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전기료 동결에…한전, 사상 최대 적자

    한국전력이 지난해 6조원에 달하는 영업적자를 냈다. 창사 이후 최대폭의 손실이다. 원유, 액화천연가스(LNG) 등 에너지 가격이 큰 폭으로 뛰었지만 이를 제때 전기요금에 반영하지 못한 탓이다. 탈(脫)원전 추진으로 전력 구입비가 치솟은 것도 재무구조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한전은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손실이 5조8601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4일 발표했다. 2020년 4조863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3년 만에 흑자로 돌아선 지 1년 만에 다시 적자늪에 빠진 것이다. 2008년 금융위기로 국제 유가가 치솟았을 때 기록한 적자(2조7981억원)의 두 배가 넘는다.적자 규모가 사상 최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영업비용(66조4349억원)이 전년 대비 11조9519억원이나 늘어났기 때문이다. 원유 천연가스 석탄 등 3대 에너지원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한 게 결정적이었다. 정부는 애초 발전 연료비 증가분을 요금에 반영하는 연료비연동제를 시행하기로 했지만, 물가 상승 억제 차원에서 작년 2분기와 3분기 잇달아 전기료를 동결했다.문재인 정부가 탈원전·탈석탄 기조 아래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서두른 것도 한전에 부담이 됐다.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RPS) 비율이 7%에서 9%로 증가해 정책비용이 늘었고, 단가가 비싼 LNG 발전 비중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이는 고스란히 비용에 반영됐다. 작년 한전 발전자회사들의 연료비는 전년보다 4조6136억원 증가했고, 민간발전사 전력 구입비는 5조9069억원 늘었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에너지 수급 불안정이 장기화하면 올해 한전의 적자는 작년보다 더 불어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이지훈 기자

  • 자라리테일코리아, 작년 적자에도 배당은 700억원 최대

    자라리테일코리아, 작년 적자에도 배당은 700억원 최대

    ≪이 기사는 05월07일(17:4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한국에서 패션 브랜드 ‘자라’를 운영하는 자라리테일코리아가 지난해 적자를 냈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자라리테일코리아는 지난해 2월부터 올해 1월까지 매출이 3056억원으로 전년 회계연도(4155억원)보다 26.5% 줄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59억원에서 -22억원으로, 순이익은 366억원에서 -76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영업손실과 순손실은 2014년 이후 6년 만이다. 배당은 늘었다. 지난해 700억원을 배당했다. 이 중 560억원은 지분 80%를 보유한 스페인 인디텍스에, 140억원은 지분 20%를 가진 롯데쇼핑에 지급했다. 2007년 설립한 자라리테일코리아는 2015년 처음 83억원을 배당했다. 2019년 100억원에 이어 지난해가 세 번째 배당이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 나이키 신발 만드는 창신INC, 공정위 과징금 탓 지난해 적자 전환

    나이키 신발 만드는 창신INC, 공정위 과징금 탓 지난해 적자 전환

       ≪이 기사는 05월07일(14:0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나이키 신발을 위탁생산하는 회사로 유명한 창신INC가 지난해 226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창사 이래 최대다.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385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은 영향이 컸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창신INC의 지난해 연결 매출은 1조5031억원으로 전년보다 3.0%, 영업이익은 288억원으로 같은 기간 60.1% 감소했다. 코로나19에 판매가 줄고 비용이 늘어난 탓이다 여기에 지난해 공정위가 부과한 385억원의 과징금이 기타비용의 잡손실로 잡히며 영업외비용을 크게 늘렸다. 창신INC는 지난해 226억원의 순손실을 내 전년 424억원에서 적자 전환했다. 창신INC는 해외 계열사를 동원해 정환일 회장 자녀가 최대주주인 서흥(비상장사)을 부당 지원한 사실이 지난해 공정위 조사를 통해 드러났다. 이는 경영권 승계와도 관련이 있어 서흥이 창신INC와 합병했다면 창신INC 최대주주가 정 회장에서 장남인 정동흔씨로 바뀌게 됐을 것이라고 공정위는 지적했다.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 삼성중공업, 올해 여섯 번째 사모 회사채 발행

