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서학개미 투자 '주춤'…1분기 결제액 14%↓

    올 1분기 국내 증시가 주춤하는 사이 외화증권 투자잔액이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미국 증시가 조정을 거치고 있음에도 ‘서학개미’가 꾸준히 늘어나면서다.2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의 1분기 외화증권 투자잔액은 1016억8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1005억9000만달러) 대비 1.08% 증가했다.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다.외화주식 투자잔액은 793억2000만달러로 작년 말 대비 1.81% 늘었다. 외화채권 투자잔액은 223억6000만달러로 같은 기간 1.41%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미국(69.22%)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외화주식 투자잔액 상위 종목도 모두 미국 주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테슬라(168억6000만달러)가 1위를 차지했다. 애플(54억8300만달러)과 엔비디아(33억5600만달러), 알파벳A(25억2200만달러), 마이크로소프트(24억9300만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올 1분기 결제 금액은 1106억9000만달러로 지난해 4분기 대비 14.45% 감소했다. 해외 주식 투자 열풍이 다소 주춤해진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서학개미는 올 들어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를 대거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외화주식 결제금액 상위 종목은 테슬라, 프로울트라프로 QQQ ETF, 디렉션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X 셰어즈 ETF, 엔비디아 순으로 나타났다.심성미 기자

  • '125조 역대급'…美로 눈 돌린 서학개미 '이 종목' 쓸어담았다

    STOCK

    '125조 역대급'…美로 눈 돌린 서학개미 '이 종목' 쓸어담았다

    국내 증시가 주춤하는 사이 한국예탁결제원의 1분기 외화증권 투자잔액이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올들어 미국 증시가 조정을 거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학개미'가 꾸준히 늘어나면서다. 다만 1분기 결제 금액은 전분기 대비 약 14% 감소했다. 해외 주식 투자 열풍이 다소 주춤해진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2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의 1분기 외화증권 투자잔액은 1016억8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1005억9000만달러) 대비 1.08% 증가했다.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다. 외화주식 투자잔액은 793억2000만달러로 지난해 말 대비 1.81% 늘었다. 외화채권 투자잔액은 223억6000만달러로 지난해 말 대비 1.41%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미국(69.22%)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미국, 유럽, 일본, 홍콩, 중국 등 상위 5개 시장이 전체 보관금액의 95.84%를 차지했다.  외화주식 투자잔액 상위 종목도 모두 미국 주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테슬라(168억6000만달러)가 1위를 차지했고, 애플(54억8300만달러)과 엔비디아(33억5600만달러), 알파벳A(25억2200만달러), 마이크로소프트(24억9300만달러) 등이 그 뒤를 이었다.반면 1분기 외화증권 결제금액은 1106억9000만달러로 지난 4분기 대비 14.45% 감소했다. 외화주식 결제 금액은 946억달러로 전 분기 대비 14.5% 줄었다. 외화채권 결제금액(171억달러)도 전 분기 대비 14.16% 감소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미국 중앙은행(Fed)의 양적 긴축 등으로 인해 해외 주식에 대한 투자 심리도 다소 식은 것으로 분석된다. 올들어 서학개미는 특히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를 대거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외화주식 결제금액 상위 종목은 테슬라,

  • 뜨거워진 증시에 CB·BW 권리 행사도 증가

    주가가 가파르게 오르자 주식 관련 채권에 투자한 사람들이 잇달아 투자 회수에 나서고 있다. 채권을 주식으로 바꾸거나 채권에 붙은 신주인수권을 행사해 시세보다 싸게 주식을 사들인 뒤 처분하고 있다.9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교환사채(EB) 등 주식 관련 채권에 붙은 권리가 행사된 건수는 총 358건으로 지난 6월(291건)보다 23% 증가했다. 가장 비중이 큰 주식 관련 사채는 CB(240건)로 전월 대비 23% 늘었다. BW(93건)와 EB(25건)도 이 기간 15%, 525%씩 증가했다. CB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정해진 가격에 발행회사의 신주, EB는 발행회사가 지정한 회사의 구주로 바꿀 수 있는 채권이다. BW는 특정 시점부터 발행회사의 신주를 받을 수 있는 권리가 붙은 채권이다. 지난 3월 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폭락했던 증시가 빠른 속도로 반등하자 투자자들이 본격적으로 수익 실현에 나서기 시작했다는 평가다. 지난 3월 19일 1457.64로 추락했던 코스피지수는 최근 연고점을 달성하며 지난 7일 2351.67까지 올랐다. 지난달 투자자가 CB에 대한 전환청구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한 대표 기업인 금호에이치티(38건)와 현대로템(11건)은 현재 주가가 3월 평균치 대비 41%, 97%씩 뛰었다.이들 기업은 투자자가 연이어 주식 관련 채권에 붙은 권리를 행사한 덕분에 부채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됐다. 채권이 주식으로 바뀌면서 차입금은 줄고 자본은 늘어난다. 다만 CB나 BW의 경우 권리 행사가 신주 발행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주식 가치 희석으로 주가가 조정받을 가능성이 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식지 않는 5G 열기…부품주 CB 투자자들까지 ‘방긋’

