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리워드 기반 데이팅 플랫폼 ‘바닐라브릿지', 시리즈A 라운드 20억 투자유치

    리워드 기반 데이팅 플랫폼 ‘바닐라브릿지', 시리즈A 라운드 20억 투자유치

    ≪이 기사는 03월10일(17:0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리워드 기반 데이팅 플랫폼 ‘바닐라브릿지’가 시리즈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스톤브릿지벤처스 등 복수의 벤처캐피탈(VC) 운용사들이 투자에 참여했다.9일 벤처투자업계에 따르면 스톤브릿지벤처스, 스퀘어벤처스, 베이스인베스트먼트 등 벤처캐피탈(VC)들은 최근 바닐라브릿지에 20억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에 참여했다. 베이스인베스트먼트는 지난해 시드 투자에 이어 후속 투자에 나섰다.2000년대부터 온라인 채널을 통한 데이팅 선호도가 급증함에 따라 2018년 글로벌 온라인 데이팅 시장은 약 8조원 규모의 거대한 시장을 형성했다. 국내 또한 2018년 약 2000억원 규모로 시장이 커졌다.바닐라브릿지는 이 같은 온라인 데이팅 시장을 겨냥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다. 한국의 소개팅 문화와 긱 이코노미(Economy)를 결합한 데이팅 플랫폼으로, 기존 데이팅앱이 남녀 간 채팅을 연결해주는 서비스라면 바닐라브릿지는 ‘사람이 해주는 진짜 오프라인 소개팅’을 표방하는 점에 주목했다. 바닐라브릿지 서비스의 특징은 '리워드'(보상) 시스템에 있다. 소개팅을 주선해주는 ‘주선자’ 회원이 소개를 받고 싶어하는 ‘일반 회원’들에게 오프라인 소개팅을 주선해주고, 주선자는 소개팅이 성사될 때 리워드를 얻는 것이 특징이다.주선자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뉘는데,  ‘지인소개 주선자’는 바닐라브릿지 회원에게 실제 지인을 소개시켜준다. 기본적인 프로필 이외에 성격, 평판 등의 정보를 함께 전달해, 신뢰도를 높였다. 한편, ‘프로주선자’는 바닐라

  • [마켓인사이트] '채용정보 1위' 잡코리아 매물로 나왔다

    [마켓인사이트] '채용정보 1위' 잡코리아 매물로 나왔다

    ▶마켓인사이트 2월 23일 오후 4시국내 최대 온라인 채용정보 플랫폼인 잡코리아가 매물로 나왔다. 국내외 대형 사모펀드(PEF)와 전략적 투자자(SI)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어 치열한 인수 경쟁이 예상된다.23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잡코리아를 보유한 PEF 운용사인 H&Q는 최근 모건스탠리를 주관사로 선정하고 잡코리아 매각에 본격 나섰다. 매각 대상은 H&Q 보유 지분 100%다. 국내외 PEF와 SI 등 인수 후보를 상대로 사전 마케팅을 한 뒤 티저레터(투자안내서) 배포 등 매각 절차를 밟을 계획이다.인수전은 초반임에도 불구하고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일부 PEF 등이 H&Q에 개별적으로 인수 의사를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현금창출력을 보여주는 잡코리아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이 지난해 500억원에 육박한 것을 고려할 때 거래 금액은 최소 5000억원 안팎, 인수전이 과열되면 7000억~8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高성장 알바몬 보유한 잡코리아"인수가격 최대 7000억~8000억"잡코리아는 국내 온라인 채용정보 플랫폼 시장에서 압도적인 1위 사업자다. 풀타임(전임근무) 채용정보 사이트 ‘잡코리아’와 함께 아르바이트 등 파트타임 채용을 중개하는 ‘알바몬’을 운영하고 있다. 풀타임과 파트타임 채용 플랫폼을 모두 보유하며 국내 온라인 채용정보 시장에서 40%대 점유율(2018년 기준)을 차지하고 있다. 20%대 점유율을 갖고 있는 2위 업체 사람인보다 두 배 높은 수준이다.온라인 채용 플랫폼 시장은 최근 몇 년간 연평균 20%대 고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평생 직장 개념이 점점 희박해지고 기업의 채용 방식도 수시 채용 등으로 다양화하면서 채용정보 사이트를 통한 구직 및 채용이 활