    삼성중공업, 올해 여섯 번째 사모 회사채 발행

    삼성중공업이 700억원 규모 사모 회사채를 발행했다. 올 들어 여섯 번째다. 29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은 지난 28일 650억원 규모의 2년물과 50억원 규모의 3년물 회사채를 사모로 발행했다. 발행 금리는 각각 연 3.80%와 연 4.20%다. 신영증권이 발행을 주관했다. 삼성중공업은 사모채 발행은 올해 여섯 번째다. 이번을 포함해 총 1550억원을 조달했다. 조선 업황 악화로 2015년 이후 대규모 적자가 이어지면서, 삼성중공업은 공모채 대신 사모채와 단기금융시장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공모채를 발행한 것은 2015년 2월 5000억원 규모다. 삼성중공업이 사모채로 조달한 자금은 만기가 돌아오는 차입금을 갚는 데 쓰인다. 2019년과 2020년에 발행한 사모채 만기가 차례대로 돌아오기 때문이다. 연내 상환해야 할 사모채는 총 2000억원어치다. 오는 6월 1400억원, 9월 200억원, 12월 400억원을 갚아야 한다. 삼성중공업 재무 구조는 해마다 악화하고 있다. 지난해에도 연결 재무제표 기준 1조4927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7년 연속 적자로 2015년 이후 누적 순손실은 4조8879억원에 이른다. 작년 말 기준 총차입금은 4조8516억원, 현금성 자산을 뺀 3조2793억원이다. 부채비율은 247.5%로 전년(159.1%)보다 높아졌다. 최근 신규 수주가 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다. 삼성중공업이 지난 1분기에 신규 수주한 물량은 컨테이너선 34척,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4척, LNG운반선 1척 등 총 39척, 49억달러 규모다. 올해 수주 목표(상선 46억달러, 해양 플랜트 32억달러) 중 상선 부문 목표를 이미 달성했다. 다만 올해도 흑자 전환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각종 충당금과 평가손실이 발목을 잡고 있기

  • 삐걱대는 IMM PE의 화장품 볼트온 전략...작년 1400억원 순손실

    삐걱대는 IMM PE의 화장품 볼트온 전략...작년 1400억원 순손실

    ≪이 기사는 04월27일(05:4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사모펀드 IMM PE의 ‘화장품 볼트온 전략’이 삐걱대고 있다. 같은 업종 기업을 여럿 인수해 기업 가치를 높이는 게 볼트온 전략이다. 하지만 코로나19로 보유 화장품 기업들이 동시에 적자를 내면서 오히려 역효과를 내고 있다. IMM PE가 화장품 사업에 뛰어든 지 4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경영에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비상장사 리프앤바인은 지난해 연결 재무제표 기준 순손실 140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449억원 순손실과 비교해 3배 이상 늘었다. 매출은 3075억원으로 같은 기간 27.2% 줄고, 영업손실은 842억원으로 전년(-145억원)보다 6배 가까이 늘었다. 리프앤바인은 IMM PE 소유의 회사다. 특수목적법인(SPC)인 비너스원을 통해 지분 100%를 들고 있다. IMM PE는 2017년 6월 ‘미샤’로 유명한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에이블씨엔씨를 인수하며 리프앤바인을 투자 주체로 내세웠다. 당시 에이블씨엔씨 지분 53.5%(현재 59.2%)를 인수하는 데 3274억원을 들였다. 주주 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한 것을 포함해 그해 IMM PE가 투자한 돈은 3903억원에 이른다. 이후 IMM PE는 에이블씨엔씨를 앞세워 2018년 미팩토리, 2019년 지엠홀딩스와 제아에이치앤비 등 여러 화장품 회사를 차례로 인수했다. IMM PE→리프앤바인→에이블씨엔씨→미팩토리·지엠홀딩스·제아에이치앤비로 이어지는 지배 구조를 만들었다. 동종 업종 기업을 인수해 시너지를 추구하는 볼트온 전략이다. 에이블씨엔씨 기업 가치를 높여 더 비싼 값에 팔겠다는 구상이었다. 하지만 지난

  • [마켓인사이트]무디스 “올해 LG디스플레이 1.5兆 적자 예상”

    [마켓인사이트]무디스 “올해 LG디스플레이 1.5兆 적자 예상”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무디스가 올해 LG디스플레이의 영업적자 규모가 1조5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럼에도 모회사인 LG전자의 신용도에는 큰 타격이 없을 것으로 진단했다.무디스는 31일 “3분기까지 누적된 적자와 4분기 구조조정 비용 등을 고려하면 LG디스플레이의 올해 총 영업손실 규모는 약 1조500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LG디스플레이는 액정표시장치(LCD) 시장의 공급과잉과 제품 가격 하락 여파로 올 1~3분기 9375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이 회사는 생존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달 초 전체 임원 및 조직 규모의 25%를 감축하고 실적 부진이 이어지는 LCD 관련 조직을 축소하는 구조조정을 단행했다.무디스는 자회사의 대규모 적자에도 LG전자의 신용등급(Baa3) 현재 수준을 지킬 것으로 봤다. 안정적인 실적을 바탕으로 양호한 재무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다. LG디스플레이의 실적 부진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투자에 따른 차입금 증가로 인한 재무적 부담도 내년부터는 다소 경감될 것으로 분석했다. 신규 OLED 제품이 실적에 기여하면서 수익성이 개선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 신용평가사는 지난해 2.5배였던 LG전자의 연결기준 상각전영업이익(EBITDA) 대비 차입금 비율이 올해 2.8~2.9배, 내년엔 2.6배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리아 취엔 무디스 수석연구원은 “생활가전 및 TV 사업본부가 지속적으로 우수한 실적을 내며 모바일 사업의 부진을 만회하는 것 이상의 이익을 거두고 있다”며 “올해 7조~8조원 수준인 LG디스플레이의 설비투자 규모도 내년에는 4조원 수준으로 감소하는 점을 고려하면 LG전자의 재무상태는 조만간 다시 개선될 것”

