ‘SK이노베이션 관련 합병 결정에 대한 한신평의 의견’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SK이노베이션에 대한 즉각적인 신용도 변화는 없지만 사업 포트폴리오가 다각화되고 현금 창출력이 강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기업평가는 “이번 합병으로 SK이노베이션의 주력 부문인 정유, 화학, 2차전지에 발전 부문 등이 더해졌다”며 “사업 포트폴리오가 다각화되고 영업 현금 창출력이 제고될 것”이라고 말했다.SK이노베이션과 SK E&S는 지난 17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양사 간 합병안건을 의결했다. 합병안이 다음 달 27일 예정된 주주총회에서 승인되면 자산 100조원 규모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민간 에너지기업이 탄생하게 된다.배터리 계열사 SK온에 대해서도 신용도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자금 사정이 빠듯한 SK온의 현금흐름 숨통을 틔우는 효과를 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한국신용평가는 “현금창출력이 개선되고 재무 부담 상승 속도가 완화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SK온의 신용도 하향 압력이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다만 배터리 업황이 주춤한 만큼 후속 조치를 주시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한국기업평가는 “SK온의 신용도 방어를 위해선 사업 펀더멘털 개선과 자구책 시행을 통한 추가적인 재

  • 리더스인덱스, "국내 30대 그룹 중 20개 그룹 계열사 여성 사내이사 '0명'"

    리더스인덱스, "국내 30대 그룹 중 20개 그룹 계열사 여성 사내이사 '0명'"

    국내 30대 그룹 중 20개 그룹은 계열사에 여성 사내이사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8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자산순위 상위 30대 그룹 298개 계열사의 이사회 내 남녀 비중을 분석한 결과, 올해 기준 사외이사 850명 중 여성은 174명(20.5%)였다.개정 자본시장법 시행 전인 2021년 말 사외이사 789명 중 여성이 86명(10.9%)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큰 폭으로 증가했다.반면 여성 사내이사는 2021년 말 738명 중 13명(1.8%)에서 현재 787명 중 25명(3.2%)으로 늘어나는 데 그쳤다.2022년 8월 시행된 개정 자본시장법에 따르면 이사회의 다양성을 확보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차원에서 이사회를 특정 성별로만 채워서는 안 된다.리더스인덱스는 "법 취지와 별개로 이사회 내 사외이사에 여성을 앉혀 구색을 갖추고 사내이사는 여전히 남성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풀이했다.30대 그룹 중 계열사에 여성 사내이사가 있는 그룹은 삼성, SK, 현대자동차, LG, 롯데, CJ, 네이버, KT, 한진, 카카오 등 10개였다.여성 사내이사가 가장 많은 그룹은 카카오그룹으로 정신아 카카오 대표이사와 이옥선 넵튠 최고재무책임자(CFO)를 비롯해 총 6명이다.여성 사외이사 비중이 가장 높은 그룹 순위는 SK그룹이 올해 73명 중 26명(35.6%)으로 가장 높았고, 에쓰오일과 중흥건설이 각각 33.3%, LG그룹이 31.6%, 카카오그룹이 29.4%, HD현대 29.0%, 삼성 27.4%, 한화 27.3% 순이다.이상기 기자 remind@hankyung.com

  • “커버드본드는 위기에 강한 조달 방식…국내 금융사 조달 창구 확대”

    “커버드본드는 위기에 강한 조달 방식…국내 금융사 조달 창구 확대”