  • [마켓인사이트]인도 트럭 물류 유니콘에 베팅한 KB금융...아시아 플랫폼 투자 박차

    [마켓인사이트]인도 트럭 물류 유니콘에 베팅한 KB금융...아시아 플랫폼 투자 박차

    ≪이 기사는 10월10일(06:0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KB금융이 인도 트럭 물류 업계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는 스타트업 ‘리비고’(Rivigo)에 투자했다. 지난 6월 동남아시아 차량 공유 기업인 ‘그랩’에 투자한데 이어 인도까지 투자의 시야를 넓혀나가고 있다.1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KB금융은 계열사인 KB인베스트먼트를 통해 운용 중인 KB글로벌플랫폼펀드를 통해 리비고에 시리즈E 투자를 확정했다. 구체적인 투자금액은 알려지지 않았다. 미국의 대형 사모펀드 워버그핀커스가 주도하는 이번 라운드 총 투자 유치 금액은 6500만 달러 수준으로 올 연말께 펀딩이 마무리될 예정이다. 이번 투자엔 인도의 대형 벤처캐피탈(VC)인 사이프파트너스(SAIF Partners)도 참여했다. 이번 라운드에서 리비고는 10억 5000만 달러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아 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의 스타트업을 의미하는 ‘유니콘’의 반열에 올라섰다.이번 투자는 KB금융이 지난 5월 성장성이 높은 해외 지역 투자 공략을 위해 결성한 2200억원 규모 KB글로벌플랫폼펀드를 통해 이뤄졌다. 이 펀드는 KB금융 계열사 등이 출자해 조성됐다. KB금융은 이 펀드를 통해 그랩 등 동남아시아 및 인도 지역 내 유망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있다.리비고는 2014년 글로벌 컨설팅 회사 맥킨지 출신 디팍 갈그(Deepak Garg)와 가잘 칼라(Gazal Kalra)가 독립해 설립한 트럭 물류 스타트업으로 창업 5년 만에 유니콘이 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리비고는 인도의 물류 시장에서 기회를 포착했다. 인구가 13억명에 달하는 인도는 면적이 한국의 33배에 달하고 물류 시장 규모만 300조원에 달한다.

  • [마켓인사이트]'원티드랩' 100억원 추가 투자 유치 성공... "해외 영토 확장할 것"

    ≪이 기사는 07월01일(14:0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지인추천 채용 플랫폼 원티드을 운영하는 원티드랩 100억원의 신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국내를 넘어 아시아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원티드랩은 이번 투자를 바탕으로 해외 시장 개척을 가속화하기로 했다.  원티드랩은 1일 에이티넘 인베스트먼트, 컴퍼니 케이 파트너스, IBK 기업은행,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벤처투자로부터 100억원의 자금을 유치했다. 기업가치는 2017년 시리즈 B 투자 유치 때보다 두 배 이상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원티드랩은 2017년에 스톤브릿지, KTB네트워크, 코오롱 인베스트먼트, SL인베스트먼트 등 국내외 투자자로부터 10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창업 이후 누적 투자금액은 217억원이다. 원티드는 모바일로 지인을 추천해 채용되면 추천인 및 합격자들이 100만원 이상의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지인추천 채용서비스다. 2015년 서비스 런칭 후 한국, 싱가포르, 홍콩, 일본, 대만 등 5개국에서 4300개 기업과 70만명의 회원을 매칭시켰다. 올해 들어서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월 평균 매출 성장율이 13% 수준이다. 최근에는 50만건 이상의 실제 합격데이터를 머신러닝 (AI) 기술을 통해 분석해 기업과 구직자간 일자리 매칭 정확도를 70%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이복기 원티드랩 대표는 “지난 4년간 원티드는 지인추천 네트워크와 실제 합격률 기반 AI를 통해 정보통신(IT)업계를 중심으로 유저와 기업에게 신뢰 받는 채용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며 “앞으로 전세계 직장인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커리어 플랫폼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이번 투