  • [마켓인사이트]쿠팡·야놀자 등 유니콘 기업, 상장 길 열린다

    쿠팡과 옐로모바일, 야놀자 등 적자를 내는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인 비상장사)들이 기업공개(IPO)를 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매출이 급성장하며 중소기업에서 벗어나더라도 기술특례를 적용받을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이 개정되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는 26일 정례회의를 열고 ‘혁신기업 IPO 촉진을 위한 상장제도 개선안’을 의결했다. 개선안에 따르면 다음달부터 국내 중소기업만 신청이 가능한 기술특례상장 대상을 스케일업 기업과 해외 진출 기업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스케일업 기업은 2년 연속 평균 매출 증가율이 20% 이상이면서 중소기업이 아닌 곳이다.  기술특례상장은 당장 수익성은 낮지만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할 수 있도록 외부기관의 검증 등을 통과하면 상장심사 기준을 낮춰주는 제도다. 기술특례가 중소기업에 한정돼 있고 주로 바이오 기업에만 적용되면서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중소기업은 자산총액 5000억원 미만, 업종별 평균 미만의 매출액 등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대표적인 유니콘 기업인 쿠팡은 지난해 자산총액이 1조8376억원에 달한다. 옐로모바일과 크래프톤도 자산총액이 5000억원을 넘는다.기술특례상장 적용 대상이 확대되면 중견기업으로 커진 유니콘 기업과 매출이 급증하고 있는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들이 특례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전망이다. 화장품 제조사인 엘앤피코스메틱과 핀테크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 ‘배달의 민족’으로 알려진 우아한형제들, 숙박 앱(응용프로그램) 야놀자, 전자상거래업체 위메프 등 유니콘 기업들이 특례상장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마켓컬리와

  • [마켓인사이트]적자 불어난 파라다이스, AA급 신용도 반납 위기

    카지노업체 파라다이스가 2년간 불어난 적자에 ‘AA’급 신용도에서 내려올 위기에 몰렸다. 1조원 이상을 투자한 카지노 복합리조트 ‘파라다이스시티’ 실적이 아직 궤도에 오르지 못한 가운데 차입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어서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지난 2일 파라다이스의 신용등급을 ‘AA-’(부정적)에서 ‘A+’(안정적)로 한단계 떨어뜨렸다. 모회사인 파라다이스글로벌 등급도 ‘A+’(부정적)에서 ‘A’(안정적)로 하향조정했다. 현재 ‘부정적’ 전망을 붙여놓은 한국신용평가가 등급을 내리면 파라다이스는 A급 신용도로 떨어지게 된다.실적 부진으로 재무구조 악화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 반영됐다. 파라다이스는 지난해 순손실 441억원을 기록하며 2017년(399억원)에 이어 2년째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파라다이스시티를 운영하는 파라다이스세가사미가 530억원의 순손실을 낸 여파가 컸다. 파라다이스시티 개장 이후 고객 유치를 위한 마케팅비용 증가 등이 적자 이유로 꼽힌다. 중국 정부의 한국 관광 규제가 해소될 조짐이 나타나고 있지만 여전히 반부패 관련 정책으로 카지노 고객을 유치하기 쉽지 않다는 평가다. 그동안 진행된 대규모 투자로 차입금은 불어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파라다이스의 총 차입금은 1조61억원으로 2017년 말 대비 15% 증가했다. 2014(804억원) 이후 4년간 10배 이상 늘었다. 올해에도 서울 장충동 사옥 신증축에 3000억원 이상을 투자할 예정임을 고려하면 차입금 규모는 더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이강서 나이스신용평가 연구원은 “파라다이스시티 실적이 당초 예상보다 부진한 데다 연이은 투자로 대규모 자금 소요가

  • [마켓인사이트] ‘엠태그’의 나노브릭, 기술성 평가 최고등급 받고 코스닥 상장 도전

    ≪이 기사는 04월14일(08:5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나노 신소재 개발회사인 나노브릭이 코스닥시장 상장에 도전한다. 아직 매출 규모가 크지 않고 영업적자가 이어지고 있지만, 코스닥 상장을 위해 실시한 기술성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AA’를 받을 만큼 기술력을 갖춘 벤처기업이라는 점에서 흥행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14일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에 따르면 나노브릭은 지난 12일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했다. 나노브릭 기업공개(IPO)의 대표주관사는 KB증권이다.2007년 설립된 나노브릭은 자석을 대면 색깔이 변하는 소재(자기색가변 소재) 등 나노소재를 개발해온 회사다. 이 기술을 바탕으로 정품 여부를 인증할 수 있는 솔루션인 엠태그(M-Tag)를 개발해 제이엠솔루션, 닥터자르트 등 화장품 회사들을 고객사로 확보했다. 정품인증패키징솔루션(M-PAC), 자성문구보드(M-PAPER), 자성표장제(M-SKIN) 등 제품군도 보유하고 있다.회사는 지난해 매출 72억원에 영업적자 13억원을 냈다. 순이익은 9억원을 내며 흑자전환했다.회사는 기술성 평가를 맡은 외부 전문기관 두 곳으로부터 모두 ‘AA’ 등급을 받았다. 한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기술성 평가에서 모두 AA 등급을 받는 경우는 많지 않다”며 “뛰어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