    “우량한 주택담보대출을 담보로 제공하는 커버드본드는 위기에 강한 상품입니다. 조달 환경이 위축될수록 강점을 발휘할 수 있다는 뜻이죠.”오금희 피치레이팅스 이사는 23일 금융회사들이 주로 발행하는 외화 커버드본드의 필요성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금리 인하 시기가 늦어지고 중동 지정학적 위기 등이 불거지는 등 대내외 변수가 산적한 시기에 안정적인 자금조달 통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커버드본드는 주택담보대출 등 금융회사가 보유한 우량자산을 담보로 발행하는 담보부채권을 뜻한다. 국내에서는 2009년 KB국민은행이 국내 금융기관 최초로 10억 달러 규모의 외화 커버드본드를 발행하면서 시장이 조성됐다.오 이사는 국내 자본시장에서 대표적인 커버드본드 전문가로 꼽힌다. 2006년부터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피치레이팅스에 합류했다. 국내 기업이 외화채 시장에서 구조화금융 및 커버드본드 등을 발행할 때 신용도 평가를 맡고 있다.최근 들어서도 외화 커버드본드 시장은 빠르게 성장 중이다. 신한은행은 올해 1월 유로 커버드본드 데뷔전을 치렀다. 영국,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주요 도시에서 투자자들을 만난 끝에 3년물 커버드본드 5억 유로 발행에 성공했다.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올해 1월과 3월 각각 3억5000만스위스프랑과 5억 유로 규모 커버드본드를 발행했다.오 이사는 조달 창구 다변화 측면에서 국내 금융회사들이 커버드본드 카드를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유럽 시장의 ‘큰손’ 기관투자가의 신규 투자수요 확보로 조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뜻이다. 커버드본드 시장의 본고장으로 꼽히는 유럽은 전체 시장 규모의 80%가량을

  • 美주식 주간거래 하루 종일 '먹통'

    국내 전 증권사의 미국 주식 주간거래 서비스가 19일 하루 중단됐다. 미국 현지에서 주간거래를 담당하는 대체거래소(ATS)인 블루오션에서 장애가 발생해서다. 모든 국내 증권사가 ATS 한 곳에 의지해 서비스한 탓에 투자자들이 제때 매매하지 못하는 불편을 겪어야 했다.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날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미래에셋증권 등 미국 주식 주간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11곳의 증권사는 낮 12시30분부터 “블루오션 서버 장애를 이유로 주간거래 서비스를 하루 중단한다”고 밝혔다.국내에서 미국 주식 주간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권사는 모두 블루오션 한 곳을 통해 거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거래소는 미국 금융당국으로부터 오버나이트 세션(심야 거래 기능)을 승인받은 최초의 ATS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일부 증권사가 백업 거래를 맡길 다른 ATS를 찾았지만 현재로서는 마땅한 대안이 없어 모두 같은 거래소를 이용했다”고 설명했다.업계에서는 서비스가 중단된 원인으로 증시 급변동에 따른 거래량 폭주를 들고 있다. 이날 중동 정세 불안으로 미국 증시에서 야간 거래량이 폭주하며 블루오션 서버에서 장애가 발생했다는 것이다.미국 주간거래 서비스는 2022년 삼성증권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선보였다. 국내 업체들이 ATS 한 곳에만 의지한 채 서비스를 진행하다 보니 이런 장애가 또 반복될지 모른다는 지적이 나온다. 블루오션 외 자체 ATS를 보유한 일부 미국 증권거래 업체는 이날 블루오션의 장애에도 불구하고 심야 거래를 이어갔다. 반면 국내 업체와 같이 블루오션 한 곳과 단독 계약했던 로빈후드는 심야 거래를 중단했다.배태웅 기자

  • "왜 엔비디아 안 팔려"…국내 전 증권사 美주식 주간거래 '먹통'

    "왜 엔비디아 안 팔려"…국내 전 증권사 美주식 주간거래 '먹통'

    국내 전 증권사의 미국 주식 주간거래 서비스가 19일 일시중단됐다. 현지에서 거래를 담당하는 대체거래소(ATS)인 블루오션 서버에서 장애가 발생하면서다. 1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대신증권, 미래에셋증권 등 미국 주식 주간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권사들은 이날 오후 12시30분부터 주간거래 서비스를 이날 하루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들이 주간거래에 사용하는 현지 ATS인 블루오션의 서버에서 장애가 발생하면서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국내에서 주간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권사들은 모두 블루오션을 통해 거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블루오션 외 다른 ATS는 사용하지 않아 전 증권사들이 공통적으로 거래 장애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블루오션은 미 금융당국으로부터 오버나잇 세션(야간거래기능)을 승인받은 유일한 ATS다. 국내에서는 삼성증권이 2022년 독점 계약해 주간거래 서비스를 선보였다. 작년 2월부터 독점 계약이 끝나면서 미래에셋, NH 등 다른 증권사들도 블루오션과 계약해 주간거래 서비스를 선보였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블루오션 장애가 발생하면서 한국 뿐만 아니라 다른 해외 증권사들 역시 동일하게 미국 주식 거래 장애가 발생하고 있다"며 "블루오션 측에서 장애를 고치는 대로 서비스를 재개할 것"이라고 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

