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05월 08일 04:36 자본 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마켓인사이트]삼정KPMG “해운 회복 국면 들어설 것…적극적 M&A 통해 경쟁력 확보해야”](https://img.hankyung.com/photo/201905/01.19608946.1.jpg)
오랜 조정 기간을 거친 해운 업계가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들어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세계 해운 물동량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선박 및 물동량의 수급 불균형이 해소되면서 해운 불황이 해소될 것이란 분석이다. 향후 증가할 수요에 대비해 한국 업체들도 적극적인 인수합병(M&A) 및 친환경 규제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삼정KPMG는 지난 7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보고서 ‘해운업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발간했다. 연구진은 보고서를 통해 올해 전 세계 벌크선과 탱커선, 가스선, 컨테이너선 등 주요 해운 분야에서 해상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와 글로벌 얼라이언스 재편 등의 변화도 예고돼있어 국내 해운선사들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문도 내놨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해운 물동량은 2018년 119억톤으로 전년 대비 2.7% 증가했다. 올해는 2.9%로 견조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2017년 국내 해상운송수지가 47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하고, 지난해 11월까지 적자만 45억 6000만 달러를 기록하는 등 국내 해운사들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2016년 최대국적선사인 한진해운이 무너지면서 한 때 5위까지 오랐던 세계 상선대 보유 순위는 7위로 내려 앉았다. 국내 100대 해운사의 27% 이상이 부채비율이 400%를 넘어설 정도로 유동성 위기도 지속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해운재건 5개년 계획(2018~2022)’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해운업 살리기’에 나섰다. 2016년 29조원이던 해운업 매출액을 2022년까지 51조원으로 끌어올릴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진은 “한국은 지리적 특성상 수출입 화물의 99.7%가 해운에 의존하고 있고, 국내 대표산업인 조선과 철광 등 전후방 산업연계도 매우 높은 특징을 갖고 있다“며 ”국내외 해운산업 재건의 움직임 속에서 국내 해운선사들이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삼정KPMG 연구진은 이를 위해 △M&A를 통한 규모의 경제 달성 △글로벌 환경규제에의 적극적 대응 △디지털 혁신 △정부와의 협력 △재무구조 개선 등 다섯 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글로벌 선사들은 해운 시장 내 과잉 공급과 운임 급락으로 인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M&A에 나서고 있다.
2017년 독일 해운사 하파크로이트의 중동 선사 UASC인수를 비롯해 일본 3대 컨테이너 선사의 합병 등 10~20위권 해운사들의 인수합병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M&A, 얼라이언스 구축을 통해 서비스 범위 확장, 원가절감, 효율성 확대 등 규모의 경제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강화되는 글로벌 환경규제에 대한 대응도 주요한 과제다. 2020년부터는 국제해사기구(IMO) 규제에 따라 모든 선박이 연료유의 황 함유량을 기존의 3.5%에서 0.5% 이하로 대폭 낮춰야 한다. 기존 선박들은 일반 벙커C유보다 비싼 저유황유로 연료를 바꾸거나, 척당 수십억원을 들여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장착해야 한다. 환경 규제에 맞춰가면서도 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대응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지적이다.
연구진은 그 외에도 블록체인, 인공지능(AI)등 기술을 접목한 디지털 혁신을 통해 화물 실시간 추적, 스마트 계약, 선박관리 시스템 개선 등 다양한 생산성 제고 노력을 병행할 것을 제언했다. 정부가 해운업 재건을 위해 신조 발주 투자 등 다양한 금융지원 정책을 내놓고 있는만큼 정부와의 협업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는 지적도 내놨다. 올해 1월부터 국제회계기준(IFRS16)이 시행됨에 따라 운용리스가 부채로 인식돼 부채비율이 급증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도 국내 해운업계의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삼정KPMG 해운업 M&A 담당 박주흥 상무는 ”오랜 조정 기간을 거치면서 바닥을 다진 해운업계가 수급불균형 개선에 따라 점진적으로 회복세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며, "해운시장의 판도가 바뀔 수 있는 황산화물 규제 등의 이슈를 주시하고, 친환경 LNG 연료 엔진 선박에 대한 운용방안을 모색할 뿐만 아니라 정부의 다양한 해운정책 지원을 통해 미래 친환경 경쟁에 철저히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