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KT, 역대 최대 매출 냈지만…영업이익 28.9% 감소

    KT, 역대 최대 매출 냈지만…영업이익 28.9% 감소

    KT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보다 28% 넘게 감소했다. 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냈지만 마냥 웃지 못하는 분위기다.KT는 올해 3분기에 연결 기준 매출 6조6974억원, 영업이익 3219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3.4%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8.9% 감소했다.영업이익은 시장 컨센서스(전망치)보다 크게 낮았다. KT 측은 “통상 4분기 실적에 반영했던 ‘임금 및 단체협상’과 콘텐츠 소싱 비용 등이 3분기에 반영된 영향”이라며 “특수 상황을 감안하면 매출, 영업이익 모두 안정적으로 성장했다”고 설명했다.기존 주력 분야인 유·무선 사업뿐 아니라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기업 간 거래(B2B)까지 전반적으로 실적이 개선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기업 대상 디지털전환(DX) 사업의 매출이 본격화되면서 기업서비스 사업 매출은 981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보다 2.7% 증가한 수준이다. KT 측은 “국내외 DX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어 B2B 연간 수주 규모는 3조원 이상을 유지할 전망”이라고 말했다.다만 인공지능(AI), 신사업 분야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11.9% 감소한 1060억원에 그쳤다. KT는 지난달 31일 초거대 AI ‘믿음’ 출시를 계기로 향후 AI 사업 성장 기반을 다질 계획이다. 김영진 KT 최고재무책임자(CFO·전무)는 “KT가 보유한 통신기술(CT)에 정보기술(IT) 역량을 더한 ‘디지털 서비스 퍼스트’를 추진하며 기업 가치를 높이겠다”고 말했다.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 전국 업무·상업용빌딩 거래량 감소

    고금리와 경기 침체 등의 여파로 지난 8월 전국 업무·상업용 건물 거래액이 7월보다 8% 감소했다. 대전과 세종, 부산 등에서 낙폭이 컸다.10일 상업용 부동산 데이터 기업 알스퀘어에 따르면 8월 전국 업무·상업용 빌딩 거래량은 7월보다 8% 줄어든 1091건으로 집계됐다. 거래액은 4.4% 감소한 2조2762억원을 기록했다. 1년 전인 작년 8월과 비교해도 거래 건수와 거래액이 각각 15.5%, 43.3% 감소했다.서울의 경우 거래액(1조973억원)은 7월보다 2.1% 감소했지만, 거래량(155건)은 15.7% 늘어났다. 경기는 거래량(227건)이 7월보다 13.4% 줄었지만, 거래액(4397억원)은 13.7% 증가했다. 정보기술(IT) 솔루션 기업인 솔루엠이 경기 용인 마북동의 한국전력기술 사옥을 958억원에 매입한 영향이 컸다. 서울과 경기의 거래량은 전체의 35%에 불과하지만, 거래액 비중은 전국의 67.5%에 달했다.지방 시장은 매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7월에 9건이 거래된 세종은 8월에 거래가 ‘제로(0)’였다. 대전의 8월 거래액은 전월 대비 81.7% 급감한 254억원에 그쳤다. 부산(-36.7%)과 경남(-24.7%), 경북(-24.6%) 등도 두 자릿수 낙폭을 기록했다. 반면 울산의 8월 거래액은 456억원으로 7월에 비해 103.0% 증가했다. 남구 삼산동의 한 숙박시설이 124억원에 매매돼 거래 규모가 컸다.이인혁 기자