  • 나신평, 국내 증권사 부동산 PF 추가 손실 최대 1.9조원

    나신평, 국내 증권사 부동산 PF 추가 손실 최대 1.9조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국내 증권사의 추가 손실 규모가 최대 1조9000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국내 신용평가사의 전망이 나왔다. 부동산 PF 부실 폭탄이 증권업을 비롯해 국내 금융업권 전반의 재무안정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다.나이스신용평가는 12일 ‘부동산 PF 손실 인식 현황과 추가 손실 전망’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나이스신용평가가 추산한 국내 25개 증권사의 국내 부동산 PF 추가 손실 규모는 약 1조1000억~1조9000억원 수준이다. 국내 증권사들이 보유한 브릿지론은 토지 경매로 넘어가고, 본 PF도 준공 후 건물 경매를 통해 투자자금을 회수하는 시나리오를 가정한 결과다. 증권사별로는 초대형사가 약 3000억~6000억원, 대형사 약 6000억~1조원, 중소형사 2000억~3000억원의 추가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봤다.한편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25개 증권사의 국내 부동산 PF 관련 우발부채, 대출채권, 사모사채 등 익스포저(노출액) 총액은 전년 대비 6% 증가한 26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중·후순위 비중이 높다는 점도 증권사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증권사 부동산 PF의 중·후순위 비중은 약 42%에 달한다. 캐피탈(30%), 저축은행(11%)에 비해 높은 편이다.수익성 하방 압력도 커질 것으로 봤다. 특히 대형 및 중소형 증권사들은 초대형 증권사에 비해 전통 IB 부문이 취약하다는 점에서 실적 압박이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나이스신용평가는 증권사에 대한 모니터링 작업도 강화할 방침이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중단기적으로 증권업 수익성 하방 압력이 지속될 것”이라며 “향후 증권사별 손실 규모와 대

  • 무디스, 韓은행업 신용 전망 '안정적→부정적' 하향

    무디스, 韓은행업 신용 전망 '안정적→부정적' 하향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국내 은행 산업에 대한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내렸다고 7일 밝혔다. 영업 환경 및 수익성 악화 가능성을 반영해 신용도를 하향 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국내 은행 산업의 수익성 악화가 신용도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게 무디스의 설명이다. 무디스는 "향후 12∼18개월 내 은행의 영업 환경과 수익성의 약화를 예상한다"고 말했다. 무디스에 따르면 은행의 주요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고려해 지난해 1.6%에서 올해 1.5%로 줄어들 전망이다. 기준금리가 낮아질수록 예금과 대출 이자 차이가 줄어 NIM이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은행 영업 환경도 악화할 전망이다. 경기 둔화로 자금 수요가 높지 않은 상황에서 은행 간 경쟁이 격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인터넷 은행의 점유율 확대 등으로 대출 경쟁이 심화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됐다. 무디스에 따르면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 은행 3사의 대출 시장 점유율은 2022년 말 2.2%에서 지난해 9월 말 2.7%로 상승했다.은행 대출 연체율도 상승할 것으로 관측했다. 무디스는 은행 평균 연체율이 지난해 0.38%에서 향후 18개월 이내에 0.5%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무디스는 홍콩H지수 연계 주가연계증권(ELS)의 대규모 손실에 따른 보상 가능성도 고려했다. 금융당국은 홍콩H지수 ELS 손실 사태와 관련한 배상 기준안을 조만간 내놓을 예정이다.다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 리스크는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무디스는 “국내 은행권의 부동산 PF 부실 리스크는 제한적”이라고 말했다.장현주 기자 blacksea@hankyung.com

