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통 IB 출사표' 메리츠증권, ECM 인력 충원 '순항'
메리츠증권이 기업금융(IB) 부문 강화를 위해 주식발행시장(ECM) 조직을 본격 확대하고 있다. 그동안 IPO(기업공개) 시장에서 사실상 존재감이 없었던 만큼 인력 보강과 인프라 정비를 통해 체질 개선에 나서는 모습이다.2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메리츠증권은 최근 ECM 인력 충원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4월 이경수 전 KB증권 상무가 ECM 담당 상무로 합류한 이후 실무 조직 구성과 IPO 준비 작업이 함께 진행되고 있다.이 상무는 삼성증권과 KB증권에서 25년 넘게 IPO 업무를 맡아온 베테랑이다. KB증권 재직 시절에는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롯데렌탈, 원스토어, SK쉴더스 등 대형 딜을 주관했다. 최근까지는 브레인자산운용에서 대체투자부문 대표를 맡았다.이 상무 합류 이후 ECM1팀장으로 이재성 상무보가 선임됐다. 이 상무보는 삼성증권과 유안타증권 등에서 25년 이상 기업금융 분야에 몸담아온 인물이다. 삼성증권 재직 당시부터 함께 일했던 실무진 2명도 함께 메리츠로 자리를 옮겼다.메리츠증권은 현재도 추가 인력 충원에 나서고 있다. 중형 증권사 팀장급 인사를 포함해 수십여 명이 지원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연내 ECM 인력을 8~10명 수준으로 늘릴 계획이다. 팀 이름을 'ECM1팀'으로 구성한 만큼 향후 향후 복수팀으로 ECM 조직을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메리츠는 그간 IPO 시장에서 두드러진 실적이 없던 만큼 기반 마련에도 집중하고 있다. 일반청약, 수요예측 등의 기능을 갖춘 시스템을 연내 구축 및 정비할 예정이다. 중장기적으로는 AI시대에 맞는 전산 시스템을 구축하여 IPO 실무 효율성 개선 및 기업 고객 만족도를 높이겠다는 구상이다.메리츠증권은 올해 들어 본격적으로 정통 I
-
[단독] 메리츠증권, 'IB 파워맨' 정영채 영입…기업금융 대폭 보강
메리츠증권이 정영채 전 NH투자증권 사장을 상임고문으로 영입한다. 대기업 네트워크를 강화해 채권발행시장(DCM) 주식발행시장(ECM) 등 전통 기업금융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다. 그동안 구조화금융과 부동산금융에 치중했던 전략에서 벗어나겠다는 계획이다.1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메리츠증권은 정영채 전 사장을 IB사업 담당 상임고문으로 영입하기로 결정했다. 정 고문은 고심 끝에 메리츠증권 영입 제안을 받아들이고 내달 출근하기로 했다. 이번 영입 제안은 김종민 메리츠증권 사장이 주도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 고문은 대우증권 출신으로 국내 IB 업계의 파워맨으로 통하는 인물이다. NH투자증권에서 IB 부문을 10년 넘게 이끌었다. 2018년 대표이사 사장으로 승진해 6년 간 회사를 이끌었다. 폭넓은 대기업 네트워크와 빅딜 수임 능력을 바탕으로 NH투자증권의 IB 비즈니스 성장을 주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메리츠증권은 그동안 집중했던 부동산금융 위주의 비즈니스 모델에서 벗어나 수익 다각화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정 고문은 대기업 네트워크와 경험을 살려 메리츠증권의 전통 기업금융 확대에 직접적으로 힘을 보탤 예정이다. 