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용병號 신한지주 '리딩금융' 포석 마무리
신한금융은 2007년 LG카드(현 신한카드) 인수 이후 10년간 대형 인수합병(M&A)을 하지 않았다. 외형 성장보다 내부 실력을 갖추는 게 우선이라는 판단 때문이었다. 그러다 2017년 조용병 회장(사진) 체제가 출범한 이후 180도 달라졌다. 조 회장은 저금리·저성장 구조 속에서 새로운 수익 기회를 포착하려면 적극적인 외연 확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신한금융은 이에 따라 2017년 호주 ANZ은행의 베트남 리테일 부문(베트남신한은행)을 인수한 데 이어 국내에선 생명보험사(옛 ING생명), 신탁사(아시아신탁), 벤처캐피털(옛 네오플럭스) 등 크고 작은 M&A를 잇달아 성사시켰다. 조용병의 ‘M&A 릴레이’에 마침표신한금융의 BNP파리바카디프손보 인수는 조 회장이 추진해온 국내 금융업 포트폴리오 구축이 사실상 완성된다는 의미가 있다. 신한금융이 순이익 1위 ‘리딩 금융그룹’ 왕좌를 놓고 겨루고 있는 KB금융은 이미 업계 4위 손해보험사(2014년 LIG손보를 인수해 KB손보로 변경)를 보유하고 있다. 반면 신한금융은 올해 하반기 신한라이프를 출범시키면서 생명보험업계에서는 존재감을 드러냈지만 아직 손보업계에선 이렇다 할 족적을 남기지 못했다.금융당국은 그동안 업계 출혈 경쟁 등에 따른 소비자 피해를 우려해 종합손해보험사 신규 허가에 소극적이었다. 이런 탓에 신한금융은 2~3년 전부터 손해보험사 매물을 꾸준히 물색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인수를 검토한 AXA손해보험이 대표적이다. 신한금융은 메리츠화재, 롯데손보, 한화손보 등 최근 수년간 매물로 나왔거나 매각이 거론된 손보사의 잠재 인수 후보로 꼽혔다.신한금융이 카디프손보를 낙점한 것은 신한금융지주의
-
상장 후 15%만 올라도…카카오뱅크에 '2500조' 몰렸다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7월22일(06:5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내 인터넷은행 최초로 상장에 나선 카카오뱅크에 2500조원의 기관투자가 자금이 쏟아졌다. 국내 기업공개(IPO)시장에서 진행된 기관 수요예측 사상 최대 주문금액 기록을 새로 썼다. 기관들이 적극적으로 투자에 뛰어든 데 힘입어 18조원대 몸값으로 증시에 입성하게 됐다. KB금융과 신한지주 등 기존 금융사들을 제치고 금융업종 대장주 자리를 차지할 지 주목된다.2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뱅크가 지난 20~21일 진행한 수요예측에 국내외 기관 1800여곳이 참여해 약 2500조원어치 주문을 넣었다. 지난 4월 SK아이이테크놀로지의 2417조원을 넘어 국내 IPO 수요예측 사상 최대 주문규모 기록을 갈아치웠다. 경쟁률은 1700 대 1을 넘겼다. 참여 기관 대부분이 공모 희망가격(3만3000~3만9000원) 최상단 이상으로 주문을 넣을 정도로 매수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졌다. 이 같은 결과를 반영해 최종 공모가격을 3만9000원으로 결정할 것이 유력하다.카카오뱅크의 공모 규모는 2조5525억원으로 지금까지 국내에서 상장한 기업 중 세 번째로 클 전망이다. 사상 최대 공모금액 기록을 가진 기업은 2010년 5월 상장한 삼성생명(4조8881억원)이다. 넷마블(2조6617억원)과 삼성바이오로직스(2조2496억원)가 그 뒤를 잇고 있다.이 회사의 공모 직후 예상 시가총액은 18조5289억원이다. KB금융(21일 기준 21조399억원)과 신한지주(19조3983억원)에 이어 금융주 시총 3위에 오르게 된다. 기존 금융주 몸값이 제자리를 지키는 가운데 카카오뱅크 주가가 상장 이후 15% 이상 오른다면 단숨에 금융업 대장주 자리를 차지할 수도 있다. 최근 메리츠증권 등
-
[카카오뱅크 상장절차 착수]PBR 7.3배…해외 금융사 4곳과 비교
