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 상반기 질주한 증권사 신용도…하반기 전망은 '글쎄'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7월14일(18:0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증권사들의 신용도 상향 추세가 주춤해질 전망이다. 호실적에 대한 기저효과와 시장금리 상승 가능성 등이 맞물려서다.한국기업평가는 14일 올 하반기 증권사들의 신용도를 예상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한국기업평가는 올 하반기 증권사 전반의 관찰 요인으로 호실적 유지 여부와 자본완충력 저하 수준을 꼽았다. 최근 증권사들의 실적 호조는 증시 거래 규모 급증에 따른 위탁매매 수지 개선과 금융자산 가치 상승에 따른 상품 운용수지 개선이 주도하고 있다.안나영 한국기업평가 수석연구원은 "해외투자가 정체되고 위험인수 축소로 투자은행(IB) 부문의 성장세가 둔화됐다"며 "사모펀드 불완전판매 이슈 등으로 자산관리 부문도 역성장했다"고 지적했다.이어 "위탁매매와 상품 운용 부문은 주가, 증시 거래 규모, 시장금리 등 금융변수에 민감해 실적 호황 지속 여부를 예측하기 어렵다"며 "올 하반기 이후 실적 전망은 다소 부정적"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에 이어 올 4분기 중 대규모 자산손상 인식 가능성, 소송 관련 충당금 부담 등 비경상 비용 부담 발생 가능성도 있다는 설명이다.비우호적인 환경을 극복하고 유상증자 등으로 확충된 자본을 활용하기 위해 위험투자는 확대될 것으로 점쳐졌다.안 연구원은 "종합 IB의 경우 일반 증권사에 비해 자본완충력이 충분하다고 보기 어려워 자본적정성 지표 개선 추세가 유지되는 지 여부를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초대형 IB는 2017년 초대형 IB 지정 이후 공격적인 투자 확대로 자본완충력이 저하됐다. 지난해 1분기엔 코로
-
정수기 필터업체 피코그램, 코스닥 상장 나선다
정수기 필터 제조업체인 피코그램이 코스닥시장 상장에 나선다.2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피코그램은 25일 한국거래소에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청구했다. 공모주식 수는 75만주다. 심사과정에서 특별한 결격 사유가 발생하지 않으면 올 하반기 증시에 입성할 전망이다. IBK투자증권이 상장 주관을 맡았다.피코그램은 2002년 설립된 필터업체로 정수기와 비데에 쓰이는 필터를 생산하고 있다. 인천 부평구에 본사를 두고 있다. 최석림 대표가 최대주주로 지분 69.9%를 보유하고 있다. IBK기업은행이 재무적 투자자로 상환전환우선주(RCPS) 4.76%를 들고 있다. 지난해 매출 242억원, 영업이익 29억원을 기록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김은정의 기업워치]코로나 장기화 속 증권사 신용도 가르는 3대 요소는
≪이 기사는 03월10일(15:3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 속에서도 신용도가 오르는 증권사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지난해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그 어느 때보다 산업 환경의 변동성이 심했다. 매출이 고꾸라지고 영업적자를 내는 기업이 수두룩했다.하지만 이 와중에서도 일부 중소형 증권사의 신용도는 고공행진했다.지난해 말에서 올 2월까지 총 5개 중소형 증권사의 신용도(한국신용평가 기준)가 올랐다. 장기 신용등급을 보면 교보증권(A+→AA-), DB금융투자(A→A+), 현대차증권(A+→AA-), IBK투자증권(A+, 안정적→A+, 긍정적)의 신용도가 올랐다. 단기 신용등급을 보면 BNK투자증권(A2+→A1)의 신용도가 상향 조정됐다.전문가들은 "중소형 증권사를 위주로 신용도가 상승하는 구조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국내 신용평가사인 한국신용평가는 "단순히 주식시장 호황 덕분이 아니다"라는 점을 강조했다. 증권사의 신용도를 가른 3대 요인은 따로 있다는 얘기다. 한국신용평가는 3대 요인으로 사업 기반, 수익성, 리스크(위험) 관리를 꼽았다. 사업 기반이 강화되는 가운데 수익성과 리스크 관리의 균형을 이룬 중소형 증권사가 신용도 상향의 '주인공'이 됐다는 설명이다.사업 기반은 중소형 증권사의 신용 위험을 판단하는 핵심 요소다. 증권사는 금융당국으로부터 높은 수준의 규제를 받고 있다. 이 때문에 재무위험은 어느정도 통제가 되고 있다. 결국 증권사의 신용위험을 서열화하는 기준은 사업위험이라고 볼 수 있다.재무위험이 동일하다면 사업기반이 강할수록 증권사의 신
-
희망 공모가 낮춘 씨이랩...기업가치 900억원대로 하락