  • 7월 산업활동 '트리플 감소'…생산·소비·투자 모두 줄었다

    7월 산업활동 '트리플 감소'…생산·소비·투자 모두 줄었다

    지난달 생산과 소비, 투자가 '트리플 감소'를 기록했다. 한국 경제의 활력을 보여주는 산업활동 동향 3대 지표가 모두 감소세를 나타낸 것은 올해 1월 이후 6개월 만이다.통계청이 31일 발표한 7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7월 전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09.8(2020년=100)로 전월 대비 0.7% 감소했다. 서비스업과 건설업에서 생산이 늘었지만, 광공업과 공공행정에서 생산이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지난 5∼6월 상반기 조기 집행으로 증가한 공공행정이 7월엔 6.5% 감소한 게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다.광공업 생산은 전월 대비 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모피(28.5%)가 1980년 1월 이후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지만, 전자부품(-11.2%)과 기계장비(-7.1%) 등에서 생산이 크게 줄어든 영향이다.전자부품의 경우 정보기술(IT)용 액정표시장치(LCD)와 LCD 편광 필름 등의 생산이 줄었다. 이들 부품의 생산이 중국에 몰리면서 전반적인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는 게 통계청 해석이다. 기계장비 중에선 반도체 조립 장비와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기계 등의 생산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서비스업 생산은 전월 대비 0.4% 증가했다. 폭우 등의 영향으로 도소매(-1.2%) 등에서 생산이 줄었지만, 정보통신(3.2%), 금융‧보험(1.5%) 등에서 생산이 늘었다.소비 지표인 소매판매액지수는 전월 대비 3.2% 감소했다. 2020년 7월(-4.6%) 이후 3년 만의 최대 감소 폭이다. 승용차 등 내구재(-5.1%),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2.1%), 의복 등 준내구재(-3.6%)에서 모두 감소세를 기록했다.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8.9% 줄었다. 2012년 3월(-12.6%) 이후 11년 4개월 만의 최대 감소 폭이다. 자동차 등 운송장비(-2

  • 中 결혼건수 역대 최소

    中 결혼건수 역대 최소

    중국의 작년 결혼 건수가 크게 감소하면서 역대 최소 기록을 또 경신했다. 빠른 고령화에 신생아도 줄어드는 등 인구 감소가 심화하는 신호가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12일 중국 민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는 683만 건으로 전년인 2021년의 763만 건보다 10.5% 급감했다. 이는 중국이 혼인신고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86년 이후 가장 적은 수치다.중국의 혼인 건수는 2013년 1346만 건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한 이후 9년 연속 감소했다. 이 기간 감소율은 49.3%로, 건수로는 ‘반토막’ 났다. 2019년엔 927만 건으로 12년 만에 1000만 건 아래로 내려간 데 이어 2020년 814만 건, 2021년 763만 건, 2022년 683만 건 등 매년 100만 건 가까이 감소하고 있다.중국 당국은 혼인 건수가 줄어든 이유로 1990년대 이후 출생 인구 감소, 결혼 가능 인구 중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성비 불균형, 초혼 연령 상승 등을 꼽았다. 높은 집값과 사교육비 부담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중국에서도 출생률 저하 원인으로 꼽힌다. 중국의 ‘1가구 1자녀’ 정책 아래 태어난 1980년대생들이 자녀와 부모를 모두 부양해야 하는 상황에 몰렸고, 이를 지켜본 1990년대생들이 결혼 자체를 포기하고 있어 한국보다 결혼율과 출생률 하락 속도가 더 심각하다는 분석이다.지난해 말 기준 중국의 인구는 14억1175만여 명으로, 전년 대비 85만 명 줄었다. 중국의 작년 신생아 수는 956만 명으로 1949년 건국 이후 처음으로 1000만명 아래로 내려갔다.베이징=강현우 특파원