메리츠증권은 정 고문을 앞세워 어려움에 처한 기업에 단기에 고금리로 자금을 지원하는 일회성 파트너가 아닌 중장기적인 파트너십을 맺는 증권사로 이미지를 쇄신하겠다는 계획이다.메리츠증권은 정 고문뿐 아니라 기업금융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인재 영입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정 고문과 손발을 맞췄던 송창하 기업금융본부장(전무)도 영입했다. 송 전무는 NH투자증권 신디케이션 본부의 뼈대를 세운 인물로 꼽힌다. 2
-
[2024년 리그테이블]한국투자증권, 2년 연속 ECM 왕좌
한국투자증권이 2024년 주식발행시장(ECM) 대표 주관 실적 1위를 차지했다.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1위다. 유상증자와 기업공개(IPO)가 모두 주춤한 가운데 여러 건의 딜을 마무리한 증권사가 상위권에 포진했다. 26일 한국경제신문 자본시장 전문매체인 마켓인사이트와 에프앤가이드가 집계 결과, 올해 IPO와 유상증자를 포함하는 ECM 대표 주관 실적은 전체 증권사 합산 전체 증권사 합산 7조6083억원이다. 스팩(SPAC)과 리츠, 인프라펀드를 제외하고 산정했다. ECM 주관 실적은 작년 10조3231억원 대비 26% 감소했다. 2021년 29조796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뒤 매년 감소 추세다. 주식시장 변동성이 확대된 가운데 한국투자증권이 올해 총 30건, 1조5829억원 규모 주식발행을 대표로 주관해 이 부문 1위에 올랐다. 주관 실적과 주관 건수 모두 1위를 달성했다. LG디스플레이 유상증자(공모액 1조2924억원)와 시프트업 IPO(4350억원), 더본코리아 IPO(1020억원) 등 대형 거래를 소화했다. ECM 2위는 KB증권이 차지했다. 올해 15건, 1조3217억원 규모의 주식 발행을 대표 주관했다. 대한전선(4625억원), LG디스플레이, 신라젠(1031억원) 등 유상증자뿐 아니라 HD현대마린솔루션 IPO(7422억원), 엠앤씨솔루션 IPO(1560억원) 등 대형 거래를 잇달아 맡았다. NH투자증권은 올해 20건, 1조993억원 규모의 대표 주관 실적을 쌓았다. 그 뒤로 미래에셋증권이 14건을 대표 주관해 8856억원의 주관실적을 쌓았다. 1000억원 이상 유상증자 중 대한전선, 펩트론 단 2건만 소화하며 전체 순위 경쟁에선 밀렸다. 대신증권(14건·8048억원)은 5위를 차지했다. LG디스플레이(1조2924억원)과 에코프로에이치엔(1749억원) 유상증자 등을 맡았다
-
교보증권 1년만에 IPO 주관 재개...ECM 경쟁력 강화 '잰걸음'
교보증권이 1년 만에 기업공개(IPO) 주관에 나섰다.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진입을 목표로 하는 가운데 IPO와 유상증자 등 주식발행시장(ECM) 경쟁력 강화에 고삐를 죄고 있다.2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엔더블유시는 전날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시장 상장 예비 심사를 신청했다. 교보증권이 주관사를 맡았다.이 회사는 1999년 설립된 광기기 및 통신장비 제조사다. 5G 광케이블과 커넥터 등이 주력 제품이다. 올해부터 해외 5G 및 6G 광케이블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시설 확충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상장에 착수했다. 