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뜨거워진 증시에 CB·BW 권리 행사도 증가

    주가가 가파르게 오르자 주식 관련 채권에 투자한 사람들이 잇달아 투자 회수에 나서고 있다. 채권을 주식으로 바꾸거나 채권에 붙은 신주인수권을 행사해 시세보다 싸게 주식을 사들인 뒤 처분하고 있다.9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교환사채(EB) 등 주식 관련 채권에 붙은 권리가 행사된 건수는 총 358건으로 지난 6월(291건)보다 23% 증가했다. 가장 비중이 큰 주식 관련 사채는 CB(240건)로 전월 대비 23% 늘었다. BW(93건)와 EB(25건)도 이 기간 15%, 525%씩 증가했다. CB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정해진 가격에 발행회사의 신주, EB는 발행회사가 지정한 회사의 구주로 바꿀 수 있는 채권이다. BW는 특정 시점부터 발행회사의 신주를 받을 수 있는 권리가 붙은 채권이다. 지난 3월 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폭락했던 증시가 빠른 속도로 반등하자 투자자들이 본격적으로 수익 실현에 나서기 시작했다는 평가다. 지난 3월 19일 1457.64로 추락했던 코스피지수는 최근 연고점을 달성하며 지난 7일 2351.67까지 올랐다. 지난달 투자자가 CB에 대한 전환청구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한 대표 기업인 금호에이치티(38건)와 현대로템(11건)은 현재 주가가 3월 평균치 대비 41%, 97%씩 뛰었다.이들 기업은 투자자가 연이어 주식 관련 채권에 붙은 권리를 행사한 덕분에 부채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됐다. 채권이 주식으로 바뀌면서 차입금은 줄고 자본은 늘어난다. 다만 CB나 BW의 경우 권리 행사가 신주 발행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주식 가치 희석으로 주가가 조정받을 가능성이 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선제적 자본확충 나선 세아베스틸, 영구 EB 1000억 발행

    선제적 자본확충 나선 세아베스틸, 영구 EB 1000억 발행

    특수강 제조업체인 세아베스틸이 영업환경 악화에 대비해 선제적인 자본 확충에 나선다. 자회사인 세아창원특수강 주식을 교환대상으로 한 영구 교환사채(EB)를 발행해 1000억원을 조달하기로 했다. EB는 일정기간이 지난 후 투자자가 발행회사가 정한 회사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채권이다.세아베스틸은 오는 16일 30년 만기 영구 EB 1000억원어치를 발행하기로 결정했다고 12일 공시했다. 해당 EB 금리는 연 3.5%로 결정됐다. 세아베스틸이 5년 후부터 EB를 조기상환할 수 있는 권리(콜옵션)도 붙어있다. 신영증권이 발행 주관을 맡는다.이번 EB의 교환대상은 비상장 자회사인 세아창원특수강 주식 444만4444주다. 세아베스틸은 현재 세아창원특수강 주식 3145만5621주(지분율 87.22%)를 들고 있다. 투자자들은 내년 3월부터 주당 2만2500원에 EB를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 다만 세아베스틸이 세아창원특수강 지분율을 유지하려는 의지가 강하기 때문에 콜옵션 행사시기에 맞춰 투자자들이 원리금을 돌려받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세아베스틸은 영구 EB를 발행해 조달한 자금으로 2015년 세아창원특수강을 인수할 때 금융권에서 빌린 차입금(인수금융)을 상환할 계획이다. 인수금융 금리가 연 4%대였음을 고려하면 5년 전보다 자금 조달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됐다. 영구 EB가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되는 영구 EB를 통해 리파이낸싱(자금 재조달)을 함으로써 재무구조 개선효과도 얻게 될 전망이다.IB업계에선 이 회사가 경영환경 악화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자본을 쌓으려는 것으로 보고 있다. 세아베스틸은 5년 전 현대제철의 특수강시장 진입과 전방인 자동차업황 악화 등으로 고전하고 있다. 이 회사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 [마켓인사이트] 라임 사태에도…"코스닥CB, 돈 된다" 흥행

