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작년 순익 3.7조…하나금융, 밸류업 속도낸다

    작년 순익 3.7조…하나금융, 밸류업 속도낸다

    하나금융지주가 지난해 3조7000억원 넘는 당기순이익을 내는 등 사상 최대 실적을 올렸다. 주주환원책 강화를 위해 400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도 내놨다.하나금융은 지난해 순이익이 3조7388억원으로 집계됐다고 4일 발표했다. 전년(3조4217억원) 대비 9.3% 늘었다. 2022년(3조5706억원)을 뛰어넘은 역대 최대치다.수익구조 다각화에 따른 수수료 이익 증가와 선제적 리스크 관리 노력 등이 실적 개선으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하나금융의 지난해 수수료 이익은 2조696억원으로 전년(1조7961억원) 대비 15.2% 늘었다. 반면 이자 이익은 전년보다 1.3% 줄어든 8조7610억원에 그쳤다. 시장금리 하락으로 이자 이익이 소폭 감소한 것으로 풀이됐다. 대표적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은 지난해 4분기 1.69%로 집계됐다. 지난해 3분기 1.63%에서 소폭 개선됐다. 하나금융은 “투자은행(IB), 퇴직연금, 신용카드 등 수수료 기반 수익이 고르게 증가한 것이 실적 개선의 이유”라고 설명했다.비은행 계열사의 실적 호조도 돋보였다. 하나증권은 지난해 2251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2023년 2924억원 순손실에서 흑자 전환했다. 하나카드는 2217억원, 하나캐피탈은 1163억원, 하나자산신탁은 588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핵심 계열사인 하나은행은 시장금리 하락·환율 상승 등 악조건 속에서 3조3564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는 등 견조한 영업력을 유지했다. 반면 하나생명과 하나저축은행은 각각 7억원, 322억원의 손실을 봤다.위기 대처 능력을 나타내는 보통주자본(CET1) 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13.13%로 집계됐다. CET1 비율은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 중 하나로 순이익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눈 값이다. 목표 CET1 비율(

  • IPO 추진하는 오아시스…관계기업 루트에 적자 떠넘겼나

    IPO 추진하는 오아시스…관계기업 루트에 적자 떠넘겼나

    식음료 플랫폼기업인 오아시스마켓이 관계사인 루트에 손실을 떠넘겼다는 지적이 나온다. 루트는 오아시스마켓 관계사로 2021년 2월 출범한 물류업체다. 오아시스 배송의 68%를 담당한다. 오아시스마켓은 매년 흑자행진을 이어간 반면 루트는 물류 사업 비용으로 매년 수십억원대 적자를 보고 있다. 두 회사의 모회사인 지어소프트테크가 오아시스마켓과 루트를 각각 '굿컴퍼니', '배드컴퍼니' 체제로 나눠 운영하면서 굿컴퍼니를 중심으로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어소프트테크의 물류 자회사 루트의 오아시스 매출 비중은 작년 19%에서 올해 24%로 늘어났다. 루트는 지난해 오아시스와 배송용역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루트는 오아시스의 핵심 물류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오아시스가 이용하는 물류센터는 △성남 제1 스마트 통합 물류센터 △성남 제2 스마트 통합 물류센터 △의왕 풀필먼트 센터 등 3곳이 있다. 하루 주문 처리 능력은 각각 5만개, 2만개, 15만개로 루트가 보유한 의왕 풀필먼트 센터가 오아시스 물류의 68%를 차지한다. 루트는 물류센터 건립에 투자한 뒤 매년 영업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루트는 작년 매출 59억원, 순손실 44억원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설비투자에 따른 감가상각비와 이자비용이 각각 39억원, 13억원을 기록했다. 플랫폼 기업이 장기간 적자를 기록하는 데에는 물류센터 투자의 영향이 크다. 오아시스와 루트의 모회사는 코스닥 상장사인 지어소프트테크다. 지어소프트테크는 오아시스 지분을 55.2%, 루트의 지분 76.9%를 보유하고 있지만, 오아시스와 루트는 관계사다. 만약 오아시스가 루트 지분을 100% 보

