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마켓인사이트]식지 않는 5G 열기…부품주 CB 투자자들까지 ‘방긋’

    ≪이 기사는 10월22일(11:0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5세대(5G) 이동통신 관련 부품주들의 고공행진이 장기간 이어지고 있다. 글로벌 5G 네트워크 설비투자 확대로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일 것이란 기대감이 주가를 강하게 밀어올리고 있다. 기업가치가 껑충 뛰면서 이들 회사가 과거 발행했던 전환사채(CB)를 사들인 투자자들도 웃음 짓고 있다. 채권을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시기에 맞춰 주가가 오르면서 높은 수익률을 내며 줄줄이 원리금을 회수하고 있다. 22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통신장비 회사인 케이엠더블유는 CB 투자자들의 전환청구권 행사로 이달 이들에게 총 4만8926주를 새로 발행했다. 투자자들이 보유하던 약 5억5000만원 규모 CB는 주당 1만1359원에 케이엠더블유 신주로 바뀌어 지난 21일 상장됐다. 투자자가 이날 종가 수준으로 주식을 팔았으면 494%의 수익률을 거뒀을 것으로 추산된다. 이 회사 CB 투자자들은 주식 전환이 가능해진 지난 5월 말부터 잇달아 전환청구권을 행사했다. 지난해 5월 발행했던 250억원 규모 CB 중 245억원어치가 주식으로 바뀌었다. 케이엠더블유는 올 들어서만 206% 뛰어 코스닥 시가총액 5위로 급부상했다. 안테나, 필터 등 기자국에서 사용하는 통신장비를 제조하는 이 회사는 삼성전자, 노키아, ZTE 등에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최근 수주물량이 급증하자 연간 필터 생산목표를 2000만대에서 1억대로 늘렸다. RFHIC도 180억원어치 CB를 발행한 지 1년 만에 전액 주식으로 전환했다. 투자자들이 주식 전환이 가능해진 지난 4월9일 일제히 해당 CB에 대한 전환청구권을 행사했다. 신주 상장예정일인 4월23일 이 회사 주가는 2만8150원

  • [마켓인사이트]금융위, 해외 주식거래 관리 구멍난 증권사 9곳·예탁원 무더기 징계

    ≪이 기사는 06월26일(18:0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해외 주식거래 관리에 구멍이 난 증권사 9곳과 한국예탁결제원이 무더기로 징계를 받았다.금융위원회는 26일 정례회의에서 전자금융법상 선관주의 의무 위반으로 예탁결제원에 대해 기관주의와 과태료 2400만원 부과를 의결했다.지난해 해외 '유령주식 사고'가 난 유진투자증권은 2400만원의 과태료를 받았다. 미래에셋대우·한국투자증권·하나금융투자·대신증권·신한금융투자·삼성증권·NH투자증권·유안타증권 등 나머지 8곳엔 각각 1800만원의 과태료 조치가 내려졌다. 이번에 제재 대상에 오른 증권사들은 해외 주식 거래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지 않았고 내부통제에도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문제는 금감원이 지난해 유진투자증권의 사고 이후 증권사의 해외 주식거래 시스템을 전수조사하면서 드러났다.  지난해 5월 말 유진투자증권에선 실제 고객 보유 물량의 4배가 넘는 해외 주식을 매도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고객 A씨는 미국 상장지수 펀드 655주를 실제 주식 가격보다 4배나 오른 가격에 팔아치웠다. 미국 상장지수펀드 종목 주식이 4대 1 비율로 병합됐는데 증권사가 이를 조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유진투자증권 사고에는 예탁결제원의 시스템 미비도 원인을 제공했다는 게 금융감독당국의 판단이다.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