  • [마켓인사이트]오피스 공유 플랫폼 위워크(WeWork), 부동산 자산운용 시장 진출

    [마켓인사이트]오피스 공유 플랫폼 위워크(WeWork), 부동산 자산운용 시장 진출

    글로벌 오피스 공유 기업 위워크(WeWork)가 부동산 자산운용 시장에 진출한다. 위워크의 모회사 더위컴퍼니(The We Company)는 16일 글로벌 부동산 투자 및 운용 플랫폼인 ‘아크(ARK)’를 론칭한다고 발표했다. 아크는 전 세계 주요국의 핵심 도시와 신흥 도시 등에 자리잡은 위워크 네트워크를 활용해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부동산에 투자하고 개발 및 운용하는 플랫폼이다. 아크는 기존 자산관리 자회사 ‘위워크프로퍼티어드바이저’와 합병해 약 29억달러(약 3조4500억원)의 초기 자본을 마련할 계획이다. 글로벌 투자 기관 퀘벡주예금보험 투자신탁공사 산하 아이반호캠브리지가 참여해 투자하기로 했다. 뉴욕리츠와 보르나도 리얼리티 트러스트 부동산 투자운용 업계 출신 웬디 실버스테인이 아크 최고투자책임자(CIO)로 선임됐으며, 부동산 투자, 개발, 경영 등 다양한 전문성을 갖춘 전문가들이 합류할 예정이다. 위워크는 계약자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주요 기업고객 등 다양한 파트너사 및 관련 기업들과 협업도 추진한다. 위워크를 운영하며 쌓은 위치 선정 프로세스 및 공간운영 노하우를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리치 고멜 아크 매니징파트너는 “위워크가 부동산을 소유한 협력파트너들에게 기

  • [마켓인사이트]핀테크 스타트업 디렉셔널 “P2P 플랫폼으로 개인 투자자의 주식대차 시장 참여 높인다”

    [마켓인사이트]핀테크 스타트업 디렉셔널 “P2P 플랫폼으로 개인 투자자의 주식대차 시장 참여 높인다”

    “주식대차 시장은 지난해 잔고 기준으로 72조원 규모지만, 개인 투자자들이 참여할 길은 지금까지 마땅치 않았습니다. 이 시장에서 개인 투자자들도 이익을 볼 수 있는 P2P(개인 간) 플랫폼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핀테크(금융기술) 스타트업인 디렉셔널의 정지원 대표이사(사진)는 31일 한국경제신문 자본시장 전문매체인 마켓인사이트와의 인터뷰에서 "주식대차 시장은 개인 투자자에게 불리한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며 "P2P 플랫폼이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2018년 설립된 디렉셔널은 개인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서로 빌려줄 수 있는 플랫폼(디렉셔널)을 준비하고 있다. 주식대차란 차입자가 주식 보유자에게 수수료를 주고 주식을 빌린 다음, 추후 주식을 상환하는 거래다. 주로 공매도 수요가 있는 투자자가 차입자가 된다. 국내 주식대차 시장은 연평균 12.6%(잔고 기준) 성장하고 있지만, 개인 투자자들의 참여율은 2%에도 못 미친다는 게 정 대표의 분석이다. 그는 “개인 투자자들은 주로 증권사와 주식 대여 약정을 맺어 주식대차 수수료를 받는데, 그나마도 참여율이 떨어지고 수익률도 낮다”며 “개인 투자자가 P2P 플랫폼을 통해 적극적으로 보유 주식을 빌려주며 수익을 내는 사업 모델을 구상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디렉셔널의 플랫폼에서는 해당 주식의 유통 가능 물량 등을 기준으로 주식대차 수수료율을 제시하게 된다. 개인 투자자는 보유 주식의 매매 차익에 더해 주식대차 수수료로 추가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다. 정 대표는 “주식 보유자는 증권사를 통한 주식대차보다 높은 수수료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