지난 3월 기술성 평가를 통과해 기술특례 상장으로 증시 입성에 도전한다.교보증권은 그동안 스팩(SPAC, 기업인수목적회사) 위주로 IPO 업무를 해왔던 중소형 증권사다. 대형 증권사에 밀려 상대적으로 ECM 분야에서 이렇다 할 존재감이 없었지만 지난 2021년부터 ECM 강화에 공들이고 있다. 교보증권이 종합금융투자사업자를 목표로 하는 상황에서 ECM 역량 강화를 핵심 과제로 점찍었다.교보증권은 지난해 25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실시해 자기자본을 지난해 말 1조8773억원까지 늘렸다. 종투사 지정 요건인 3조원에 약 1조원 모자라다.교보증권은 2021년 당시 프로젝트금융 본부에 속했던 ECM 조직을 본부로 독립시키고 NH투자증권 커버리지 출신 오세민 본부장을 영입했다. 독립 당시 ECM 인력은 5명 수준이었으나 현재 ECM 본부는 2개 팀, 약 18명으로 확대됐다.조직 재정비 이후 지난해 4월 토마토시스템 상장을 주관하며 약 3년 만에 일반 IPO 주관 복귀전을 치렀다. 이어 약 1년 만에 엔더블유시 상장 주관에 착수한 것이다.올해 3월 제이투케이바이오 스팩 합병도 마무리한 데 이어 알에프시스템즈(
-
[2024년 1분기 리그테이블]NH투자증권, 대형 유상증자 거래로 ECM 1위
NH투자증권이 1분기 주식발행시장(ECM)에서 선두에 올랐다. IPO 시장이 중소형 공모주 위주로 형성되면서 LG디스플레이 등 대규모 유상증자 거래를 소화한 증권사가 상위권에 포진했다.28일 한국경제신문 자본시장 전문매체인 마켓인사이트 집계 결과 NH투자증권은 ECM 부문에서 모두 8건, 6030억원의 대표 주관실적을 쌓았다. 주관 실적과 주관 건수 모두 1위에 이름을 올렸다.NH투자증권은 1분기 최대 주식 발행 거래였던 LG디스플레이 유상증자(공모액 1조2925억원)를 비롯해 대한전선 유상증자(4625억원) 등을 다른 증권사들과 함께 대표 주관했다. 이 밖에 엔젤로보틱스, 케이엔알시스템, HB인베스트먼트 등 5건의 기업공개(IPO)를 단독으로 대표 주관하며 선두를 차지했다.KB증권은 3건, 5190억원의 주관실적으로 2위에 올랐다. NH투자증권과 마찬가지로 LG디스플레이와 대한전선 유상증자에 각각 참여했다.3위는 한국투자증권이 차지했다. LG디스플레이 유상증자와 삼현 IPO(600억원) 등 모두 2건, 4154억원어치 주식 발행을 대표 주관했다. 그 뒤로 미래에셋증권(4건·3284억원), 대신증권(2건·2695억원) 등이었다. 미래에셋증권은 대한전선 유상증자와 일진전기 유상증자(공모액 935억원)를, 대신증권은 대한전선 유상증자를 각각 소화했다.1분기 주식발행시장(ECM) 공모금액은 총 2조4340억원(28일 기준)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2조1592억원) 대비 약 13% 증가했다.IPO 대표주관 기준으로는 미래에셋증권이 총 2건, 961억원 규모의 공모를 대표 주관해 1위에 올랐다. 그 뒤를 근소한 차이로 NH투자증권(5건, 957억원)이 바짝 뒤쫓았다. 그 뒤를 이어 신한투자증권(1건·758억원), 한국투자증권(1건·600억원),
-
[제15회 한국 IB대상]NH투자증권, 한화오션 등 兆단위 유상증자 이끌어
