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인사이트]이노션-롯데컬처웍스 연합, 지분 교환+블록딜로 거래 마무리
≪이 기사는 05월15일(15:5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현대자동차그룹 계열의 광고대행사 이노션과 롯데그룹 계열인 롯데컬처웍스의 ‘동맹’ 구조는 지분 교환과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로 이뤄졌다. 정성이 이노션 고문이 보유하고 있는 지분을 롯데컬처웍스에 넘기는 대가로 롯데컬처웍스의 신주를 교부하고, 정 고문의 지분 일부는 롯데컬처웍스가 현금을 지급하고 매입했다.15일 이노션과 롯데컬처웍스에 따르면 정 고문은 이노션 지분 186만주(지분율 9.3%)를 지난 10일 롯데컬처웍스에 현물출자했다. 이어 지난 14일에는 정 고문이 추가로 20만주(지분율 1.0%)를 롯데컬처웍스에 블록세일 형태로 매각했다. 정 고문의 현물출자 및 블록세일의 전제가 된 이노션 가치는 한 주당 6만7848원으로 동일하다. 정 고문은 현물출자 및 블록딜의 대가로 롯데컬처웍스 신주 768만7456주(지분율 13.6%)를 받아 롯데컬처웍스의 2대 주주가 됐다. 또 추가로 약 136억원의 현금을 롯데컬처웍스로부터 받게 됐다. 롯데컬처웍스는 정 고문의 현물출자 및 블록딜을 통해 이노션 지분 10.3%를 보유한 주요 주주가 됐다. 이번 거래가 끝나면서 정 고문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 등 오너 일가의 합산 지분율은 20% 미만으로 떨어졌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일감 몰아주기의 기준이 되는 오너 일가의 상장사 지분율을 현재 30%에서 20%로 내린다고 해도, 문제가 되지 않는 수준이다. 정 고문의 이노션 단독 지분율은 과거 28.0%에서 17.7%로 하락하며 스웨덴계 투자회사(NHPEA IV 하이라이트 홀딩스 IV·지분율 18%)보다 낮아졌다. 하지만 정 수석부회장의 이노션 지분(2%)과 현
-
[마켓인사이트]이노션-롯데컬처웍스 지분 맞교환, 대기업 합종연횡 새로운 장 열었다
현대자동차그룹 계열 광고대행사인 이노션의 정성이 고문 측과 롯데그룹의 영화산업 계열사인 롯데컬처웍스의 지분 맞교환이 13일 마무리된다. 이번 거래 대상에는 정 고문의 이노션 지분뿐 아니라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이나 현대차 정몽구재단 등 특수관계자 지분까지 포함됐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앞으로 두 그룹의 추가 협업이 일어날지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12일 이노션과 롯데컬처웍스에 따르면 오는 13일자로 정 고문 측은 이노션 지분 10.3%를 롯데컬처웍스에 넘기는 대가로 신주를 받아 2대 주주(지분율 13.6%)가 된다. 동시에 롯데컬처웍스는 정 고문 측으로부터 이노션 지분을 받아 전략적 투자자(SI)로 이노션의 4대 주주 지위를 확보하게 된다. 두 회사는 이같은 지분 맞교환 계획을 지난 10일 공식 발표했다. 증권업계에서는 롯데컬처웍스로 넘어가는 이노션 주식의 소유자가 누구인지 여부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현재까지 공식 발표난 거래 대상은 정 고문이 보유한 이노션 지분 9.3%(186만주) 뿐이다. 정 고문의 지분과 함께 롯데컬처웍스로 넘어갈 이노션 지분 1.0%(약 20만주)의 소유주가 누구인지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증권가에서는 이노션 지분 2.0%를 보유하고 있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이나 9.0%를 갖고 있는 현대차 정몽구재단이 이번 거래에 참여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동안 증권가에서는 정 수석부회장이 이노션 지분을 처분해 향후 그룹 승계자금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꾸준히 제기해 왔다. 이에 대해 이노션 측은 “이번 거래 구조에 대해 조만간 공시하겠다”고 말했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거래를 절묘한 ‘한 수’라고 평가하고
-
현대캐피탈아메리카, 현대차그룹 신용강등 후 첫 해외채권 발행 성공