  • 밸류업 테마 휩쓴 상승장에도 개미들 해외주식 ETF 담았다

    밸류업 테마 휩쓴 상승장에도 개미들 해외주식 ETF 담았다

    개미(개인투자자)들이 최근 한 달 동안 사들인 상장지수펀드(ETF) 가운데 절반은 해외 주식형 ETF인 것으로 집계됐다. 개인의 해외 증시 ‘엑소더스’가 이어지면서 국내 주식형 펀드에서는 같은 기간 2조원에 달하는 자금이 유출되고 있다.6일 코스콤 ETF체크에 따르면 최근 1개월(2월 6일~3월 5일) 사이 개인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ETF 10개 종목 가운데 5개가 해외 주식형 ETF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TIGER 미국S&P500’(1057억원)을 가장 많이 매수했다.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826억원), ‘TIGER 미국배당7%프리미엄다우존스’(648억원), ‘TIGER 미국나스닥100’(429억원), ‘KODEX 글로벌비만치료제TOP2 Plus’(421억원) 등도 10위권에 올랐다. 미국 증시가 우상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는 얘기다.반면 개미들은 국내 증시 하락에 베팅하고 있다. 최근 개인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ETF는 ‘KODEX 200선물인버스2X’로 1개월 사이 1852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코스피200 선물 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역으로 2배 추종하는 상품이다. 코스피지수가 내려가야 수익이 난다. 개인은 또 다른 인버스 ETF인 ‘KODEX 코스닥150선물 인버스’도 같은 기간 1148억원어치 사들였다.개인의 해외 증시 선호가 커지면서 ETF를 비롯한 국내 주식형 펀드는 자금이 빠져나가고 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주식형 펀드 1017종은 최근 1개월 사이 1조9245억원의 자금이 순유출됐다.반면 해외 주식형 펀드 1029종에서는 같은 기간 1조3791억원이 순유입됐다. 수익률도 해외 펀드가 앞서고 있다. 국내 주식형 펀드의 1개월 평균 수익률은 4.76%, 해외 주식형 펀드는 평균 6.18%였다.배태웅 기자

  • "국내 증시는 재미없네"…국장서도 해외주식 ETF 찾는 개미들

    "국내 증시는 재미없네"…국장서도 해외주식 ETF 찾는 개미들

    개미(개인 투자자)들이 최근 한 달 동안 사들인 상장지수펀드(ETF) 가운데 절반은 해외 주식형 ETF인 것으로 집계됐다. 개인의 해외 증시 '엑소더스'가 이어지면서 국내 주식형 펀드에서는 같은 기간 2조원에 달하는 자금이 유출되고 있다.6일 코스콤 ETF체크에 따르면 최근 1개월(2월6일~3월5일) 사이 개인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ETF 10개 종목 가운데 5개가 해외 주식형 ETF인 것으로 집계됐다. 1위는 'TIGER 미국S&P500'로 개인인이 1057억원 어치를 순매수했다. 이어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826억원), 'TIGER 미국배당7%프리미엄다우존스'(648억원), 'TIGER 미국나스닥100'(429억원), 'KODEX 글로벌비만치료제TOP2 Plus'(421억원) 순서였다. 개인 투자자가 미국 증시 상승에 베팅하는 사이 국내 증시에서는 하락에 베팅하고 있다. 최근 개인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ETF는 'KODEX 200선물인버스2X'로 1개월 사이 1852억원 어치를 순매수했다. 이 ETF는 코스피200 선물 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역으로 2배 추종하는 상품이다. 코스피지수가 내려가야 수익이 난다. 개인은 또다른 인버스 ETF인 'KODEX 코스닥150선물 인버스'도 같은 기간 1148억원 어치를 사들였다. 올 들어 국내 증시가 상승하고 있지만 개미는 오히려 국내 증시를 떠나고 있다. 금융당국이 지난 1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발표하면서 외국인 투자자는 국내 증시에 들어오고 있다. 그러나 개인은 더욱 높은 수익률을 쫓아 미국·일본 등 해외 증시로 빠져나가고 있다. 개인의 해외 증시 선호가 커지면서 ETF를 비롯한 국내 주식형 펀드는 자금이 빠져나가고 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

  • 무려 '171%' 급등…작년 수익률 가장 높은 ETF는?

    무려 '171%' 급등…작년 수익률 가장 높은 ETF는?