  • "50년 만에 가장 싸다"…투자자들 몰리는 이 나라는

    "50년 만에 가장 싸다"…투자자들 몰리는 이 나라는

    영국 증시가 미국 등 주요국에 비해 저평가된 상태가 이어지면서 영국 기업 인수합병(M&A)와 영국 시장에서의 기업공개(IPO)가 활기를 띨 것이라는 기대감이 확산하고 있다. 매튜 비슬리 주피터자산관리 최고경영자(CEO)는 2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즈(FT)와의 인터뷰에서 "영국 증시가 계속 낮은 가격을 유지한다면 올해 지금까지 가늘게 흘렀던 M&A 활동이 내년에는 홍수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비슬리 CEO는 "영국 주식이 50년만에 가장 저렴하고 미국 경쟁사에 비해 크게 할인된 가격에 거래되고 있어 해외 투자자들이 영국 주식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했다. 영국 대표 주가지수인 FTSE100 지수의 평균 주가수익비율(PER)은 지난 9일 14.3배로 지난 37년 평균인 15.9에 비해 낮았다. 이달 들어 FTSE지수가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음에도 역사적으로 봤을 때는 저평가된 수준이라는 것이다. S&P500의 평균 PER은 20일 27.58배로 FTSE100의 2배에 달했다. 지난해 런던 증시는 케임브리지에 본사를 둔 반도체 제조업체 ARM이 나스닥거래소에 상장하는 등 기업로부터 외면당했다. 그러나 이달 세계 최대 광산기업인 호주 BHP가 영국 경쟁업체 앵글로아메리칸을 427억달러(약 58조3600억원)에 인수하려고 시도하고, 체코 억만장자 다니엘 크르제틴스키가 영국 우편업체 '로열메일'을 보유하고 있는 IDS 인수를 제안하는 등 다시 활기를 되찾고 있다. 올해 런던 증시 상장사에 대한 공개 매수제안 금액은 2018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캐임브리지에 본사를 둔 저가 컴퓨터 제조사인 라즈베리파이가 곧 상장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런던 증시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라즈베리파

  • '시공 톱10' 건설사 영업익 뚝

    시공능력평가 순위 10위 이내 비상장 건설회사가 지난해 고금리 지속과 부동산 경기 부진 탓에 외형(매출)은 불어났지만, 영업이익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포스코이앤씨 매출은 2022년 9조4352억원(연결 기준)에서 작년 10조1657억원으로 7.7% 늘어나며 ‘10조 클럽’에 이름을 올렸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3086억원에서 2014억원으로 34.7% 급감했다. 롯데건설 상황도 비슷하다. 매출은 5조1644억원에서 6조2405억원으로 20.8%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3608억원에서 2595억원으로 28.1% 빠졌다.호반건설은 매출(3조2071억원→2조6910억원)과 영업이익(5973억원→4012억원) 모두 하강 곡선을 그렸다. 하지만 당기순이익이 3726억원에서 5926억원으로 59% 늘었다. 호반건설이 투자한 한진칼의 지분 가치가 크게 오른 영향이다.SK에코플랜트도 지난해에 전년(7조5508억원) 대비 18.2% 늘어난 8조9250억원의 매출을 거뒀다. SK에코엔지니어링과 SK오션플랜트 등 자회사 실적 개선 영향이다. 전체 영업이익도 1569억원에서 1745억원으로 11.2% 뛰었다.현대엔지니어링이 유일하게 외형과 수익 모두 개선됐다. 작년 매출은 13조633억원으로, 2022년(8조8124억원)에 비해 48.2% 뛰었다. 영업이익도 같은 기간 1164억원에서 2551억원으로 두 배 넘게 증가했다.이인혁 기자