NH투자증권이 주식발행시장(ECM) 분야 최우수 하우스로 선정됐다.NH투자증권은 지난해 ECM에서 22건의 대표 주관을 맡아 1조7628억원어치의 주식 발행을 소화했다.지난해 이뤄진 한화오션(공모금액 1조4971억원), SK이노베이션(1조1433억원), 롯데케미칼(1조2155억원) 등 1조원이 넘는 유상증자 3건에 빠짐없이 대표 주관사로 참여했다.한화오션 유상증자는 작년 ECM 분야에서 가장 규모가 컸던 주식발행 건이었다. 공모 과정에서도 일반청약 경쟁률 1326대 1을 기록하는 등 흥행에 성공하며 작년 ECM 분야에서 랜드마크 딜로 꼽혔다.이 밖에 루닛, CJ바이오사이언스, 메디포스트, 아미코젠 등 바이오 기업의 유상증자를 맡아 연구개발을 위한 자금 마련을 도왔다.유상증자 모집주선 영역에선 OCI홀딩스(4651억원), SD바이오센서(2278억원) 등의 자금 조달을 도와 지난해 가장 많은 실적을 쌓았다.기업공개(IPO) 시장에서도 좋은 성적을 냈다. 대형 IPO 기업의 철회 등으로 어수선한 상황 속에서도 DS단석, 동인기연 등의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주관하며 자본시장을 활성화하는 주관사의 역할에 충실했다는 평가를 받았다.주식관련사채(ELB) 시장에서도 존재감을 보였다. 이수앱지스의 500억원 규모 전환사채(CB) 발행 등을 도왔다.최석철 기자 dolsoi@hankyung.com
-
[2023년 리그테이블]한국투자증권, 3년만에 ECM 왕좌 탈환...IPO는 미래에셋 1위
한국투자증권이 2023년 주식발행시장(ECM) 대표 주관 실적 1위를 차지했다. 2020년 이후 3년 만이다. 기업공개(IPO) 시장에서 대형 거래가 주춤한 가운데 여러 건의 조단위 유상증자를 마무리한 증권사가 상위권에 포진했다.28일 한국경제신문 자본시장 전문매체인 마켓인사이트와 에프앤가이드가 집계 결과 올해 IPO와 유상증자를 포함하는 ECM 대표 주관 실적은 전체 증권사 합산 전체 증권사 합산 10조3231억원이다.작년 18조643억원 대비 42.9% 감소했다. 작년 국내 자본시장 사상 최대 단일 거래였던 LG에너지솔루션 IPO에 따른 기저효과가 컸다. ECM 대표 주관 실적은 2021년 29조796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뒤 매년 감소세다.주식 시장 변동성이 확대된 가운데 한국투자증권이 올해 총 27건, 2조1423억원 규모 주식발행을 대표로 주관해 이 부문 1위에 올랐다. 주관 실적과 주관 건수 모두 1위를 달성했다.SK이노베이션 유상증자(공모액 1조1433억원), 한화오션 유상증자(1조4971억원) 등 조단위 유상증자와 두산로보틱스 IPO(4212억원) 등 대형 거래를 소화했다.ECM 2위는 NH투자증권이 차지했다. 올해 21건, 1조7378억원 규모의 주식 발행을 대표 주관했다. 롯데케미칼(1조2155억원), SK이노베이션, 한화오션 등 조단위 유상증자뿐 아니라 루닛 유상증자(2002억원), 파두 IPO(1395억원) 등 중형 거래를 잇달아 맡았다.3분기까지 5위에 머물렀던 KB증권은 4분기에 뒷심을 발휘해 3위로 순위를 끌어올렸다. 올해 25건, 1조2913억원 규모의 대표 주관 실적을 쌓았다. 4분기에만 연간 주관실적의 절반이 넘는 13건, 7795억원어치 주식발행을 소화했다.그 뒤로 미래에셋증권이 19건을 대표 주관해 1조943억원의 주관실적을 쌓았다. 가장 많은 IPO 대표
-
"IPO 전문가 잘 나가네"…운용사·VC로 줄줄이 스카우트
증권사 IB출신들이 줄줄이 자산운용사와 벤처캐피탈(VC)로 스카우트되고 있다. 부동산PF 부실로 대체투자부문의 감원 바람이 불고 있지만, ECM(주식발행시장) 인력들은 다년간 기업 영업을 통해 쌓은 네트워크가 두텁고 기업의 자금조달 상황을 꿰뚫고 있어 수요가 많다는 평가다.1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KB증권 출신의 이경수 ECM3 부서장(상무)은 최근 브레인자산운용 대체투자부문 대표(전무)로 자리를 옮겼다. 이 전무는 삼성증권에서 기업공개(IPO) 업무를 시작했고 KB증권으로 자리를 옮겨 카카오뱅크 상장을 총괄했다. 이후 원스토어, SK쉴더스, 쓱닷컴 등의 주관 계약도 따내며 테크 플랫폼 기업에서 강점을 보였다.