    ≪이 기사는 10월22일(11:0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5세대(5G) 이동통신 관련 부품주들의 고공행진이 장기간 이어지고 있다. 글로벌 5G 네트워크 설비투자 확대로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일 것이란 기대감이 주가를 강하게 밀어올리고 있다. 기업가치가 껑충 뛰면서 이들 회사가 과거 발행했던 전환사채(CB)를 사들인 투자자들도 웃음 짓고 있다. 채권을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시기에 맞춰 주가가 오르면서 높은 수익률을 내며 줄줄이 원리금을 회수하고 있다. 22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통신장비 회사인 케이엠더블유는 CB 투자자들의 전환청구권 행사로 이달 이들에게 총 4만8926주를 새로 발행했다. 투자자들이 보유하던 약 5억5000만원 규모 CB는 주당 1만1359원에 케이엠더블유 신주로 바뀌어 지난 21일 상장됐다. 투자자가 이날 종가 수준으로 주식을 팔았으면 494%의 수익률을 거뒀을 것으로 추산된다. 이 회사 CB 투자자들은 주식 전환이 가능해진 지난 5월 말부터 잇달아 전환청구권을 행사했다. 지난해 5월 발행했던 250억원 규모 CB 중 245억원어치가 주식으로 바뀌었다. 케이엠더블유는 올 들어서만 206% 뛰어 코스닥 시가총액 5위로 급부상했다. 안테나, 필터 등 기자국에서 사용하는 통신장비를 제조하는 이 회사는 삼성전자, 노키아, ZTE 등에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최근 수주물량이 급증하자 연간 필터 생산목표를 2000만대에서 1억대로 늘렸다. RFHIC도 180억원어치 CB를 발행한 지 1년 만에 전액 주식으로 전환했다. 투자자들이 주식 전환이 가능해진 지난 4월9일 일제히 해당 CB에 대한 전환청구권을 행사했다. 신주 상장예정일인 4월23일 이 회사 주가는 2만8150원

  • [마켓인사이트]금융위, 해외 주식거래 관리 구멍난 증권사 9곳·예탁원 무더기 징계

    ≪이 기사는 06월26일(18:0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해외 주식거래 관리에 구멍이 난 증권사 9곳과 한국예탁결제원이 무더기로 징계를 받았다.금융위원회는 26일 정례회의에서 전자금융법상 선관주의 의무 위반으로 예탁결제원에 대해 기관주의와 과태료 2400만원 부과를 의결했다.지난해 해외 '유령주식 사고'가 난 유진투자증권은 2400만원의 과태료를 받았다. 미래에셋대우·한국투자증권·하나금융투자·대신증권·신한금융투자·삼성증권·NH투자증권·유안타증권 등 나머지 8곳엔 각각 1800만원의 과태료 조치가 내려졌다. 이번에 제재 대상에 오른 증권사들은 해외 주식 거래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지 않았고 내부통제에도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문제는 금감원이 지난해 유진투자증권의 사고 이후 증권사의 해외 주식거래 시스템을 전수조사하면서 드러났다.  지난해 5월 말 유진투자증권에선 실제 고객 보유 물량의 4배가 넘는 해외 주식을 매도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고객 A씨는 미국 상장지수 펀드 655주를 실제 주식 가격보다 4배나 오른 가격에 팔아치웠다. 미국 상장지수펀드 종목 주식이 4대 1 비율로 병합됐는데 증권사가 이를 조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유진투자증권 사고에는 예탁결제원의 시스템 미비도 원인을 제공했다는 게 금융감독당국의 판단이다.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