  • [속보] 5월 1~20일 수출 16.1% 감소…무역적자 43억400만달러

    [속보] 5월 1~20일 수출 16.1% 감소…무역적자 43억400만달러

    5월 중순까지 수출이 1년 전보다 줄면서 7개월 넘게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무역수지는 14개월 넘게 적자 흐름을 이어가면서 올해 누적된 무역적자 규모는 300억달러에 육박한다.22일 관세청에 따르면 5월 1∼20일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324억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6.1% 감소했다. 작년 5월 1~20일 조업일수가 15일, 올해가 14.5일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일평균 수출액은 13.2% 감소(25억8000만달러→22억4000만달러)했다.전체 수출액은 작년 10월부터 지난달까지 7개월 연속 감소한 데 이어 이달 중순까지 '마이너스' 흐름이 이어졌다. 수출이 월간 기준 7개월 이상 감소한 사례는 2018년 12월∼2020년 1월 이후 처음이다.수출 비중이 가장 큰 반도체가 1년 전보다 35.5% 줄었다. 반도체는 지난달까지 월간 기준 9개월 연속 수출이 감소. 석유제품(-33%), 무선통신기기(-0.8%), 정밀기기(-20.9%) 등의 수출액도 1년 전보다 감소. 반면 승용차(54.7%) 등은 증가했다.국가별로는 최대 교역국인 중국에 대한 수출이 23.4% 감소했다. 대중 수출의 감소세는 지난달까지 11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베트남(-15.7%) 일본(-13.9%), 미국(-2%), 유럽연합(EU·-1.1%) 등으로의 수출 감

  • 美 소비 가늠자 '홈디포', 14년 만에 역성장 쇼크

    미국의 건축자재·도구 소매업체인 홈디포가 글로벌 금융위기 후 14년 만에 처음으로 올해 매출이 역성장할 가능성을 예고했다.홈디포는 2023회계연도 1분기(2~4월)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 줄어든 372억6000만달러(약 49조9650억원)라고 1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시장 추정치인 382억8000만달러를 밑도는 수치다. 홈디포의 1분기 순이익은 38억7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5% 줄었다. 1분기 동일 점포 매출은 4.5% 감소하며 시장 추정치(-1.6%)보다 더 나빴다. 주당 순이익(EPS)은 3.82달러로 시장 추정치인 주당 3.80달러에 부합했다.이날 홈디포는 어두운 가이던스를 내놨다. 홈디포는 올해(2023년 2월~2024년 1월) 매출이 2~5%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매출이 지난해와 비슷할 것이라는 기존 전망을 수정한 것이다. 홈디포의 연매출이 감소한다면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후 14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 된다. 회사는 올해 EPS가 7~13%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영업이익률 전망치도 14~14.3%로 기존의 14.5%보다 낮춰 잡았다.리처드 맥페일 홈디포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고성장해온 지난 3년과 올해는 다를 것”이라고 했다.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후 주택 개조 수요가 늘면서 홈디포가 호황을 누렸다면, 이제는 기준금리 상승과 서비스 비용 증가의 여파를 피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맥페일 CFO는 “긴축 통화 정책과 대출 조건 강화로 재량소비지출이 줄어들고 있다”며 매장에서 그릴, 파티오 등 가격이 비싼 제품의 판매가 저조하다고 설명했다.미국 소비심리의 바로미터로 꼽히는 홈디포 실적 및 가이던스가 부진하자 이날 뉴욕증시에도 여파가 갔다. 이날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 금융위기 후 첫 '매출 감소' 예고한 홈디포…뉴욕 증권가도 출렁

    금융위기 후 첫 '매출 감소' 예고한 홈디포…뉴욕 증권가도 출렁

    미국의 건축 자재·도구 소매 브랜드인 홈디포가 금융위기 이후 첫 매출 하락을 예고했다. 미국 소비심리가 얼어붙고 있다는 평가에 뉴욕증시도 하락세를 보였다. 홈디포는 16일(현지시간) 올해 회계 1분기(2023년 2월~4월) 매출이 전년보다 4.2% 하락한 372억6000만 달러(약 49조9650억원)라고 발표했다. 월가 예상치인 382억8000만달러를 밑도는 수치다. CNBC는 홈디포 매출이 이렇게 예상치보다 낮은 것은 2002년 11월 이후 처음이라고 전했다.  1분기 순이익은 38억7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5% 줄었다. 1분기 동일 점포 매출은 4.5% 감소했다. 주당 순이익(EPS)은 3.82달러로 시장 예상치인 주당 3.80달러를 웃돌았다.  홈디포는 올해 매출이 2~5% 떨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해 매출이 지난해와 비슷할 것이라는 기존 전망을 수정한 것이다. 주당 순이익은 7~13%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영업이익률 전망치는 14~14.3%로 기존의 14.5%보다 낮춰잡았다. 홈디포의 연간 매출은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전년보다 떨어진 적이 없었다.  리처드 맥페일 홈디포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목재 디플레이션과 날씨 영향이 판매에 부정적으로 작용했고 올해 날씨와 소비자 수요가 더 불확실하다”고 밝혔다. 또 코로나19 팬데믹 직후 주택 개조 수요가 늘면서 호황을 누렸으나, 최근 대출금리 상승과 서비스 비용 증가로 매출이 둔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소비자 심리의 바로미터로 평가되는 홈디포가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으면서 주식시장도 출렁였다. 이날 발표 이후 다우지수는 전장 대비 336.46포인트(1.01%) 하락한 3만3012로 마감했다. 홈디포 주가는 전날보다 2.1