브레인자산운용은 이 전무의 영입으로 대기업을 비롯한 기관 전용 사모펀드 사업을 키운다는 계획이다. 기존 PE1본부와 PE2본부를 합쳐 대체투자부문을 설립하고 기관 전용 사모펀드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지난 달엔 SK그룹의 원료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자회사인 SK팜테코의 프리IPO(상장전 지분투자)에서 우선협상자로 선정돼 5억달러(약 6600억원) 규모의 전환우선주(CPS)를 투자하기로 했다. 이 전무는 브레인자산운용이 신설한 대체투자부문 대표로 기관 전용 사모펀드 업무를 비롯해 메자닌, 비상장주식 등의 업무를 담당할 것으로 알려졌다. KB인베스트먼트도 증권사 IB 출신 인력을 잇달아 심사역으로 영입했다. 지난 6월 미래에셋증권의 김형석 IPO 솔루션팀 이사를 스카우트했고, 올 초엔 바이오 전문가인 김원제 삼성증권 IB부문 부장을 본부장으로 영입했다. 김형석 이사는 미래에셋증권 IPO1팀을 총괄하며 크래프톤, SK아이이테크놀로지 등 빅딜을 담당했다.
-
SK증권, SK그룹 후광 벗어나 IPO '홀로서기' 시동
SK증권이 2018년 SK그룹에서 계열분리한 이후 처음으로 IPO 대표 주관업무를 맡는다. 그동안 SK그룹 계열사 IPO(기업공개)에 인수회사로 참여하며 실적을 쌓아온 데 이어 IPO 경쟁력을 확대하기 위한 첫걸음이다.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인공지능 기반 안면인식 기술 전문기업인 씨유박스는 지난 2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 예비 심사 승인을 받았다. 장외주식시장에서 시가총액이 1000억~2000억원인 중소형 기업이다. 신한투자증권과 SK증권이 공동 대표 주관을 맡았다.SK증권이 일반기업 상장 주관업무를 맡는 건 2018년 7월 SK㈜에서 J&W파트너스로 최대주주가 변경된 이후 처음이다. 계열분리 직전인 2018년 6월 유전자 분석기업 이원다이애그노믹스의 상장을 단독 주관한 게 마지막 실적이다.SK증권은 채권자본시장(DCM)에서는 SK증권은 강자로 분류되는 증권사다. 매년 한국경제신문 마켓인사이트가 집계한 리그테이블(일반회사채 대표 주관 기준)에서 2016년부터 7년 연속 5위권에 이름을 올렸다.다만 주식자본시장(ECM)에서는 이렇다 할 존재감이 없는 회사로 기업공개 분야에서도 이렇다 할 실적을 쌓지 못했다. SK증권은 2012년 이후 힘스(디스플레이 생산)와 이원다이애그노믹스(유전자 분석) 등 2곳의 IPO 주관업무만을 소화했다. 두 건 모두 2018년 7월 SK그룹에서 분리하기 이전에 이뤄진 거래다.SK증권은 SK그룹에서 분리된 이후인 2018년부터 외부 인사 영입 및 조직 개편 등을 통해 IPO 시장에서 존재감을 높이기 위해 힘써왔다. 다만 국내 IPO 시장은 대형 증권사는 물론 중형 증권사도 공을 들이는 격전지다. 한동안 별다른 IPO 실적을 보유하지 않은 하우스가 단번에 IPO 거래를 확보하기는 만만치 않았다.SK증권
-
쿼드러플크라운 달성한 김성현 KB證 대표 "블라인드펀드 결성…올해는 M&A 주력"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회사들이 많습니다. 증권사 IB(기업금융) 업무의 근본은 기업들에 최적의 자금조달 솔루션을 제공하는 겁니다. 어떻게 선제적으로 제안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힘닿는 데까지 도우려 합니다.”