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케이뱅크, 연간 첫 흑자 달성

    케이뱅크는 지난해 224억원의 당기순이익(잠정)을 기록하며 2017년 출범 이후 첫 연간 흑자 달성에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2020년만 해도 1054억원의 순손실을 냈던 케이뱅크는 ‘업비트 효과’ 등에 힘입어 작년 고객이 세 배 이상으로 급증하며 실적이 대폭 개선됐다. 2020년 말 219만 명이던 케이뱅크 고객 수는 작년 말 717만 명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수신 잔액도 3조7500억원에서 11조3200억원으로 세 배로 뛰었으며 여신 잔액은 2조9900억원에서 7조900억원으로 2.4배로 증가했다.국내 1위 암호화폐거래소 업비트와 제휴해 2030 투자자를 대거 고객으로 끌어들였고 경쟁력을 갖춘 여·수신 상품을 다수 출시한 것이 성장 요인으로 꼽힌다. 케이뱅크가 2020년 100% 비대면으로 내놓은 아파트담보대출은 출시 1년여 만에 누적 취급액 1조원을 돌파했으며 작년 9월 출시한 전세대출도 4개월여 만에 2000억원을 넘어섰다.수신 상품 중에선 파킹 통장인 ‘플러스박스’와 목돈 모으기 서비스인 ‘챌린지 박스’ 등이 인기를 끌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이 같은 요구불 예적금 상품의 인기로 지난해 말 저원가성 예금 비중이 80%에 달하면서 수익성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케이뱅크의 지난해 연간 순이자이익은 1980억원으로 1년 전(464억원) 대비 327% 급증했다. 업비트 등 제휴사로부터 받는 펌뱅킹 수수료 등 비이자이익도 2020년 102억원 적자에서 지난해 196억원 흑자로 돌아섰다. 서호성 행장은 “올해는 디지털금융 플랫폼 도약에 더욱 속도를 내는 한편 성공적인 기업공개(IPO)를 위한 준비에도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이인혁 기자

  • 국내 증시 활황덕에 국민연금 작년 11월말 수익률 6.5% 기록

    국내 증시 활황덕에 국민연금 작년 11월말 수익률 6.5% 기록

    ≪이 기사는 01월29일(15:5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민연금의 지난해 11월 말 수익률이 국내 주식시장 활황에 힘입어 약 6.5% 수준으로 상승했다.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는 지난해 11월 말 현재 국민연금기금 수익률이 6.49%로 잠정 집계됐다고 29일 공시했다. 이는 한 달 전인 10월 말 기준 수익률(2.06%) 대비 4.43%포인트 상승한 수치다.국민연금 수익률은 1분기 마이너스 6.08%에서 2분기 0.50%, 3분기 4.17%로 회복했다. 10월엔 하락했지만 다시 상승했다. 자산군별 수익률(금액가중수익률 기준)은 △국내주식 20.39% △해외주식 8.36% △국내채권 1.92% △해외채권 -0.34% △대체투자 0.65%를 기록했다.국내외 증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연초 큰 변동성을 보였으나 백신 개발 소식에 따른 경제 정상화 기대감과 미국 대선 불확실성 해소로 강세를 보였다. 원·달러 환율은 전년 말 대비 4.61% 하락했다.국내 코스피지수는 전년 연초 이후 11월 말까지 17.91% 올랐다. 글로벌 주식시장(MSCI ACWI ex-Korea·달러기준)은 같은 기간 11.86% 상승했다.국내 주식은 주요산업의 향후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와 코로나19 극복 가능성이 커지며 수익률이 상승했다. 해외주식 또한 코로나19 백신 개발과 미국 대선 종료에 따른 불확실성 해소로 수익률이 올랐다.국내외 채권은 향후 주요 국가의 확장적인 재정, 통화정책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으로 금리가 하락해 평가이익이 증가했다. 하지만 환율 하락으로 외화 환산이익은 감소해 채권 수익률의 상승폭을 제한했다.국고채 3년물은 지난해 연초