  • 다시 반도체의 시간…"더이상 나빠질 게 없다"

    다시 반도체의 시간…"더이상 나빠질 게 없다"

    반도체 업종 투자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주요 업체들의 적극적인 감산, 수요 회복 기대감 등이 겹치면서다. 메모리 반도체 가격도 최저점에 가까워졌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주가 상승 기대감을 가져볼 만하다는 분석이다. 생산은 감소, 수요는 회복…"상대 수요 반등 중"반도체 업황이 완연한 회복세에 놓였다고 판단하는 첫 번째 근거는 주요 업체들의 적극적인 감산이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에 따르면 반도체 주 재료 중 하나인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1분기 동안 전년 동기 대비 11.3% 감소했다. SEMI 측은 "올해 초 메모리 반도체와 가전제품 수요가 줄어들며 1분기 웨이퍼 출하량도 급감했다"고 밝혔다.국내 대표 반도체 회사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생산량도 크게 줄고 있다. 고영민 신한투자증권 책임연구원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적극적 감산 속에 올해 DRAM 생산량은 각각 10.2%, 9.8%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1분기 말 대비 23년 말 재고는 각각 16주→8.3주, 14주→8주까지 내려앉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이에 따라 공급 대비 수요를 일컫는 '상대 수요'는 점진적으로 회복 중이라는 분석이다. 지난주 발표된 미국의 4월 비농업 고용은 25만3000명으로, 예상치를 상회했다. 탄탄한 고용 덕에 미국 내 소비 환경이 점차 개선되면서, IT 제품 수요도 회복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고 책임연구원은 "수요가 그대로인데 생산이 감소 중이라면 상대적인 업황은 회복 중이라고 봐야한다"고 말했다. 메모리 가격 바닥론…"투자 비중 늘릴 때"메모리 반도체 기업 주가 부진의 주원인으

  • 수요 부진에 매출 뚝 떨어진 반도체 거인들…퀄컴 16%·AMD 9%↓

    수요 부진에 매출 뚝 떨어진 반도체 거인들…퀄컴 16%·AMD 9%↓

    반도체 업계가 급격한 PC·휴대폰 수요 감소로 부진한 1분기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미국의 반도체 제조사 퀄컴은 3일(현지시간) 실적 공시를 통해 올해 1분기 (회계연도 기준 2023년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111억5800만달러) 대비 17% 감소한 92억750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팩트셋이 집계한 월가 애널리스트 전망치인 90억9000만달러보다는 높았다. 순이익은 전년 24억2000만달러에서 42% 감소한 17억400만달러로 집계됐다.  부문별로는 핸드셋(휴대폰) 반도체 매출이 73억4900만달러에서 61억500만달러로 17% 감소했다. 사물인터넷(Iot) 반도체가 18억2800만달러에서 13억9000만달러로 줄어든 반면 차량용 반도체는 3억7100만달러에서 4억4700만달러로 증가했다.  퀄컴 실적이 악화된 데는 전세계적으로 휴대폰 수요가 부진한 영향이 컸다. 리서치업체 카날리스에 따르면 올 1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했다.  전망은 더 어두웠다. 퀄컴은 올해 2분기 매출을 81~89억달러 수준으로 내다봤다. 월가 애널리스트 전망치인 91억달러보다 낮은 수치다. 퀄컴은 스마트폰 시장이 초과 공급을 소진하는데 예상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분석했다. 크리스티아노 아몬 퀄컴 최고경영자(CEO)는 "재고 감소가 적어도 향후 몇 분기 동안 중요한 요인으로 남아 있다는 가정 하에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라며 "장기적인 안목으로 (자동차, 네트워킹, 웨어러블 기기 등에 대한) 사업 다각화와 투자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퀄컴 주가는 이날 2.82% 하락한 112.83 달러로 마감했다. 시간외거래에서는 105.35달러까지 떨어졌다. PC용 반도체를 주력으로