≪이 기사는 06월28일(15:4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카카오뱅크가 제시한 최대 18조5000억원의 기업가치는 해외 인터넷은행과 모기지 금융서비스업체 등을 비교해 산정됐다. 카카오뱅크가 28일 제출한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이 회사는 해외 인터넷은행인 팍세그루디지털(브라질), TSC그룹(러시아), 노드넷(스웨덴)과 미국 디지털 모기지 금융서비스업체인 로켓컴퍼니를 비교 대상으로 삼아 기업가치를 산정했다. 이자 수익 비중이 30% 이상이면서 수수료를 받고 있는 곳이다. 카카오뱅크는 이들의 평균 주가순자산비율(PBR 7.3배)를 적용해 기업가치를 15조6783억~18조5289억원 수준으로 매겼다. 비교대상 기업 중 PBR이 가장 높은 곳은 팍세그루디지털(8.8배)이다. TSC그룹(8.0배), 노드넷(7.6배), 로켓컴퍼니(4.6배)가 그 뒤를 잇고 있다. 국내 주요 은행주를 훌쩍 웃도는 수준이다. 현재 KB금융(0.52배), 신한지주(0.50배) 하나금융(0.45배), 우리금융(0.37배) 등 대형 은행주의 PBR은 1배에도 못 미치고 있다.투자은행(IB)업계에선 카카오뱅크가 상장 이후 은행 대장주 자리를 차지할지 주목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현재 장외시장에선 몸값을 35조원 수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현재 은행 대장주인 KB금융(28일 기준 시가총액 23조원)보다 10조원 이상 많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신한대체투자운용, 아시안인베스터지 선정 '韓 최고 자산운용사' 영예
신한대체투자운용(대표이사 김희송·사진)은 최근 아시안인베스터지가 주최하는 자산운용사 어워드(Asset Management Awards 2021)에서 한국 최고 자산운용사(Best Asset Managers)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아시안인베스터는 신한대체투자운용이 최근 부동산과 인프라, 기업금융 등 다양한 형태의 투자상품을 기관투자자에게 여럿 공급했으며 이 중에서도 펀드금융(Asset Facility), 구조화 증권(Structured Notes), 단일자산 단일임차인 상업용 모기지증권(SASB CMBS) 등 혁신적인 투자상품을 개발해 투자자의 수요에 부응한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이번 어워드에서 수상한 각국의 자산운용사는 한국의 신한대체투자운용 외에 홍콩의 JP모간자산운용, 중국의 하베스트펀드매니지먼트, 대만의 유안타증권투자신탁, 싱가폴의 풀러튼펀드매니지먼트 등이었다.아시안인베스터는 영국 헤이마켓그룹이 2000년부터 발행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투자 관련 저널이다. 반기마다 발행되는 저널과 온라인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해마다 이 지역의 최우수 자산운용사, 기관투자가, 수탁서비스사 등을 뽑는다. 올해 최고 자산운용사를 선정하는 과정에는 벤자민 러드(Benjamin Rudd) 푸르덴셜홍콩 최고투자책임자(CIO), 프레킨(Preqin)의 SVP인 이 파이 캄(Ee Fai Kam), BCG의 파트너 친 쿠(Qin Xu), 한국 행정공제회의 장동헌 CIO 등 아시아 주요 투자기관의 시장 전문가들 10명이 심사에 참여해 사업의 성장성, 운용 실적, 운용역의 전문성, 혁신적인 투자 사례 등을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한대체투자운용은 신한금융지주의 100% 자회사로 2017년말 신한프라이빗에쿼티(신한PE)를 전문투자형 사모펀드 운용사로 확대 개편한 회사다. 작년 말 기
-
신한금융·KKR 전략적 파트너십 '흐지부지'