  • 작년 역대 최고 수익률에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5년 만에 최대 성과급

    작년 역대 최고 수익률에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5년 만에 최대 성과급

    지난 해 2000년대 들어 가장 높은 11.34%의 수익률을 기록한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가 5년 만에 가장 높은 성과급을 받게 됐다. 국민연금은 경영권 다툼이 이어지고 있는 한진칼에 대해선 주식의 보유 목적을 현재와 같은 '경영 참여'로 유지하기로 했다.국민연금기금운용위원회는 3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제7차 회의를 열고 '2019년도 국민연금 기금운용 성과평가' 및 '2019년도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성과급 지급률을 심의·의결했다. 이어 '국민연금 국내주식 수탁자 책임활동 가이드라인' 개정안을 보고 받았다.지난해 국민연금 기금운용 성과평가 결과 국민연금의 금융부문 운용 수익률은 11.34%로 확정됐다. 이는 1999년 기금운용본부가 설립된 이후 가장 높은 수익률이다. 이는 전년(-0.89%)에 비해 12.23%포인트 상승했고, 자산군별 평균 성과인 기준수익률(벤치마크·10.86%)보다도 0.48%포인트 높았다. 수익금은 73조4000억원에 달했다.이같은 성과를 반영해 지난해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성과급 지급률은 기본급의 73.7%로 확정됐다. 이는 201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매년 성과를 평가하되 3년 이상 장기 평가를 원칙으로 한다. 최근 3년 성과를 기준으로 각 연도 성과를 5:3:2 비율로 반영한다.아울러 기금운용위원회는 지난해 평가 결과를 토대로 국민연금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5가지 정책 제언도 확정했다. 올해 정책 제언의 주요 내용은 △사전적 위험관리 기반 확충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이후 시대의 기금 투자전략 수립에 미치는 영향 검토 등이다.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국민연금은 시장 점검(모니터링

  • [2019년 베스트 딜메이커-①PEF 부문]김수민 유니슨캐피탈 대표…투자, 회수 등 모든 분야에서 '눈부신 활약'

    [2019년 베스트 딜메이커-①PEF 부문]김수민 유니슨캐피탈 대표…투자, 회수 등 모든 분야에서 '눈부신 활약'

    ≪이 기사는 01월28일(05:0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김수민 유니슨캐피탈 대표(사진)가 한국경제신문의 자본시장 전문 매체 마켓인사이트가 선정한 국내 사모펀드(PEF) 부문 ‘2019년 베스트 딜메이커’로 선정됐다.김 대표는 지난해 밀크티 브랜드 공차를 성공적으로 매각한데 이어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등 글로벌 PEF를 따돌리고 치과용 스캐너 업체 메디트를 인수하는 등 회수(엑시트)와 투자 전 분야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올렸다. PEF 업계에 진출한 지 9년 만에 유니슨을 국내 대표 ‘스타 운용사’ 중 한 곳으로 키워냈다는 평가가 나온다.지난해 김 대표가 공차를 성공적으로 매각한 것은 국내 인수합병(M&A) 업계에 깊은 인상을 남겼다. 김 대표는 지난해 7월 공차를 미국계 PEF인 TA 어소시에이츠에 3500억원에 팔았다. 2014년 첫 투자를 단행한 지 5년 만에 투자 원금 대비 6배에 달하는 성과를 냈다. 국내 PEF가 해외 프랜차이즈 본사를 인수해 기업가치를 끌어올린 뒤 매각한 첫 사례이기도 했다.공차의 성공적인 매각은 결코 우연이 아니었다. 김 대표는 2014년 공차 한국 본사를 인수할 때부터 해외 사업 확대 및 대만 본사 인수까지 큰 그림을 그렸다. 그는 국내 시장에서 성장에 한계가 오더라도 해외 판로를 확장하면 충분히 성장성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공차 인수를 감행했고, 지난해 그 예상이 틀리지 않았음을 입증하는데 성공했다. 유니슨이 공차를 인수한 직후 밀크티 인기가 주춤해지며 위기를 맞기도 했지만 유니슨은 당초 계획한 대로 기업가치를 높이는 작업에 전념해 매출의 고속 성장을 이끌어 냈다.김 대표는 지난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