  • 작년 코스닥 상장사 영업이익 35% 넘게 감소

    작년 코스닥 상장사 영업이익 35% 넘게 감소

    지난해 반도체 수요 감소와 국내경기 둔화로 코스닥시장 상장사 영업이익이 35% 넘게 감소했다. 매출은 소폭 늘었지만 정작 영업이익이 줄어들면서 영업이익률은 3% 수준으로 떨어졌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시장 12월 결산법인 1146개사(연결기준)의 지난해 매출 합산액은 260조4556억원, 영업이익 합산액은 9조4077억원, 순이익 합산액은 3조5845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매출액은 전년대비 1.2% 늘어난 반면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35.4%, 54.6%씩 줄었다. 영업이익률은 2022년 5.66%에서 작년 3.61%로 쪼그라들었다. 반도체 업황 부진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실적이 주춤하면서 반도체 관련 소재·부품·장비주가 많은 코스닥시장에도 여파가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코스닥시장 업종 중에서 IT·하드웨어 업종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77% 감소해 9451억원에 그쳤다. IT·소프트웨어 업종 영업이익도 전년대비 32.6% 줄어든 7846억원을 기록했다. 전체 IT업종 합산 영업이익은 1조8714억원으로 2022년 대비 66.6% 감소했다. 일반 제조업 업종 전체 영업이익도 17.7% 줄어든 4조9661억원이었다. 코스닥 업체들이 대부분 부진했던 가운데 운송장비 및 부품 업종은 오히려 호실적을 기록했다. 영업이익 합산액은 전년대비 71% 늘어나 1조3038억원이었다. 지난해 현대차, 기아의 호실적으로 관련 업체들의 실적이 개선된 영향이다. 경기 둔화 여파로 지난해 코스닥시장 상장사 중 적자 전환한 곳도 늘었다. 분석대상 1146개사(연결 기준) 중 적자 기업 비중은 41.7%였다. 이중 지난해 흑자였다가 적저잔환한 기업이 16.1%를 차지했다. 반면 흑자 기업 비중은 2022년 64.7%에서 작년

  • 기아, 곳간 가장 두둑…작년 현금 8.9조원 쌓았다

    기아, 곳간 가장 두둑…작년 현금 8.9조원 쌓았다

    금융당국이 다음달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초안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상장사들의 잉여현금흐름(FCF)에 관심이 몰리고 있다. FCF가 많을수록 기업의 배당과 투자 여력도 늘어나기 때문이다.28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가운데 연간 FCF가 가장 많은 기업은 8조9614억원을 보유한 기아로 나타났다. FCF는 기업의 영업활동현금흐름에서 영업 설비 등에 투자한 금액을 빼고 남은 돈이다.기아는 지난해 11조6079억원의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거두면서 FCF 역시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2022년 말 기준 기아의 FCF는 7조8386억원으로 1년 사이 14.3% 증가했다. 기아에 이어 한국가스공사(4조5545억원), 현대모비스(3조5407억원), CJ(3조5381억원), LG전자(2조6437억원), 대한항공(2조1839억원) 순으로 FCF가 많았다.김평모 DB금융투자 연구원은 “기아는 배당금 증가와 자사주 소각 등 주주환원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어 이것만으로도 매력적”이라고 했다.자동차 부품사인 현대모비스도 작년 현대차와 기아의 호실적으로 현금이 부쩍 늘었다. 2022년 이 회사의 FCF는 1조197억원이었지만 1년 사이 세 배 넘게 증가했다. 현대모비스는 올해부터 결산배당금도 전년 대비 500원 증액하기로 했다.CJ의 지난해 FCF는 이날 기준 시총(3조5654억원)과 비슷하다. 작년 CJ의 투자 감소폭이 컸기 때문이다. 양일우 삼성증권 연구원은 “주요 8개 지주사 가운데 주당 배당금이 시장 기대치를 10% 이상 웃돈 기업은 CJ 한 곳뿐이었다”고 했다.지난해 FCF가 가장 적은 기업은 삼성전자(-13조4739억원)였다. 지난해 반도체 업황 불황과 설비 투자 등이 겹친 영향이다. 이어 한국전력(-12조3862억원), SK(-7조5613억