김성현 KB증권 사장(59·사진)은 19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기업들 숨통이 트이고 살아나야 기업을 바탕으로 사는 금융도 살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사장은 지난 2019년부터 4년 동안 KB증권 IB를 이끌고 있다. IB 부문을 총괄하는 각자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지난달 박정림 사장과 나란히 1년 연임에 성공했다. ◇ 연말 힘겨웠던 채권시장서 치고 나간 KB證김 사장은 지난해 말 어려웠던 채권시장 경색 국면을 “치고 나갔어야 할 시기”로 평가했다. 잇따른 금리 인상과 레고랜드 사태로 기관투자가들의 투자심리가 얼어붙으면서 미매각 사태가 반복됐다. 자금 조달을 맡는 증권사들도 수요예측에서 참패를 거두면 물량을 떠안아야 해 부담이 컸던 상황이었다. KB증권은 시장 경색 속에서 하이투자증권, SK, SK텔레콤 등의 공모채 발행을 연달아 완판시키며 국면 전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이투자증권, SK, SK텔레콤 모두 모집금액보다 세 배 이상 주문을 받으며 이례적으로 '언더 발행'을 성공시켰다.김 사장은 “레고랜드 사태 이후 경색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지만 우린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 가동과 함께 점차 나아질 것으로 판단했다”며 “최우량 등급부터 온기가 돌기 시작해 아래로 간다고 봤고 투자 여력이 있었기 때문에 ‘치고 나갈 때’라고 생각했다. 큰 두려움은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증
-
[2022년 리그테이블] KB증권, 사상 첫 ECM 1위
KB증권이 올해 주식발행시장(ECM)에서 사상 처음으로 1위를 차지했다. ECM 시장의 전통적 강호로 꼽히는 경쟁사들이 주춤한 사이 LG에너지솔루션 기업공개(IPO)를 비롯해 조단위 거래를 소화하며 격차를 크게 벌렸다.29일 한국경제신문 자본시장 전문매체인 마켓인사이트와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2022년 자본시장 성적표(리그테이블)를 보면 올해 ECM은 주식시장 침체에 영향을 받아 위축됐다. IPO와 유상증자를 포함하는 ECM 대표 주관 실적은 전체 증권사 합산 18조643억원으로, 작년의 29조796억원 대비 37.9% 감소했다. 국내 자본시장 사상 최대 단일 거래였던 LG에너지솔루션 IPO 대표 주관 실적을 제외하면 12조3268억원으로 작년 대비 절반 이상 줄었다.ECM 전통 강호들이 주춤한 사이 KB증권이 올해 총 30건, 6조1581억원 규모 주식 발행을 대표로 주관해 이 부문 1위에 올랐다. 주관 실적과 주관 건수 모두 1위를 달성했다. 2위와 주관실적 3조3458억원 차이를 벌리며 압도적 성과를 냈다.1월 LG에너지솔루션 IPO(공모금액 12조7500억원)를 맡으며 일찌감치 선두 자리를 예약했다. 이후 삼성바이오로직스 유상증자(3조2008억원), 두산중공업 유상증자(1조1478억원) 등 올해 대규모 거래에 빠짐없이 참여하며 실적을 쌓았다.3분기까지 3위에 머물렀던 NH투자증권은 막판 역전에 성공하며 2위를 차지했다. 이 증권사는 올해 24건, 2조8224억원 규모의 주식 발행을 대표 주관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유상증자와 에코프로비엠 유상증자(공모액 6246억원), 솔루스첨단소재 유상증자(2234억원) 등 대형 유상증자를 잇달아 맡았다.3위는 모간스탠리가 이름을 올렸다. 올해 LG에너지솔루션 IPO 1건만 대표 주관해 2조6588억원의 실적을 쌓았다. 해당 거
-
[2022년 상반기 리그테이블]KB증권, ECM 1위...주관실적·건수 모두 선두