  • [속보] 테슬라 1분기 순익 전년대비 24% 감소

    테슬라가 19일(현지시간) 장 마감 후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총이익률은 19.3%로 지난해 4분기(23.8%) 대비 하락했다.1분기 순익은 25억1300만달러(약 3조3500억원)로 작년 동기 대비 24% 줄었다.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 작년 카드사 순이익, 4% 줄어든 2.6조

    고금리 여파로 조달 비용과 대손충당금 규모가 늘어나면서 신용카드사의 순이익이 전년보다 4% 감소했다.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8개 전업 카드사의 작년 당기순이익은 2조6062억원(잠정)으로 1년 전(2조7138억원)에 비해 4%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할부카드 수수료 수익과 기업대출 등 이자수익이 각각 3892억원, 3445억원 늘어나는 등 총수익이 1조7455억원 증가했지만 비용 부담이 이보다 더 커지면서 실적이 뒷걸음질쳤다. 여신전문금융회사채 금리가 급등하며 이자비용이 8254억원 증가했고 대손충당금 적립에 따른 비용 증가분도 4503억원에 달하는 등 총비용이 1년 새 1조8531억원 늘었다.작년 말 기준 카드업계의 연체율은 1.20%로 전년 말(1.09%) 대비 0.11%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손충당금 적립률과 조정자기자본비율은 최근 1년 새 각각 106.9%에서 106.7%, 20.8%에서 19.4%로 소폭 하락했다.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영향으로 작년 전체 신용·체크카드 이용액은 12.1% 증가(960조6000억원→1076조6000억원)했지만 금리 급등으로 인한 대출 수요 감소로 카드대출 이용액은 3.2% 감소(107조2000억원→103조8000억원)했다.이인혁 기자

  • LG전자 5개월만에 주가 10만원 안착…"재고-운수비용 감소로 수익성 회복"

    LG전자가 5개월만에 10만원선에 안착했다. 지난해 4분기 부진한 실적을 발표했지만 곧 바닥을 치고 반등할 것이라는 기대가 모이면서다. 증권사들도 LG전자의 목표가를 잇달아 올렸다. 30일 LG전자는 2.3% 오른 10만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LG전자 주가가 종가 기준으로 10만원을 넘긴 것은 지난해 8월 31일(10만1000원) 이후 153일만이다.이날 삼성·하나·KB·키움·신한투자·이베스트투자·하이투자 등 7개 증권사들은 LG전자의 주가를 잇달아 상향했다. 키움증권은 기존 대비 1만원 올린 13만원을, 삼성증권은 1만5000원 올린 12만5000원을 제시했다. LG전자는 지난해 하반기 들어 실적 부진 우려가 커지면서 주가가 급락했다. 작년 9월 29일에는 7만8000원까지 떨어졌다. 실제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91.2% 줄어든 655억원에 그쳤다. 부진한 실적에도 불구하고 LG전자 주가는 최근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재고량과 운수비용이 줄면서 올해부터는 실적이 본격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서다. LG전자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이 0.8배 수준으로 저평가돼 있다는 점도 상승 기대 요인으로 꼽힌다. 이종욱 삼성증권 연구원은 "LG전자가 발표한 지난해 4분기 재고자산 규모는 9조4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6.2%, 전년 동기 대비 3.7% 감소했다"며 "올해 1분기 중으로 점진적인 물류비 하락과 수익성 회복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록호 하나증권 연구원은 “지난 분기에 재고 건전화 등의 마케팅 비용이 반영돼 이익 개선은 명확하다”며 “IT 업계가 전반적으로 상반기 실적이 부진할 것으로 보이지만 LG전자의 실적 개선은 돋보일 것으로 예상한