    지난해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 순자산이 54% 넘게 성장하며 글로벌 ETF 시장 성장보다 2배 이상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고금리 상황과 안전자산 선호 경향으로 자금 순유입 상위 상위는 금리형 ETF들이 차지했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말 기준 국내 ETF 시장 순자산액은 121조657억원으로 지난해 11월 말 78조5116억원 대비 54.2% 증가했다. 같은 기간 글로벌 ETF 시장 순자산액이 9조290억달러에서 10조7470억원으로 19.02% 늘어난 것을 고려하면 국내 ETF 시장 성장률이 글로벌 시장 대비 2배 이상 높았다. 고금리 환경과 안정적인 수익률을 추구하는 경향이 더해지면서 금리형 ETF들로 특히 많은 자금이 유입됐다. 지난해 가장 많은 자금이 유입된 ETF는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으로 연간 총 5조8214억원 유입됐다. 이 ETF는 양도성예금증서(CD) 91일물의 하루치 금리 수준을 매일 복리로 반영하는 점이 특징이다. 0.02%의 낮은 운용보수와 안정적인 수익률로 인해 '파킹용 ETF'로 통한다. 이어 'TIGER KOFR금리액티브(합성)'(4조6670억원), 'TIGER CD금리투자KIS(합성)'(3조523억원), 'KODEX 24-12은행채(AA+이상)액티브'(2조4419억원), 'KODEX KOFR금리액티브(합성)'(1조3426억원) 등에도 지난해 많은 자금이 유입됐다. 지난해 ETF 시장에 신규상장된 종목은 총 160개로 사상 최다를 기록했다. 이 중 43%에 달하는 76개가 액티브 ETF였다. 자산운용사들이 인공지능(AI), 2차전지, 테슬라밸류체인 등 벤치마크 대비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테마성 상품들이 잇달아 내놓은 영향이다. 작년 말 기준 국내 증시에 상장된 ETF는 총 812개로 전년도 666개에 비해 21.9% 늘어났다. 지난해 가장 높은

  • 'DCM 강자' 주태영 KB증권 IB1총괄본부장 “국내 1위 넘어 글로벌 DCM도 '톱 티어' 목표”

    'DCM 강자' 주태영 KB증권 IB1총괄본부장 “국내 1위 넘어 글로벌 DCM도 '톱 티어' 목표”

    “국내 채권발행시장(DCM) 시장 1위를 넘어 글로벌 DCM 시장에서도 톱 티어(Top-tier) IB로 도약할 수 있는 기틀을 다질 계획입니다.”주태영 KB증권 신임 IB1총괄본부장(전무)는 2일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에서 올해 목표를 이같이 밝혔다. 올해 대기업 자금 조달을 총괄하는 IB1총괄본부장으로 부임한 주 본부장은 DCM 시장에서 잔뼈가 굵은 인물로 꼽힌다. 1994년 쌍용증권에서 시작해 채권 시장에서 오랜 기간 활약했고 이후 KB증권이 DCM 강자로 군림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다.KB증권은 지난해도 DCM 시장 선두 수성에 성공했다. 한국경제신문 자본시장 전문 매체 마켓인사이트가 집계한 2023년 리그테이블에 따르면 KB증권은 일반 회사채 대표주관 부문에서 244건, 10조9684억원어치 거래를 주선해 DCM 1위를 차지했다.주 총괄본부장은 “단독 주관보다는 대규모 주관사단을 선호하는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DCM 시장 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며 “다양한 기업들과 접촉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한다는 측면에서 발행량뿐 아니라 발행 건수를 늘리는데도 신경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지난해 가장 기억에 남은 DCM 딜로는 지난 7월 현대캐피탈이 발행한 지속가능연계채권(SLB)을 꼽았다. KB증권 주도로 국내 최초 공모 SLB 발행에 성공한 것이다. 지난해 9월 한국거래소가 SLB를 도입한 이후 실적이 없던 SLB 거래의 물꼬를 튼 사례로 평가된다. SLB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관련 목적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면 금리 인센티브가 반영되는 채권이다. 목표치를 달성할 경우 낮은 이자율이 유지되고, 달성하지 못할 경우 이자율이 높아진다.주 총괄본부장은 “ESG채권부터 신종자본증권, 동산담

  • 美 금리 동결로 채권금리 하락…30년국채ETF 수익률 한 달 20%

    미국 기준금리 동결의 영향으로 국내 채권금리가 하락하면서 장기 국채 상장지수펀드(ETF) 수익률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17일 코스콤에 따르면 최근 1개월(10월 17일~11월 16일)간 수익률 최고 ETF는 20.75%의 수익률을 올린 ‘KBSTAR 국채30년레버리지KAP(합성)’로 조사됐다. 30년 만기 국채로 구성된 KAP국채30년TR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두 배 추종하는 상품이다. 30년 만기 국채에 기반한 다른 ETF도 두 자릿수 수익률을 기록했다. ‘TIGER 국고채30년스트립액티브’는 최근 한 달간 18.1%,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는 14.3% 올랐다. 국내 장기채 금리가 미국 장기채보다 더 가파르게 떨어지면서 한국 국채를 담은 ETF 수익률이 미국 국채 기반 상품을 웃돌고 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