KB증권이 올해 상반기 주식발행시장(ECM)에서 1위를 차지했다.1일 한국경제신문 자본시장 전문매체인 마켓인사이트 집계 결과 KB증권은 상반기에 ECM부문에서 17건을 맡아 5조3412억원 규모의 대표 주관 실적을 쌓았다. 주관 실적과 주관 건수 모두 1위에 이름을 올렸다.KB증권은 1분기에 LG에너지솔루션 IPO(12조7500억원) 대표주관을 소화한 데 이어 삼성바이오로직스 유상증자(3조2008억원)와 두산중공업 유상증자(1조1478억원) 등 조단위 대형 거래에 꾸준히 참여해 존재감을 보였다.이 밖에 대한전선 유상증자(4889억원), 엔지켐생명과학 유상증자(1685억원), 티웨이항공 유상증자(1210억원) 등 중소형 딜도 두루 소화했다.2위는 모간스탠리가 차지했다. 상반기에 LG에너지솔루션 IPO 1건만 대표주관해 2조6588억원의 주관실적을 올렸다. 이 외 별다른 거래를 맡지 않았지만 2위 자리를 지켰다.뒤를 이어 NH투자증권이 3위에 올랐다. 총 8건의 대표 주관을 맡아 2조1379억원의 주관실적을 쌓으며 모간스탠리를 바짝 추격했다. 1분기에는 5위에 머물렀지만 2분기에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에코프로비엠(6246억원), 하나투어(1046억원) 등 다수의 유상증자를 공동으로 대표 주관하며 실적고를 쌓았다.한국투자증권은 11건, 1조4404억원어치 주식 발행을 맡아 4위에 이름을 올렸다. 조단위 유상증자와 함께 에이치엘비생명과학의 신주인수권부사채(1000억원) 발행을 맡았다.1분기에 3위였던 미래에셋증권(8건·5543억원)은 5위로 순위가 밀렸다. 2분기에 보로노이 IPO(520억원) 외에 별다른 실적고를 쌓지 못했다. 그 뒤로 삼성증권(3건·2222억원)과 신한금융투자(4건·1631억원)이 중위권 경쟁을 벌이고 있다.IPO 대표주관 기준으로는 KB증
-
NH투자증권, ECM 본부 부서장 3명 '전원 교체'...IPO 명가 재건
NH투자증권이 ECM(주식자본시장) 본부 부서장 3명을 모두 젊은 피로 교체하는 세대교체를 실시했다. 내부 승진을 통해 신규 인재를 육성하고 기존 부서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영업활동 강화를 통해 ‘IPO 명가’를 재건하겠다는 의지다.NH투자증권은 22일 ECM본부 부서장 인사를 단행했다. ECM 1부 부서장에 김기환 부장, 2부에 곽형서 부장, 3부에 윤종윤 부장이 각각 신규 선임됐다. 세 부서장 모두 모두 40대 초·중반인 젊은 인재들로 내부 승진이다.기존 최정림 ECM2부장과 안호정 ECM 3부장은 슈퍼RM(기업금융전담역)으로 자리를 옮겼다. NH투자증권 관계자는 “이번 인사는 ECM 비즈니스의 10년을 준비하기 위한 시작점”이라며 “실력있고 영업력을 갖춘 RM들에게는 부서장으로서의 리더쉽을 발휘할 새로운 기회를 주고, 기존 부서장들은 슈퍼RM으로서 기존의 영업력을 기반으로 영업활동에 매진함과 동시에 후진을 양성하는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이번 부서장 교체로 지난달 서윤복 전 ECM1부장이 신한금융투자로 이직하면서 공석이 생겼던 NH투자증권의 ECM본부는 재정비를 마쳤다.최근 NH투자증권의 IPO 성적표가 부진하자 분위기 쇄신을 위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올해 NH투자증권의 IPO 실적은 올해 상반기 3건에 불과하다.5월 초 SK쉴더스, 원스토어 등의 대어급 상장이 잇따라 무산된 데다 LG에너지솔루션과 LG CNS, 카카오모빌리티 등 공을 들였던 주관사 경쟁에서 밀리는 등 다소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특히 LG에너지솔루션과 LG CNS의 경우 정영채 NH투자증권 대표가 직접 경영진을 설득해 RFP(입찰제안요청서)를 뒤늦게 수령하면서 의지를 보였지만 끝내 주관사단에 이름을 올