  • 현금 차곡차곡 쌓아둔 기업 어디?…기아 FCF 8.9조로 1위

    현금 차곡차곡 쌓아둔 기업 어디?…기아 FCF 8.9조로 1위

    금융당국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초안이 다음 달 드러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상장사들의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FCF)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몰리고 있다. FCF가 많을수록 기업의 배당과 투자 여력도 늘어나기 때문이다.28일 에프앤가이드 따르면 지난해 연간 기준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가운데 FCF가 가장 많은 기업은 8조9614억원을 보유한 기아로 나타났다. FCF란 기업의 영업활동현금흐름에서 영업 설비 등에 투자한 금액을 빼고 남은 돈이다.기아는 지난해 11조6079억원의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거두면서 FCF 역시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2022년 말 기준 기아의 FCF는 7조8386억원으로 1년 사이 14.3% 증가했다. 기아에 이어 한국가스공사(4조5545억원), 현대모비스(3조5407억원), CJ(3조5381억원), LG전자(2조6437억원), 대한항공(2조1839억원) 순으로 FCF가 많았다.김평모 DB금융투자 연구원은 "기아는 배당금 증가와 자사주 소각 등 주주환원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어 주주환원정책 확대만으로도 여전히 매력적"이라고 했다.자동차 부품사인 현대모비스도 작년 현대차와 기아의 호실적으로 현금이 부쩍 늘었다. 2022년 이 회사의 FCF는 1조197억원이었지만 1년 사이 3배 넘게 증가했다. 현대모비스는 올해부터 결산배당금도 전년 대비 500원 증액하기로 했다.CJ는 이날 기준 시총(3조5654억원)보다 지난해 FCF가 소폭 더 많다. 작년 CJ의 영업활동현금흐름은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투자 감소 폭이 더 커졌기 때문이다. 양일우 삼성증권 연구원은 “주요 8개 지주사 가운데 주당 배당금이 시장 기대치를 10% 이상 웃돈 기업은 CJ 한 곳뿐이었다"고 했다.지난해 FCF가 가장 적은 기업은 삼성전자(-13조4739

  • 올들어 힘못쓰는 금 ETF

    지난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던 금 관련 펀드·상장지수펀드(ETF)가 올 들어 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하가 기존 전망 대비 더 늦어질 것이란 예상이 나오자 국제 금 가격은 물론 금광 관련 주식도 부진하면서다.19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16일까지 국내 12개 금 펀드 수익률은 평균 -7.86%로 집계됐다. 이 회사가 분류하는 테마형 펀드 가운데 원자재 펀드(-9%) 다음으로 수익률이 저조했다.금 펀드는 지난해 중동 정세 불안과 달러 안정 등으로 국제 금 가격이 크게 치솟으면서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작년 말 기준 국내 금 펀드 12개의 3개월 평균 수익률은 8.01%에 달했다.그러나 올 들어 Fed가 기존 예상보다 장기간 고금리를 유지할 것이란 관측이 고개를 들면서 금 가격이 하락 전환하자 금 펀드 수익률도 함께 내려가고 있다. 뉴욕상품거래소에 따르면 4월물 국제 금 선물 가격은 지난해 12월 28일 트로이온스당 2095.8달러까지 치솟았지만, 올해 들어서는 지난 16일 기준 2024.1달러로 약 3.3% 하락했다.금 펀드 수익률은 펀드마다 크게 엇갈리고 있다. 연초 이후 지난 16일까지 국내 금 펀드 중 ‘하이월드골드’의 수익률이 -19.1%로 가장 부진했다. 이 펀드는 블랙록의 ‘BGF 월드골드 펀드’에 투자하는 재간접 펀드다. BGF 월드골드 펀드는 글로벌 금광 관련 기업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다. 금광 관련 기업 주가가 큰 폭으로 내려가면서 수익률이 특히 저조했다. 금광 관련 기업에 주로 투자하는 ‘IBK골드마이닝’ 펀드 역시 올해 수익률이 -14.4%에 그쳤다. 금광 기업과 해외 금 ETF로 분산투자하는 ‘신한골드’ 역시 연초 이후 수익률이 -11.5%로