≪이 기사는 01월26일(04:1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인공지능(AI) 솔루션 업체인 씨이랩이 희망 공모가를 낮췄다. 기업공개(IPO) 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자 금융당국에서 제동을 건 것으로 보인다. 씨이랩은 최근 증권신고서를 정정하고 희망 공모가를 2만3000~3만1000원으로 조정했다. 종전 2만6000~3만50000원에서 각각 11% 낮아졌다. IPO 일정도 밀려 수요예측은 다음달 8~9일, 일반청약일은 다음달 15~16일로 정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금융감독원의 심사를 받는 과정에서 지적을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IPO 시장의 열기가 뜨거워지면서 금감원의 심사가 다시 깐깐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씨이랩 측은 답변을 피했다. 상장 주관사인 IBK투자증권은 희망 공모가를 조정하기 위해 씨이랩 실적 전망치를 낮췄다. 희망 공모가 산정의 기준이 된 2023년 순이익이 종전 108억원에서 82억원으로 낮아졌다. 2023년에 426억원에 이를 거란 매출 전망도 378억원으로 눈높이가 낮아졌다. 기업가치는 종전 1312억원에서 993억원으로 하락했다. 씨이랩은 인공지능 영상 분석에 필요한 각종 솔루션을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KT, SK텔레콤, LG CNS, 네이버, 삼성SDS, LIG넥스원, 국방과학연구소, 공군 등이 고객사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크레비스·IBK證, 작년 200억 '사회적 투자'
▶마켓인사이트 2월 20일 오후 3시15분한국성장금융은 지난해 출자한 사회적 펀드 운용사 크레비스파트너스와 IBK투자증권이 총 13개 사회적 기업에 196억원을 투자했다고 13일 밝혔다.지난해 200억원 규모로 소셜임팩트 투자펀드를 조성한 크레비스파트너스는 △개인 간 대출(P2P) 업체 렌딧(30억원) △홈케어서비스 아리아케어코리아(10억원) △부당하도급 개선 일자리매칭 서비스 위시캣(10억원) 등 총 6개 기업에 115억원의 투자를 마무리지었다.크레비스파트너스는 2004년 설립된 후 15년간 사회적 기업에 꾸준히 투자해 온 임팩트 투자 및 육성 전문 기업이다. 이 회사가 투자한 아리아케어코리아는 요양보호사 처우를 개선하면서 선진국형 노인 돌봄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다. 위시캣은 정보기술(IT) 분야의 부당 하도급 관계를 개선하고 있다. IT 분야에서 일을 하고도 임금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일자리매칭 플랫폼을 제공한다.크레비스파트너스 관계자는 “기술력을 통해 사회적 부조리를 극복하는 데 기여한 기업들에 주로 투자했다”고 설명했다.110억원 규모로 사회적 기업 투자펀드를 조성한 IBK투자증권은 돌봄 서비스 업체 D사(15억원)를 비롯해 인공지능 기반 청년 일자리 매칭 플랫폼 S사(12억원), 폐식용유를 활용한 LED(발광다이오드) 조명 보급 기업 L사(8억원) 등 총 7개 기업에 81억원을 넣었다. 이 중 L사는 전력보급이 충분치 않은 인도네시아를 상대로 사업을 펼치고 있다. 동남아시아 지역이 우기로 인해 태양광 발전이 어려운 반면 기름을 많이 사용한다는 점에 착안해 기술을 개발했다.한국성장금융은 올해 550억원 규모 펀드를 추가 조성하는 등 사회적 기업 투자를 확
-
IBK證, 中企 일자리 창출 위한 네트워크 강화
IBK투자증권이 인천에 이어 부산지역 중소기업 대기업 대학과 다자 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역 중소기업의 판로를 지원하고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다.IBK투자증권은 지난 20일 부산 동명대에서 대기업 중소기업 대학 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투자기업 간담회 및 다자간 업무 협약식을 했다고 21일 발표했다. 협약식에는 동명대 부산여대 부경대 동의대 등 부산 지역 8개 대학과 부산항만물류고 등 1개 고교, 두산중공업 부산신세계조선호텔 대한제강 등 4개 대기업, IBK베스트챔피언 기업인 우정약품 등 38개 중소기업이 참여했다.이번 협약에 따라 학교는 맞춤형 직업교육을 통해 인재를 공급하고, 중소기업은 협약 참여 학교의 인재를 채용해 현장 체험 기회를 제공하기로 했다. 대기업은 공정한 일감 나누기와 판로 지원을 약속했다. IBK투자증권은 다음달부터 ‘백동(백년동행)포럼’을 운영하는 등 협약 참여 주체 간에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협력이 이뤄지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김영규 IBK투자증권 사장은 “중소기업 재무구조 개선과 중소기업 전용 특화 금융투자 상품 개발 등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할 것”이라며 “전국적으로 다자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중소기업의 성장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IBK투자증권은 상반기에 신입사원 50명을 뽑은 데 이어 하반기에도 신입사원을 선발할 계획이다.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
-
IBK투자證 “두올, 보그스티나와의 시너지효과 이어질 것”
