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마켓인사이트][단독]교보생명 FI, 20일 ‘풋옵션 이행’ 중재신청 접수

    ≪이 기사는 03월20일(16:55)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신창재 교보생명 회장과 풋옵션(정해진 가격에 되팔 수 있는 권리) 이행을 놓고 갈등을 벌이고 있는 재무적투자자(FI)들이 결국 중재를 신청했다.20일 금융권 및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 IMM프라이빗에쿼티(PE), 베어링PEA, 싱가포르투자청(GIC) 등 교보생명 지분을 보유한 FI들은 이날 대한상사중재원에 중재를 신청했다. ▶한국경제신문 3월19일자 A23면 참조신 회장에게 지분 공동 매각의 구체적인 이행 방안을 요구하면서 제시한 답변 시한(3월15일)을 넘긴 데 따른 대응이다. 당초 지난 18일 중재를 신청할 계획이었지만 해외 PEF 및 국부펀드들과 보조를 맞추느라 접수 시점이 다소 늦어졌다. 중재 기간이 6개월 정도 걸린다는 점을 고려하면 연내 결과가 나올 전망이다.FI들은 2012년 대우인터내셔널(현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보유한 교보생명 지분 24%를 주당 24만5000원, 약 1조2500억원에 인수했다. 신 회장은 당시 투자자들을 끌어들이면서 ‘2015년 9월까지 교보생명을 상장시키지 못하면 직접 투자지분을 되사주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IPO를 약속한 시간이 3년을 넘기도록 상장이 이뤄지지 않자 FI 컨소시엄은 지난해 10월28일  풋옵션을 행사했다. FI들이 딜로이트안진 회계법인을 통해 산정한 풋옵션 가격은 주당 40만9000원, 약 2조원이다. 신 회장 측은 FI의 중재 신청에 맞서 계약 무효소송 등을 검토하고 있다. 중재를 신청하더라도 언제든 철회가 가능하기 때문에 금융권과 IB업계는 여전히 중재 결과가 나오기 전에 신 회장과 FI가 극적인 타협안을 찾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현진소재, 12억원 규모 CB 발행

    금속단조 제조업체인 현진소재가 전환사채(CB)를 발행해 12억원을 조달했다.현진소재는 7일 에이엔티개발을 상대로 3년 만기 CB 12억1300만원어치를 발행했다고 공시했다. CB는 일정기간이 지나면 투자자가 발행회사의 신주로 바꿀 수 있는 채권이다.이번 CB의 표면금리와 만기수익률은 모두 연 0.5%로 결정됐다. 에이엔티개발이 CB를 주식으로 바꾸는 것은 내년 2월7일부터 가능하다. 전환가격은 한 주당 2026원으로 정해졌다. 조기상환청구권(풋옵션)도 같은 날부터 행사할 수 있다. 현진소재가 CB를 조기상환할 수 있는 조건도 붙어있다. 내년 2월7일부터 2021년 8월7일까지가 조기상환권(콜옵션) 행사기간으로 정해져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한컴시큐어, 50억원 교환사채 조기상환

    한컴시큐어가 1년6개월 전 발행했던 교환사채(EB) 전액을 조기상환했다.한컴시큐어는 1일 5년 만기 EB 50억원어치를 조기상환했다고 공시했다. 이 회사는 2017년 8월 연 0% 금리로 해당 EB를 발행했다. EB는 일정기간이 지나면 발행회사가 보유한 특정주식과 바꿀 수 있는 채권이다. 이 EB의 교환대상은 한글과컴퓨터 주식으로 투자자가 작년 9월부터 한 주당 2만1000원에 교환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한컴시큐어는 한글과컴퓨터 지분 13.63%를 들고 있다.증권업계에선 교환대상인 한글과컴퓨터 주가가 EB 발행 이후 줄곧 교환가격을 밑돌자 투자자가 원금 회수에 나선 것으로 보고 있다. 한컴시큐어의 EB 발행 당시 1만6000원이었던 한글과컴퓨터 주가는 작년 1분기 한 때 2만원대까지 상승했으나 이후 계속 내리막을 타며 지난달 30일 1만3500원까지 주저앉았다.한컴시큐어 측은 “투자자의 조기상환 청구권(풋옵션) 행사로 이른 시기에 EB를 갚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수성, 투자자 풋옵션 행사로 CB 5억원 조기상환

    코스닥 상장기업인 수성이 작년 발행한 30억원 규모 전환사채(CB) 중 일부금액을 1년 만에 조기상환했다.수성은 지난달 31일 CB 5억원어치를 조기상환했다고 1일 공시했다. CB는 일정기간이 지나면 투자자가 발행회사의 신주로 바꿀 수 있는 채권이다.이 CB는 수성이 작년 2월 총 30억원어치로 발행한 것으로 만기는 3년이다. 표면금리는 연 5%, 만기 수익률은 연 11%다. 올해 2월1일부터 한 주당 5152원으로 CB를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데 지속적인 전환가격 조정으로 현재는 전환가격은 4520원까지 하락했다.  수성 측 관계자는 “기한이익상실(즉시 상환) 사유 발생으로 투자자가 조기상환청구권(풋옵션)을 행사해 CB를 상환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회사는 이전 조기상환 물량까지 합하면 지금까지 총 10억원어치 CB를 조기에 갚았다. 1년 전 발행금액의 3분의1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 2兆 상환 '초읽기'…이달말 데드라인

    [마켓인사이트]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 2兆 상환 '초읽기'…이달말 데드라인