  • 한때 '투자 1순위'였는데…"어디까지 떨어지나요?" 한숨

    한때 '투자 1순위'였는데…"어디까지 떨어지나요?" 한숨

    지난해 높은 상승세를 보였던 금 관련 펀드·상장지수펀드(ETF)들이 연초 이후 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하가 기존 전망 대비 더 늦어질 것이란 예상이 나오면서 국제 금 가격은 물론 금광 관련 주식도 주가가 내려간 영향이다.19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연초 이후 지난 16일까지 국내 12개 금 펀드 수익률은 평균 -7.86%로 집계됐다. 이 회사가 분류하는 테마형 펀드 가운데 원자재 펀드(-9%) 다음으로 가장 수익률이 저조했다.금 펀드는 지난해 중동 정세 불안과 달러 안정 등으로 국제 금 가격이 크게 치솟으면서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28일 기준 국내 금 펀드 12종의 3개월 수익률은 8.01%에 달했다.그러나 올해 들어 Fed가 기존 예상보다 장기간 고금리를 유지할 것이란 관측이 고개를 들면서 금 가격이 하락 전환하자 금 펀드 수익률도 함께 내려가고 있다. 뉴욕상품거래소에 따르면 4월물 국제 금 선물 가격은 지난해 12월 28일 1온스당 2095.8달러까지 치솟았지만, 올해 들어서는 지난 16일 기준 2024.1달러까지 약 3.3% 하락했다.금 펀드의 수익률은 펀드마다 크게 엇갈리고 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연초 이후 지난 16일까지 국내 금 펀드 중 '하이월드골드'의 수익률이 -19.1%로 가장 부진했다. 이 펀드는 블랙록의 'BGF 월드골드 펀드'에 재간접 투자하는 펀드다. BGF 월드골드 펀드는 글로벌 금광 관련 기업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다. 금광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큰 폭으로 내려가면서 수익률이 특히 저조했다.금광 관련 기업에 주로 투자하는 'IBK골드마이닝' 펀드 역시 연초 이후 수익률이 -14.4%에 그쳤다. 금광 기업과 해외 금 ETF로 분산투자하는

  • KB금융 작년 순이익 4.6조원 사상 최대…4분기는 81%↓

    KB금융 작년 순이익 4.6조원 사상 최대…4분기는 81%↓

    KB금융은 작년 당기순이익이 4조631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7일 발표했다. 전년(4조4153억원)보다 11.5%(4789억원) 증가했다. 기업대출 증가와 핵심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 확대에 힘입어 순이자이익이 늘어난 결과다. 순이자이익은 전년(11조5153억원) 대비 5.4%(6264억원) 늘어난 12조1417억원에 달했다. 비이자이익도 전년(2조2653억원)에 비해 80.4% 증가한 4조874억원을 기록했다. 유가증권 시장 회복과 채권금리 안정화에 따른 기타영업손익(평가이익)이 2022년 1조2496억원 적자에서 작년 4139억원 흑자로 돌아선 덕분이다. 은행 업무·신탁 수수료 등 순수수료 이익은 4.5% 증가한 3조6735억원으로 집계됐다. KB금융의 작년 4분기 순이익은 2615억원으로 전분기(1조3737억원)에 비해 81%(1조1122억원) 급감했다. 3330억원에 달하는 국민은행의 자영업자 이자환급 등 민생금융 지원비용과 보수적인 경기 전망을 반영한 대손충당금 적립 등 일회성 비용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KB금융과 국민은행의 작년 4분기 NIM은 각각 2.08%와 1.83%로 전분기에 비해 0.01%포인트씩 하락했다. 핵심 계열사인 국민은행의 지난해 순이익은 3조2615억원으로 전년(2조9960억원) 보다 8.9% 증가했다. 원화 대출금(342조원)이 일년새 4% 증가한 게 영향을 미쳤다. 단 하나은행 순이