신한금융과 글로벌 사모펀드(PEF) KKR 간의 전략적 파트너십에 대한 시장의 의문이 커지고 있다. 2년 전 최대 50억달러 규모 공동 펀드를 조성하자던 약속이 이행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투자 파트너를 찾는 과정에서 KKR이 들러리만 선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조용병 신한그룹 회장은 지난 4일 이사회를 열어 제3자 배정 신주 유상증자를 통해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와 베어링PEA, 두 홍콩계 PEF를 새로운 주주로 끌어들이기로 결정했다. 어피너티와 베어링PEA는 앞서 크레디트스위스가 진행한 입찰에 참여해 각각 최근 주가를 가중평균한 뒤 2% 할인율을 적용한 2만9600원에 2044만주(6050억원), 1869만주(5532억원)를 받기로 했다. 총 1조1582억원 어치다. 납입일은 오는 28일이다. 2년간 보호예수 조건이 걸려 있다. 시장의 의문을 자아내는 대목은 KKR이 입찰에 참여한 뒤 탈락한 것으로 한때 알려졌다는 점이다. 만약 KKR이 진심으로 유상증자 참여를 희망했다면, 펀드의 규모나 기존 신한금융과의 관계로 미루어 볼 때 KKR이 탈락할 가능성은 높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신한금융 관계자는 "KKR은 우리가 원하는 구조로 입찰에 참여하지 않아서 탈락한 것 뿐"이라고 해명했다. ◆2년새 50억弗=>2억弗...쪼그라드는 파트너십 2017년 신한금융지주 회장직에 오른 조 회장은 2018년 9월 조셉 배 KKR 공동대표와 함께 최대 50억달러(약 6조원) 규모의 공동투자를 약속하는 글로벌 대체투자 파트너십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그러나 갈수록 계획은 쪼그라들었다. 신한금융은 오렌지라이프 인수 등으로 자본 여력이 줄었다며 양사 공동투자 규모가 10분의 1로 줄어들 수
-
[마켓인사이트] 신한지주, 전환우선주 7000억원 발행한다
▶마켓인사이트 2월 11일 오후 3시55분신한금융지주가 국내 금융지주사 최초로 7000억원 규모의 전환우선주(CPS) 발행에 나선다. 오렌지라이프(옛 ING생명), 아시아신탁 등을 잇따라 인수하면서 소진한 자본을 다시 충당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1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신한금융지주는 12일 이사회를 열고 사모펀드 운용사인 IMM 프라이빗에쿼티(PE)를 상대로 7000억원 규모 CPS를 발행하는 안건을 논의할 예정이다. 올 1분기 내 발행을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CPS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투자자가 의결권이 있는 보통주로 바꿀 수 있는 주식이다. 이번에 IMM PE가 사들일 CPS 물량은 보통주 기준으로 약 3.6% 지분이다. 발행이 마무리되면 IMM PE는 신한금융지주에 대해 국민연금(지분율 9.55%), 블랙록(6.13%), 우리사주조합(4.64%) 다음의 영향력을 갖게 될 전망이다.신한금융지주는 최근 연이은 대형 인수합병(M&A)으로 약화된 재무구조를 개선하고자 대규모 CPS 발행을 결정했다. 이 회사는 지난 1일 오렌지라이프 인수에 2조2980억원을 투입했다. 아시아신탁 지분 60% 인수에도 1934억원을 쓸 계획이다. 아시아신탁은 2022년 이후 나머지 지분 40%를 사들일 예정이다. 여기에 추가로 1000억원 이상이 유출될 가능성이 높다.신한금융지주는 지난해 국내외에서 잇단 영구채(신종자본증권) 발행을 통해 약 8600억원을 확보해 2017년 말 14.8%였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을 지난해 9월 말 15.3%로 끌어올렸다. 하지만 그 이후 추진된 여러 ‘빅딜’로 이 지표가 다시 하락했을 것으로 분석된다.그룹 전체 투자 여력도 강화될 전망이다. 이 회사의 지난해 9월 말 기준 이중레버리지비율(자회사 출자총액/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