-
얼어붙은 美 IPO 시장…투자은행, 주식발행 수입 75% 뚝
미국 기업들의 신규 상장이 눈에 띄게 줄었다. 미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 인상에 나선 데다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다.파이낸셜타임스(FT)는 딜로직 데이터를 인용해 올해 미 투자은행의 주식발행시장(ECM) 수입이 지난해보다 75% 급감한 27억달러(약 3조2775억원)에 그쳤다고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모건스탠리 JP모간 뱅크오브아메리카 골드만삭스 씨티 등 대형 투자은행은 올해 ECM 수입이 6억4500만달러에 그쳤다. 지난해 같은 기간엔 53억달러였다.지난달 17일부터 이달 14일까지 미국에서 전통적 상장 형태의 기업공개(IPO)에 나선 기업은 한 곳도 없었다. 휴가철을 제외하면 2017년 이후 가장 긴 IPO 공백이라고 FT는 전했다. 기업들의 자사주 매각이나 전환사채(CB) 발행도 크게 줄어 투자은행 실적이 악화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미 투자은행들은 지난해 이후 상장 시장이 얼어붙을 것이라고 예고해왔다. 작년 1분기 스팩(기업인수목적회사) 투자 붐이 일면서 상장 기업이 반짝 증가했지만 이후엔 상장 움직임이 둔화했다.미국 투자은행의 ECM 실적이 나빠지면서 중국 은행들이 관련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올 들어 ECM 실적 상위 10개 기관 중 중국은행은 여섯 곳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한 곳이었다.이지현 기자
-
DS투자증권, 투자금융본부장에 김현호 이베스트證 본부장 영입
DS투자증권이 투자금융본부 본부장(전무)으로 김현호 전 이베스트투자증권 투자금융본부장(상무·사진)을 영입했다.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김 본부장은 이달 3일부터 여의도 DS투자증권으로 출근해 기업 자금조달을 지원을 담당하는 투자금융 부문을 이끌고 있다. 김 본부장은 주식 발행시장(ECM)과 회사채 발행시장(DCM), 부동산금융까지 국내 기업금융(IB) 전 분야에서 뛰어난 전문성을 갖춘 베테랑 IB 맨으로 통한다. LG증권(현 NH투자증권)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해 삼성증권 IB 부문(이사)에서 10년 가까이 ECM과 DCM 분야를 책임졌다. 2019년엔 이베스트트투자증권으로 옮긴 뒤 중견·중소기업 자금조달과 부동산금융을 맡아 IB 사업의 외형과 이익 성장을 이끌었다.DS투자증권은 투자금융본부를 통해 고성장 잠재력을 갖춘 비상장 중견·중소 기업 발굴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pre-IPO(사전 기업공개) 등 자금조달 지원뿐만 아니라 직접 투자에도 적극 나설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DS투자증권의 최대주주는 DS프라이빗에쿼티(PE)로 작년에 경영권을 인수했다. 2008년 대우증권 최고경영자(CEO) 출신 손복조 회장이 세운 토러스투자증권으로 출발, 2019년 부동산개발회사인 DS네트웍스에 경영권이 넘어갔다가 2년 만에 다시 새 주인을 맞았다. 이태호 기자 th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