  • [속보] '역성장 멈췄다'…애플, 작년 4분기 매출 전년 대비 2% 증가

    [속보] '역성장 멈췄다'…애플, 작년 4분기 매출 전년 대비 2% 증가

    애플이 1일(현지시간)작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 2% 증가한 1196억달러를 기록했다. 애플이 5개 분기 만에 전년 대비 역성장을 멈췄다. 주당 순이익(EPS)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2.18달러다.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아이폰 등 22억개의 하드웨어 생태계를 바탕으로 서비스 부문이 사상 최고 매출 기록을 달성했다”며 “2일부터 새로운 하드웨어인 비전프로가 출시되면서 생태계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애플 이사회는 이날 주당 0.24달러의 현금 배당을 발표했다. 배당금은 오는 12일 영업 종료 기준으로 기록된 주주들에게 오는 15일 지급된다.실리콘밸리=최진석 특파원 iskra@hankyung.com

  • 아마존 작년 4분기 실적 발표… 매출 14% 증가 ‘어닝 서프라이즈’

    아마존 작년 4분기 실적 발표… 매출 14% 증가 ‘어닝 서프라이즈’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1일(현지시간) 작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하는 등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기록했다.아마존에 따르면 작년 4분기 주당 순이익(EPS)은 1.00달러다. 금융분석업체 LSEG가 집계한 월가 예상치 0.8달러를 웃도는 수치다. 매출도 1700억 달러로 LSEG의 예상치 1662억 달러를 훌쩍 넘어섰다.아마존은 인플레이션, 우크라이나 전쟁, 공급망 제약으로 인한 비용 증가로 인해 지난해 어려움을 겪었다. 이후 앤디 제시 아마존 최고경영자(CEO)는 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등 수익 개선을 위해 나섰다. 2022년 말부터 2023년 중반 사이에 2만7000명 이상의 직원을 해고했다. 올해도 계속해서 인력을 감축하고 있다. 지난 1월 아마존은 프라임 비디오, MGM 스튜디오, 트위치, 오더블, 바이 위드 프라임 등 여러 사업부에서 직원들을 해고할 것이라고 밝혔다.실리콘밸리=최진석 특파원 iskra@hankyung.com

  • 구글, 작년 4분기 광고매출 울고 클라우드 웃고…주가 '시간 외 급락'

    구글, 작년 4분기 광고매출 울고 클라우드 웃고…주가 '시간 외 급락'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이 30일(현시지간) 작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광고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늘었지만,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다. 클라우드 부문 매출은 선방하면서 전체 실적 개선에 도움을 줬다. 이날 구글의 성적표를 확인한 투자자들이 실망하면서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크게 떨어졌다.알파벳은 이날 장 마감 후 작년 4분기에 863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760억달러)보다 13% 늘어난 수치다. 금융분석업체 LSEG가 집계한 월가 예상치인 853억달러를 웃돌았다. 영업이익은 237억달러로 전년 동기(182억달러)보다 27% 급증했다. 순이익도 207억달러로 전년 동기(136억달러)보다 늘면서 주당 순이익(EPS)이 1.64달러를 기록했다. 작년 4분기의 1.05달러보다 늘었고, 월가 예상치인 1.60달러를 웃돌았다.부문별 매출에선 희비가 엇갈렸다. 구글 전체 실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광고매출에서 웃지 못했다. 작년 4분기 655억달러의 광고 매출을 올렸다. 전년 동기(590억달러) 대비 10%가량 늘어난 수치다. 하지만 시장 예상치인 660억달러에 미치지 못했다. 기업들이 높은 금리로 인해 마케팅 예산 편성 및 집행에 대한 압박을 받은 영향으로 분석된다. 구글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틱톡, 아마존 등과 같은 다른 온라인 플랫폼과 광고 예산을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구글의 동영상 플랫폼인 유튜브의 광고 매출액은 작년 4분기 92억달러로 월가 예상치에 부합했다. 문제는 구글의 광고를 이용한 트래픽 획득비용(TAC)이었다. 이 부문 매출이 139억달러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141억달러)를 밑돌았다.생성AI 기술 본격화와 함께 캐시카우로 떠오른 클라우드 부문 매출은 92억달러의 매출을 올려 월가 예