    ▶마켓인사이트 12월2일 오후 3시55분신창재 교보생명보험 회장(사진)이 재무적투자자(FI)들의 풋옵션(지분을 일정한 가격에 되팔 권리) 행사에 따라 2조원에 달하는 투자금을 이달 말까지 돌려줘야 할 상황에 처했다. 교보생명 측이 이를 막기 위해 오는 11일 이사회를 열어 기업공개(IPO)를 의결하기로 했지만, FI들은 ‘이미 늦었다’며 풋옵션 행사를 강행한다는 방침이다. 교보생명 경영권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2일 금융권 및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 IMM프라이빗에쿼티(PE), 베어링PEA, 싱가포르투자청(GIC) 등 교보생명 지분 24%를 보유한 FI들은 외부 회계법인에 의뢰해 작성한 ‘풋옵션 행사가격 평가보고서'를 지난주 초 교보생명에 제출했다. 지난 10월 말 신 회장을 상대로 풋옵션을 행사하면서 ‘11월 말까지 행사가격을 산정하자’고 통보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본지 10월29일자 A1, 22면 참조FI들은 2012년 대우인터내셔널이 보유하던 교보생명 지분 24%를 1조2054억원에 인수하면서 2015년 9월까지 IPO가 이뤄지지 않으면 신 회장을 상대로 풋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는 조항을 주주 간 계약에 포함했다. FI들은 3년이 지나도록 IPO 약속이 지켜지지 않자 지난 10월 말 풋옵션을 전격 행사했다.계약서에 따르면 신 회장이 되사와야 할 지분의 가격을 정하기 위해 양측은 각각 교보생명의 공정가치를 평가해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가격 차이가 클 경우 제3의 평가기관에 의뢰해 가치를 재산정하는 절차를 거치기로 했다. FI들은 보고서에서 지분 24%의 가치로 약 2조원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 회장 측은 제출 기일이던 지난주 초까지 평가보

  • GS엔텍 지원부담 턴 GS글로벌, ‘부정적’ 등급전망 뗐다

    이 기사는 06월16일(16:3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GS글로벌이 신용등급에 붙은 ‘부정적’ 전망을 뗐다. 자회사 GS엔텍에 지속적인 자금수혈을 할 수 있다는 우려가 가라앉은 덕분이다. 나이스신용평가는 16일 GS글로벌의 신용등급(A-) 전망을 종전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변경했다. 한국신용평가가 이번 상반기 정기평가에서 ‘부정적’ 등급 전망을 떼면 신용등급 하락 위험에서 당분간 한발자국 벗어날 전망이다. 국내 세 개 신용평가사 중 이 두 곳이 GS글로벌의 신용등급을 매기고 있다. GS엔텍에 대한 자금지원 부담이 크게 줄었다는 것을 반영했다. GS글로벌은 지난 3월 GS엔텍의 재무적 투자자(FI)들의 풋옵션(조기상환 청구권) 행사에 따라 이들이 가진 GS엔텍 지분 13.33%를 663억원에 사들였다. 이로써 FI들의 보유한 GS엔텍 지분을 모두 인수, 더 이상 풋옵션과 관련해 추가적으로 자금을 유출할 필요가 없어졌다. 지난해부터 GS엔텍을 지원하느라 총 2194억원이 빠져나갔지만 사전에 ㈜GS 등 주주들의 제공한 ‘실탄’이 있었기 때문에 타격이 적었다는 평가다. GS글로벌은 지난해 6월 주주들을 상대로 유상증자를 실시해 1500억원을 조달했다. 최대주주인 ㈜GS가 이 금액 중 739억원을 책임졌다. 적자에 허덕였던 GS엔텍도 실적을 개선해가고 있다. 이 회사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 연속 순손실을 냈지만 지난해 22억원의 순이익을 내며 흑자전환했다. 올 1분기에도 49억원의 순이익을 내며 수익성을 개선했다. 곽노경 나이스신용평가 기업평가4실장은 “GS엔텍의 실적까

  • 공모 어려운 포스코에너지, 풋옵션 달고 사모사채 900억 발행

     이 기사는 04월27일(17:2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포스코에너지가 ‘풋옵션(조기상환 청구권)’이 달린 사모 회사채를 발행했다. 최근 실적악화와 신용등급 하락으로 공모 발행 부담이 커지면서 사모로 눈을 돌렸다는 분석이다. 27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포스코에너지는 이날 900억원어치 회사채를 사모 방식으로 발행했다. 3년물 100억원, 5년물 800억원으로 나눠 발행했다. 발행금리는 3년물이 연 2.9%, 5년물이 연 3.3%로 결정됐다. 둘 다 민간 채권평가사들의 시가평가 대비 0.7%가량 높은 수준이다. 유안타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았다. 이번 회사채에는 현재 ‘AA-(안정적)’인 신용등급이 두 단계 밑인 ‘A’로 떨어질 경우 투자자가 조기상환을 요구할 수 있는 ‘풋옵션’이 달려있다. 포스코에너지가 채권을 발행하면서 이같은 조건을 내건 것은 처음이다. 그만큼 회사채 시장에서 자금조달이 쉽지 않아졌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다. 포스코에너지는 2015년 7월 2000억원어치 채권을 발행한 이후 공모 회사채 시장에 발을 들이지 못하고 있다. 실적악화로 신용도가 지속적으로 악화돼서다. 포스코에너지의 지난해 매출은 1조7028억원으로 전년 대비 12.9%, 영업이익은 900억원으로 35.3% 감소했다. SMP 하락과 과잉공급으로 본업인 민자 LNG발전업황이 꺾였고 신사업인 연료전지 사업이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 컸다. 특히 연료전지 사업은 지난해에만 약 1000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IB업계 관계자는 “연료전지 사업의 재무구조 개선 여부가 향후 신용도를 결정할 주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