  • [속보] 11월 누적 무역적자 426억달러…수출 14% 급감

    [속보] 11월 누적 무역적자 426억달러…수출 14% 급감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지난달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0% 감소한 519억1000만달러, 수입은 2.7% 늘어난 589억300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무역수지는 70억1000만달러 적자다. 누적 무역적자는 425억6000만달러로 1956년 무역통계 작성 이후 최대 규모다.무역 적자는 지난 4월 이후 8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수출은 지난 10월 2020년 10월 이후 2년 만에 전년 동기 대비 줄어들었고 적자 폭을 더욱 키웠다.산업부는 수출의 경우 글로벌 경기둔화, 화물연대 운송거부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전년 대비 14.0%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반면 원유·가스·석탄 수입액이 전년 동월(122억1000만달러)에 비해 33억1000만달러 증가한 155억1000만달러를 기록해 적자 발생에 영향을 미쳤다.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

  • 美 쇼핑 대목 '블프' 다가오지만…"유통주에 혼쭐날 수도"

    美 쇼핑 대목 '블프' 다가오지만…"유통주에 혼쭐날 수도"

    미국 최대 쇼핑 시즌인 블랙프라이데이(추수감사절 다음날)를 앞두고 미국 유통주 주가가 출렁일 수 있다는 투자은행(IB)들의 전망이 나왔다. 최근 타깃의 실적 저조 등을 고려하면 실적 전망은 부진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20일(현지시간)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추수감사절 연휴 기간 유통주 주가는 시장 대비 높은 변동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골드만삭스가 2011~2021년 사이 추수감사절 연휴 기간 34개 대형 유통주의 주가를 분석한 결과 평균 3% 변동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S&P500 종목들을 시가총액대로 담는 SPDR S&P500 트러스트 상장지수펀드(ETF)는 평균 1.3% 수준의 변동률을 보였다.주요 유통주는 2011~2019년까지 4분기에 연간 매출의 약 29%를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이 추수감사절 기간에 몰리면서 유통주 주가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는 분석이다.올해는 경기 침체, 재고 과잉 등의 여파로 주요 유통업체의 실적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들 기업의 주가도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타깃은 최근 3분기 순이익이 7억12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14억9000만달러)보다 52% 감소했다고 발표했다.배태웅 기자

  • 블랙프라이데이 앞두고 유통주 '조심'…"매출 감소에 주가 하향 가능성"

    블랙프라이데이 앞두고 유통주 '조심'…"매출 감소에 주가 하향 가능성"

    미국 최대 쇼핑 시즌인 블랙프라이데이(추수감사절 다음날)를 앞두고 미국 유통주 주가가 출렁일 수 있다는 투자은행(IB)들의 조언이 나왔다. 다만 최근 타깃의 실적 부진 등을 고려하면 실적 전망은 부진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20일(현지시간)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추수감사절 연휴 기간 유통주 주가는 시장 대비 높은 변동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골드만삭스가 2011~2021년 사이 추수감사절 연휴 기간 34개 대형 유통주들의 주가를 분석한 결과 평균 3% 변동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S&P500 종목들을 시가총액대로 담는 SPDR S&P500 트러스트 상장지수펀드(ETF)는 평균 1.3% 수준의 변동률을 보였다.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주요 유통주들은 2011~2019년까지 4분기에 매출 약 29%를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이 추수감사절 기간에 몰리면서 유통주 주가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는 분석이다.올해는 경기 침체, 재고과잉 등의 여파로 주요 유통업체들의 실적이 부진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주요 기업들의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타깃은 최근 3분기 순이익이 7억12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14억9000만달러)보다 52%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미국전국소매연맹(National Retail Federation)에 따르면 올해 추수감사절 연휴 소매업계 매출은 지난해보다 6~8% 증가한 9426억~9604억 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최근 10년 평균보다 높은 수치지만 올해 미국 물가 상승률이 8%에 달하는 점을 고려하면 오히려 실제 매출은 전년대비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비샬 비벡 골드만삭스 수석투자전략가는 “불확실한 매크로 환경과 코로나19 이후 변화한 지출 성향이 제자리를 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