  • MS, 작년 4분기 매출 18% 급증…"모든 제품에 AI 입혀 생산성 향상"

    MS, 작년 4분기 매출 18% 급증…"모든 제품에 AI 입혀 생산성 향상"

    마이크로소프트(MS)가 30일(현지시간) 작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8% 늘었다. 제품과 서비스에 인공지능(AI) 기술을 대거 접목하면서 신규 고객을 확보하고 생산성도 향상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4% 급증한 것이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MS의 작년 4분기 매출은 620억달러로 전년 동기(527억달러) 대비 18% 늘었다. 영업이익은 270억달러로 전년 동기(216억달러) 대비 33% 증가했다. 순이익도 219억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174억달러)보다 33% 증가했다. 주당 순이익은 2.93달러로 2022년 4분기의 2.32달러보다 크게 올랐다. 금융분석업체 LSEG가 집계한 월가 예상치(2.78달러)도 웃돌았다. 매출액도 LSEG의 예상치 611억2000만달러를 훌쩍 넘어섰다. 월가에선 MS가 작년 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13~16%의 매출 증가율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보다 좋은 실적을 거둔 것이다.특히 클라우드 서비스인 애저가 효자 역할을 톡톡히 했다. 에이미 후드 MS 수석부사장 겸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영업팀과 파트너들의 실행력에 힘입어 클라우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한 337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말했다.부문별로 생성AI 기술을 탑재한 오피스365 서비스와 소셜미디어 플랫폼 링크드인 등 MS의 생산성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 부문 매출은 192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다. 지능형 클라우드 매출은 20% 증가한 259억달러를 기록했고, 윈도와 Xbox 등 개인 컴퓨팅 부문 수익도 19% 증가한 169억달러를 기록했다.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CEO)는 “AI를 회사의 모든 기술에 적용해 신규 고객을 확보하고, 모든 부문에서 새로운 이점과 생산성 향상을 촉

  • 투자자들 가장 많이 보유한 해외 종목 2위는 '애플'…1위는?

    투자자들 가장 많이 보유한 해외 종목 2위는 '애플'…1위는?

    작년 말 기준 국내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보유한 외국 주식 종목 1위는 테슬라, 2위는 애플로 나타났다. 전체 외화 증권 보관금액은 2022년 대비 35.9% 늘어 139조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예탁결제원은 국내 투자자들의 보유한 외화 증권 보관액이 작년 말 기준 1041억9000만달러(약 139조7396억원)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2022년 말 766억9000만달러에서 35.9% 늘어난 금액이다. 증권 종류별로 보면 외화 주식이 768억5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38.8%, 외화 채권이 273억4000만달러 전년 대비 28.2% 늘어났다. 지난해 글로벌 증시가 상승하면서 주식평가액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증시 상승세에도 작년 외국 주식 결제액은 감소했다. 외화 주식 결제액은 전년 대비 27.7% 감소해 2879억8000만달러에 그쳤다. 반면 외화 채권 결제액은 2.6% 증가해 946억7000만달러였다. 작년 전체 외화 증권 결제액은 전년 대비 1.9% 증가한 3826억5000만달러였다. 2022년 글로벌 증시가 급락하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분석된다.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보유한 외국 주식 종목 1위는 테슬라였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투자자들은 테슬라를 136억7100만달러어치 보유하고 있다. 전년도(67억6300만달러) 대비 2배 이상 늘어난 금액이다. 작년 테슬라 주가가 101.7% 상승한데다 국내 투자자들의 꾸준히 테슬라를 매수한 영향으로 보인다. 테슬라는 최근 3년 연속 국내 투자자 보유 1위 종목을 유지하고 있다.2위는 애플(50억7700만달러), 3위는 엔비디아(43억6400만달러)였다. 애플과 엔비디아는 전년도와 같은 순위를 유지했다. 4위는 '프로셰어즈 울트라 프로 QQQ' (29억3900만달러), 5위는 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