현대자동차그룹의 미국 캐피탈사인 현대캐피탈아메리카가 ‘흥행’ 속에 글로벌 투자자들을 상대로 10억달러어치 채권을 발행한다. 현대차·기아차·현대모비스 등 현대차그룹의 신용악화에도 불구하고 해외 채권시장의 양호한 수급상태에 힘입어 넉넉한 수요를 확보했다는 분석이다.2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현대캐피탈아메리카가 이날 미국에서 10억달러(약 1조1200억원)어치 채권을 발행하기 위해 글로벌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벌인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약 26억달러(약 2조9000억원)의 매수주문이 들어왔다. 소시에테제네랄, 씨티글로벌마켓증권, HSBC 등이 발행 주관을 맡았다.이 회사는 풍부한 수요가 모인 덕분에 당초 예상보다 채권금리를 낮추는데도 성공했다. 6억5000만달러어치로 발행 예정인 3년물은 희망금리 대비 0.05%포인트 낮은 연 3.98%, 3억5000만달러 규모로 발행할 5년물은 희망금리보다 0.02%포인트 낮은 연 4.31% 수준으로 결정됐다. 이번 채권 발행은 지난해 4분기 현대차그룹이 주요 계열사 신용등급 강등 이후 첫 해외 자금조달이다.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지난해 10월 자동차 판매부진에 따른 실적악화를 근거로 현대차·기아차·현대모비스의 신용등급을 ‘A-’에서 ‘BBB+’로 한 단계 떨어뜨렸다. 모회사 현대차와 밀접한 영업관계를 맺고 있는 현대카드(BBB)와 현대캐피탈(BBB+), 현대캐피탈아메리카(BBB+) 등급도 한 단계씩 강등됐다. 무디스도 11월초 이들 기업의 신용등급에 모두 ‘부정적’ 전망을 달았다.현대차그룹 주요 계열사들의 실적부진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는 상황 속에서도 기대 이상의 투자수요를
-
현대케피코 회사채 청약경쟁률 3대1…실적 우려 ‘극복’
≪이 기사는 04월19일(17:2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현대자동차그룹 부품 계열사인 현대케피코가 실적 악화 우려를 극복하고 회사채 투자수요 확보에 성공했다. 자동차 부품사 중 상대적으로 선방하고 있다는 평판과 ‘A+’등급 회사채 수요가 풍부한 시장상황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1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현대케피코가 3년 만기 회사채 600억원어치를 발행하기 위해 이날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벌인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1750억원의 매수주문이 들어왔다. KB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았다.최근 실적악화로 수요를 모으기 쉽지 않을 것이란 우려를 뚫고 넉넉한 수요를 모았다는 분석이다. 현대케피코의 지난해 매출은 1조7860억원으로 전년 대비 11.2%, 영업이익은 739억원으로 61.1% 감소했다. 핵심고객인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의 판매 부진이 이 회사의 엔진 및 변속기용 부품 판매량 감소로 이어진 탓이다. 현대케피코는 채권시장 투자심리가 가라앉자 지난해 말엔 처음으로 ‘일정기간 후 조기상환권(콜옵션)을 행사하지 않으면 금리가 상승한다’는 조건이 달린 채권 600억원어치를 사모로 발행하기도 했다. 적자를 내는 자동차 부품사들이 속출하는 가운데서도 상대적으로 수익성 하락 폭이 작았던 것이 기관들의 투자를 이끌어낸 비결로 꼽힌다. 현대차가 지분 100%를 들고 있다는 점에서 회사가 위기에 빠졌을 때 지원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기에 A+등급 회사채가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것까지 호재가 됐다는 평가다. 올 1분기 ‘A+’등급 회사채 수요예측 경쟁률(참여
-
[마켓인사이트] '엘리엇, 현대차그룹 1兆 보유' 外人은 알았나
▶마켓인사이트 4월5일 오후 4시15분미국의 헤지펀드 엘리엇매니지먼트가 4일 현대자동차그룹에 10억달러(약 1조500억원)어치의 주식 보유 사실을 공개하기 전날인 3일 외국인투자자들이 현대모비스와 기아차 주식을 대거 사들였다. 이 중 현대글로비스에 비해 합병 조건이 상대적으로 불리하다고 평가받은 현대모비스를 집중 매수했다. 국내 기관투자가와는 정반대 움직임이었다. 일부 외국인투자자가 엘리엇의 행보를 미리 안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대목이다.◆외국인, 모비스·기아차 매집지난 3일 현대모비스 주가는 전일 대비 1만1000원(4.5%) 상승한 25만5500원으로 마감했다. 지난달 28일 장 마감 후 현대차그룹이 지배구조 개편안을 발표한 뒤 가장 큰 폭의 상승세다.이날 현대모비스의 상승세를 견인한 것은 외국인이었다. 외국인은 현대모비스 주식을 362억원(14만3383주)어치 순매수했다. 지난해 5월8일 857억원(35만7538주) 후 최대 규모다. 국내 기관투자가가 순매도에 나선 것과는 대조적인 행보였다.기아차에도 같은 날 외국인의 매수세가 집중됐다. 3일 외국인은 기아차 주식을 76억원(24만1246주)어치 순매수했다. 지난달 5일(114억원·34만4397주) 후 최대 순매수 규모다. 반면 외국인은 현대글로비스를 2만9000주 순매도했다.시장에선 엘리엇에 동조해 움직이는 외국인투자자가 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현대차가 내놓은 지배구조 개편의 최대 수혜주는 현대글로비스란 시장 평가가 많은 상황에서 외국인의 매수세가 오히려 모비스와 기아차로 유입됐기 때문이다.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엘리엇이 현대차그룹 주식 매집에 투입한 1조원 중 절반가량이 현대모비스에 들어간 것으로 안