    [마켓인사이트] 라임 사태에도…"코스닥CB, 돈 된다" 흥행

    ▶마켓인사이트 2월 10일 오전 5시코스닥시장 기업의 전환사채(CB) 등 주식 관련 사채에 투자하려는 수요가 ‘라임자산운용 환매 중단 사태’에도 불구하고 꺾이지 않고 있다. 지난달 코스닥 기업 등 비우량기업 주식 관련 사채 발행금액은 약 3700억원으로 작년 1월보다 30% 가까이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지난 수년간 고수익을 경험한 개인 자산가와 제2금융권 회사를 중심으로 재투자 수요가 계속해서 흘러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올 1월 3700억원 발행10일 금융투자협회 집계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주식 관련 사채 발행 규모는 지난달 총 38건, 3696억원에 달했다. 하루 1~2건씩, 건당 평균 100억원 규모로 발행됐다. 지난해 10월부터 본격화한 라임 펀드 환매 중단 충격에도 불구하고 작년 1월(31건, 2903억원) 대비 27% 증가했고 작년 전체 월평균(36건, 3737억원)과 비슷한 수준이다.일부 기업은 풍부해진 투자 수요를 발굴해 발행 조건을 전보다 유리하게 변경했다. 광학부품업체 코렌은 지난달 3일 제12회 사모 CB를 만기수익률 0%에 발행했다. 2018년 11월 같은 5년 만기 조건의 CB를 연 4% 수익률로 발행한 것과 비교해 금융 비용을 줄였다.동물용의약품 제조업체인 우진비앤지도 작년 10월 발행 당시 6%였던 4년 만기 CB 금리를 올해는 연 2% 금리로 낮췄다.주식 관련 사채 발행 기업은 대부분 코스닥시장 상장사다. 발행 유형은 90% 이상이 CB다. CB는 대부분 투자자에게 매도선택권(풋옵션)을 부여해 실질 만기 1~2년으로 발행되고 있다. 전환가액은 최근 시가를 적용한다. 나머지 주식 관련 사채 유형은 신주인수권부사채(BW)와 교환사채(EB)다. 금융투자협회 관계자는 “라임 사태에도 불구하고 중소·중견기업의

  • 한컴시큐어, 50억원 교환사채 조기상환

    한컴시큐어가 1년6개월 전 발행했던 교환사채(EB) 전액을 조기상환했다.한컴시큐어는 1일 5년 만기 EB 50억원어치를 조기상환했다고 공시했다. 이 회사는 2017년 8월 연 0% 금리로 해당 EB를 발행했다. EB는 일정기간이 지나면 발행회사가 보유한 특정주식과 바꿀 수 있는 채권이다. 이 EB의 교환대상은 한글과컴퓨터 주식으로 투자자가 작년 9월부터 한 주당 2만1000원에 교환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한컴시큐어는 한글과컴퓨터 지분 13.63%를 들고 있다.증권업계에선 교환대상인 한글과컴퓨터 주가가 EB 발행 이후 줄곧 교환가격을 밑돌자 투자자가 원금 회수에 나선 것으로 보고 있다. 한컴시큐어의 EB 발행 당시 1만6000원이었던 한글과컴퓨터 주가는 작년 1분기 한 때 2만원대까지 상승했으나 이후 계속 내리막을 타며 지난달 30일 1만3500원까지 주저앉았다.한컴시큐어 측은 “투자자의 조기상환 청구권(풋옵션) 행사로 이른 시기에 EB를 갚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다시 자금조달 나선 롯데하이마트, 2년6개월만에 회사채 발행

    국내 1위 종합가전 유통업체인 롯데하이마트가 2년6개월만에 회사채 발행에 나선다. 한동안 차입보다는 사업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맞춰오다 최근 들어서 다시 금융시장에서 자금조달을 재개하고 있다. 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롯데하이마트는 다음달 5일 3년 만기 회사채 1200억원어치를 발행할 계획이다. 이달 말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한 수요예측(사전 청약) 결과가 좋으면 발행금액을 1800억원까지 늘릴 예정이다. 이번에 조달한 자금은 오는 10월말 만기가 도래하는 차입금 1800억원을 갚는데 사용한단. 한국투자증권과 KB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고 있다.이 회사는 2016년 1월 1800억원어치 발행 이후 채권시장에서 자취를 감췄다. 지난 2년여간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조달 자체가 미미했을 만큼 차입금 확대를 자제해왔다. 대신 보유 현금을 통해 영업망을 늘리는데 집중했다. 롯데마트에 입점하는 등 기존 롯데그룹 유통매장을 활용해 2012년 말 322개였던 매장 수를 올 1분기 말 462개로 늘렸다. 최근엔 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O2O)에도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자금조달에 다시 ‘시동’을 걸기 시작한 것은 지난 1분기부터다. 롯데하이마트는 지난 3월 일본 미즈호은행으로부터 3년 만기로 1300억원을 대출했다. 비슷한 시기 1500억원어치 회사채를 상환했기 때문에 차입 규모가 늘진 않았다. IB업계에선 이 회사가 차입금이 7000억원을 넘지 않은 선에서는 금융시장에서 꾸준히 자금을 조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1분기 말 기준 롯데하이마트의 총 차입금은 6396억원으로 2016년 이후 6000억원대를 유지하고 있다.최근 꾸준한 성장세를 고려하면 채권 투자수요를 확보하는 데는 어려움이 없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