자동차 부품업체 두올이 올해 5000억원 초반의 매출과 7% 전후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할 것이라는 전망을 IBK투자증권이 8일 내놨다.유가증권시장 상장사 두올은 원단과 시트커버, 에어백쿠션 등을 생산하는 자동차부품업체다. 2005~2010년 체코 터키 폴란드 루마니아 등에 조인트벤처(JV) 거점을 확보했고 2014~2016년 중국 인프라를 구축했다. 지난해 9월엔 자동차 소재와 원단을 생산하는 스웨덴 기업 보그스티나를 인수했다. 두올은 지난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한 1152억원의 매출과 103% 늘어난 59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이상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보그스티나 인수로 유럽 에어백 시장 신규 수주, 중국 유럽향 시트 커버의 볼보-폭스바겐향 매출 증가 등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고 했다.이 연구원은 또 “상환전환우선주 400만주(지분율 17.99%) 희석화를 고려해도 올해와 내년 예상 실적 대비 주가수익비율(PER·주가/주당순이익)이 각 7.1배, 5.5배”라며 “글로벌 자동차부품 비교군 평균인 13배, 11배를 하회해 가격 매력이 높다”고 했다.IBK투자증권은 두올의 올해 매출액을 5070억원, 영업이익을 350억원으로 전망했다.마지혜 기자 looky@hankyung.com
-
한발 앞선 유안타·키움·IBK, 중기특화증권사 ‘재지정’
≪이 기사는 04월18일(10:0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유안타증권 키움증권 IBK투자증권이 가장 먼저 중소기업 특화 증권사로 재지정됐다. 기존 중기 특화 증권사들 중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는 평가가 반영됐다.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서 금융위원회는 전날 유안타증권 키움증권 IBK투자증권을 우선 중기 특화 증권사로 재지정하기로 결정하고 해당 내용을 각사에 통보했다. 그동안 중소·벤처기업의 기업공개(IPO)를 비롯해 △유상증자 △채권 발행 △인수합병(M&A) 자문 △크라우드펀딩 중개 △중소·벤처기업 직접 투자 △중소기업 전용펀드 운용 등 중기 특화 증권사 전문 업무를 얼마나 수행했는지를 정량평가한 결과, 이들 증권사가 1~3위를 차지한 결과를 반영했다. 중기 특화 증권사 제도는 중소·벤처기업의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조달을 활성화해 이들의 성장을 돕자는 취지로 2016년 도입됐다. 이번에 재지정된 세 증권사와 유진투자증권 코리아에셋투자증권 KTB투자증권이 최초로 자격을 획득, 2년간 중소·벤처기업 지원을 쉽게 할 수 있는 여러 인센티브를 제공받았다. 한국성장금융과 KDB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이 조성하는 중소기업 M&A펀드 운용사를 선정할 때 우대받는 것을 비롯해 △신용보증기금이 지원하는 P-CBO(자산담보부증권) 발행 주관사 선정시 우대 △증권담보대출 한도 확대 및 금리 인하 등이 대표적인 혜택으로 꼽힌다.유안타증권 키움증권 IBK투자증권은 별도의 프리젠테이션을 진행지 않고 앞으로 2년 더 중기 특화 증권사 자격을 유지하게 됐다. 이번에 자격이 만료된 유진
-
신성호 IBK투자증권 사장 "벤처캐피털 부문에 역량 집중…중소기업 맞춤형 IB업무도 강화"
“국내 증권회사의 위기는 결국 리서치센터와 애널리스트들이 초래했습니다. 시장과 고객의 신뢰를 회복하려면 더 공부하고 실력을 키우는 수밖에 없습니다.”신성호 IBK투자증권 사장(사진)은 지난 9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증권사 직원이라면 주식뿐 아니라 거시경제 금리 환율 등에 종합적인 분석 능력을 갖추고 자신만의 투자철학을 제시할 수 있는 수준이 돼야 한다”며 “올해도 직원 교육을 강화해 신뢰받는 증권사로 우뚝 서겠다”고 말했다.국내 1세대 애널리스트로 꼽히는 신 사장은 직원들 사이에서 ‘선생님’으로 불린다. 2014년 8월 취임 이래 ‘공부하는 조직문화’를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IBK투자증권은 직원을 대상으로 금융 기초역량 강화, 재무제표 교육 등을 하고 있다. 인사 기획 등 경영지원부서 직원도 예외 없이 교육을 받았다. 증권업의 본질이 고객 수익을 높이는 것인 만큼 공부를 통해 실력을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최근 발표된 삼성전자 4분기 실적과 증권사 평균 예상치(컨센서스)가 1조원 가까이 차이 난 것에도 쓴소리를 했다. 그는 “어닝서프라이즈(깜짝실적)나 어닝쇼크(실적충격) 같은 단어를 쓰는 것은 비겁하다”며 “전망이 틀린 것에 대해 사과하고 부족한 부분을 밤을 새워서라도 메워야만 고객이 다시 돌아온다”고 했다.그의 직원교육 강화는 실적 개선으로 이어졌다. IBK투자증권은 작년 국내 증권사 가운데 실적 증가율이 가장 높았을 것으로 업계에선 보고 있다. 국내 대형 증권사들이 주가연계증권(ELS) 등 파생상품 운용에서 대규모 손실을 내며 부진한 실적을 거뒀지만 이 회사의 작년 상반기 당기순이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