-
무디스 “현대모비스 지분매각, 현대제철 신용도에 긍정적”
≪이 기사는 03월30일(09:2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30일 “현대제철이 보유한 현대모비스 지분 5.7%를 매각하는 것은 현대제철 신용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발표했다. 현대제철의 신용등급은 ‘Baa2’(안정적)로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아홉 번째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지난 28일 ‘현대모비스→현대차→기아차→현대모비스’로 이어지는 순환출자 해소를 위해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과 그의 아들인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이 기아차(16.9%) 현대제철(5.7%) 등 현대차그룹 계열사들이 가진 현대모비스 지분을 모두 사들이기로 했다. 무디스는 이 과정에서 현대제철이 현대모비스 지분을 매각해 약 8000억원(세후 기준)을 확보해 차입 부담을 줄이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매각대금은 전날 현대모비스 주가(25만4000원)와 오는 7월 현대글로비스와 합치기로 한 현대모비스의 모듈·AS부품사업 분할비율(8대2)을 바탕으로 추산했다. 숀 황 무디스 연구원은 “현대모비스 분할이 완료되고 2개월 이내에 현대제철이 현대모비스 지분을 매각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매각대금이 대부분 차입금 축소에 활용된다면 올해 현대제철의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대비 차입금 비율은 3.5~3.6배로 지난해(4.0배)보다 하락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현대종합특수강, 올해 공모채 중 첫 수요확보 실패
≪이 기사는 02월28일(11:5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현대종합특수강이 올해 공모 회사채 발행에 나선 기업 중 처음으로 수요 확보에 실패했다. 적잖은 기관투자가들이 신용도 대비 금리가 낮다고 판단해 투자의사를 접은 것으로 전해진다.2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현대종합특수강이 3년 만기 회사채 500억원어치를 발행하기 위해 지난 26일 기관들을 상대로 벌인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300억원의 매수주문만 들어왔다. 예상보다 적은 수요로 인해 발행금리를 높이는 것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당초 희망했던 수준보다 0.2%포인트 높은 연 3.458%의 금리로 채권을 찍기로 잠정 결정됐다. 이 회사가 기관들이 원하는 금리를 제시하지 못한 것이 투자수요가 기대에 못 미친 결정적인 이유로 꼽힌다. 현대종합특수강은 2015년 현대제철에 인수되면서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들과의 시너지효과로 성장할 것이란 기대를 받아왔다. 채권시장에서도 신용등급이 오를 것이란 기대감도 커지면서 유통시장에서 거래기준이 되는 시가평가 금리가 크게 떨어졌다. 27일 민간 채권평가사들이 시가평가한 현대종합특수강의 3년물 금리는 연 3.259%로 같은 만기의 ‘A’등급 회사채 평균금리(연 3.448%)보다도 0.189%포인트 낮다.회사채 시장에선 지난 3년간 현대종합특수강이 별다른 성장세를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에 채권에 붙는 금리가 더 높아야 한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현대종합특수강의 지난해 1~3분기 매출은 325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8% 증가했지만 연간 실적은 현대차그룹 편입 직전인 2014년(4185억원)과 크게 다르지 않을 전망이다. 영업이익은 111억원으로 전년 동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