  • 미국보다 가파르게 떨어지는 韓 장기채 금리…30년 ETF 수익률 '껑충'

    미국보다 가파르게 떨어지는 韓 장기채 금리…30년 ETF 수익률 '껑충'

    미국 기준금리 동결 영향으로 국내 채권금리가 하락하면서 장기 국채 상장지수펀드(ETF) 수익률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17일 코스콤에 따르면 최근 1개월(10월17일~11월16일) 사이 가장 높은 수익률을 올린 ETF는 20.75%의 수익률을 올린 ‘KBSTAR 국채30년레버리지KAP(합성)’으로 집계됐다. 이 ETF는 30년 만기 국고채로 구성된 ‘KAP 국채30년 TR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두 배 추종하는 상품이다. 채권금리가 하락할 때 수익률이 나는 구조다. 30년 만기 국채에 기반한 다른 ETF도 최근 높은 수익률을 올리고 있다. ‘TIGER 국고채30년스트립액티브’는 최근 한 달 18.1%,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는 14.3%, ‘KODEX 국고채30년액티브’는 10.3% 올랐다. 지난달 미국 채권금리가 연 5% 수준으로 급등하면서 국내 장기채 금리도 덩달아 올랐지만 지난 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급속도로 하락했다. 3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지난달 23일 연 4.30%로 연중 고점을 찍었지만 이후 하락 전환해 전날 연 3.62%까지 0.68%포인트 하락했다. 국내 장기채 금리는 미국 장기채보다 더욱 가파르게 떨어지고 있다. 같은 기간 3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연 5.01%에서 연 4.63%로 0.38%포인트 하락했다. 국내 장기채 금리 하락 속도가 가팔라지면서 장기채 ETF의 수익률도 국내·해외 상품에 따라 차이가 나고 있다. 최근 1개월 ‘KODEX 미국채울트라30년선물(H)’은 3.89%,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가 3.77% 오르는 데 그쳤다. 다만 전문가들은 연말 들어서는 금리 하락세가 다소 진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긴축 종료 기대감과 미국 경제지표 둔화 등의 기대가 함께 반영되면서 미국 국채 금리가 빠르게

  • 요즘 증시는 롤러코스터…변동성지수 40% 껑충

    요즘 증시는 롤러코스터…변동성지수 40% 껑충

    국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증시가 연일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다. 미국 채권 금리, 달러 강세,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등이 증시 변동성을 키우는 모양새다. 13일 코스피지수는 0.95% 하락한 2456.15에, 코스닥지수는 1.52% 떨어진 822.78에 마감했다. 전날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서 미국 채권 금리가 급상승한 여파다. 미국 9월 CPI는 전년 동기 대비 3.7% 상승해 시장 예상치인 3.6%를 웃돌았다. 이에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하루 만에 0.13%포인트 오른 연 4.69%까지 뛰었다. 미국 국채 금리 급변동과 국내 기업의 3분기 실적 발표가 겹치며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 모두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코스피지수는 지난 4일 하루에만 2.41% 하락하며 2400선 근처로 내려갔지만 삼성전자의 호실적 발표로 12일에는 2479.82까지 오르기도 했다. 코스닥지수도 10일 795.0으로 빠졌다가 이틀 만에 835.49까지 오르는 등 급등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국내 증시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한국형 변동성지수(VKOSPI) 역시 상승세다. VKOSPI는 지난달 15일 종가 기준 11.3으로 연중 최저점을 찍었다가 이날 15.9로 40.7% 뛰었다. 2차전지 테마주 장세가 한창이던 지난 8월과 비슷한 수준이다. VKOSPI는 코스피200 옵션 가격을 바탕으로 30일 이후 주식시장의 미래 변동성을 측정하는 지수다. 김상훈 KB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글로벌 증시 역시 최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등으로 인해 변동성이 커진 상황이어서 국내 증시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만약 국내 상장사의 3분기 실적이 저조했다면 하락 폭은 더 커졌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달러 강세까지 겹치며 외국인 투자자들은 한국 주식을 팔아치우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