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코스닥 떠날래"…올 이전상장 역대 최대될 듯

    "코스닥 떠날래"…올 이전상장 역대 최대될 듯

    코스닥시장에서 유가증권시장으로 ‘상장사 엑소더스’가 이어지고 있다. 코스닥시장 대장주로 꼽히는 에코프로비엠도 이전을 공식화하면서 더 많은 업체가 빠져나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 유가증권시장으로 이전을 완료했거나 이전을 진행 중인 기업은 포스코DX, 엘앤에프, HLB, 파라다이스, 에코프로비엠 등 5곳이다. 지난해 SK오션플랜트, NICE평가정보, 비에이치 등 3개 업체가 유가증권시장으로 이전을 마친 데 이어 올해도 코스닥 대어들의 ‘탈출’이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최근 10년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 유가증권시장으로 이전을 완료한 코스닥 기업이 가장 많았다. 2015년부터 올해까지 총 18개 기업이 이전 상장을 완료했거나 진행 중인데 이 중 절반가량인 8개가 지난해와 올해 몰렸다. 올해는 코스닥 대장주인 에코프로비엠이 이전을 공식화하면서 더 많은 업체가 빠져나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역대 최대로 이전상장이 많았던 해는 코스닥지수가 40% 넘게 폭락했던 2002년(8곳)이었다.코스닥시장의 모델인 미국 나스닥시장에 미국 시가총액 상위 기업들이 포진한 것과는 크게 대비된다. 미국 증시 시총 1위인 마이크로소프트를 비롯해 애플, 엔비디아, 아마존, 알파벳, 메타, 테슬라 등 빅테크가 나스닥시장에 상장돼 있다.증권가에서는 코스닥시장의 높은 변동성이 유가증권시장으로의 엑소더스를 일으키는 배경이라고 보고 있다. 성장기업의 자금줄이 돼줄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개인투자자 중심의 테마주 시장 성격이 강해져 주가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코스닥시장에서 자주 발생하는 부정거래나 ‘뻥튀기 상장’

  • 올해도 '코스닥 엑소더스'…1·3위 동시 빠지면 시총 10% '순삭'

    올해도 '코스닥 엑소더스'…1·3위 동시 빠지면 시총 10% '순삭'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코스닥시장에서 유가증권시장으로 상장사들의 '엑소더스'가 이어지고 있다. 코스닥시장 대장주로 꼽히는 에코프로비엠도 이전을 공식화하면서 더 많은 업체들이 빠져 나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 유가증권시장으로 올해 이전을 완료했거나 이전 진행 중인 기업은 엘앤에프, HLB, 파라다이스, 에코프로비엠 등 4곳이다. 지난해 SK오션플랜트, 포스코DX, NICE평가정보, 비에이치 등 4개 업체가 유가증권시장으로 이전을 마친 데 이어 올해도 코스닥 대어들의 '탈출'이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최근 10년을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가 유가증권시장으로 이전을 완료한 코스닥 기업이 가장 많은 해였다. 2015년부터 올해까지 총 18개 기업이 이전상장을 완료했거나 진행 중인데 이중 절반 가량인 8개가 지난해와 올해에 몰렸다. 올해는 코스닥 대장주인 에코프로비엠도 이전을 공식화하면서 더 많은 업체들이 빠져나갈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코스닥시장의 모델인 미국 나스닥시장에 미국 시총 상위 기업들이 포진한 것과는 크게 대비된다. 미국 증시 시총 1위인 마이크로소프트를 비롯해 애플, 엔비디아, 아마존, 알파벳, 메타, 테슬라 등 빅테크 업체들이 나스닥시장에 상장돼있다. 증권가에서는 코스닥시장의 높은 변동성이 유가증권시장으로의 '엑소더스'를 만드는 배경이라고 보고 있다. 성장기업들의 자금줄이 되어 줄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개인투자자 중심의 테마주 시장 성격이 강해지면서 주가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코스닥시장에서 자주 발생하는 부정거래나 '뻥튀기 상장' 등의 의혹

  • 비만치료제 열풍…제약株 시총 10년 만에 최대

    세계 주요 제약사 500곳의 시가총액이 10년 만에 최대치로 치솟았다. 비만치료제가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제약사에 대한 투자 열기가 뜨거워진 덕분이다.13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금융정보업체 퀵팩트셋 데이터 기준 글로벌 제약사 500곳의 시가총액은 5조8000억달러(약 7613조원)다. 이는 지난해 말보다 7% 증가한 수치다. 2019년 말 기준 4조2000억달러에 불과하던 제약사 500곳의 시가총액은 2021년 말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 기대로 5조5000억달러까지 치솟았다. 이후 리오프닝 영향으로 2022년 말 5조2000억달러로 쪼그라들었다.작년부터 비만치료제에 관심이 커지면서 글로벌 제약사 주가가 급등했다. 2021년 6월 덴마크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처음 승인받으면서 비만치료제가 투자자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11일 기준으로 미국 일라이릴리의 시총은 6977억달러로 글로벌 제약사 중 1위다. 주가는 작년 말보다 30%가량 상승해 미국 상장사 중 9위다. 뒤를 이어 노보노디스크는 시총 5916억달러로 작년 말보다 30% 증가했다. 노보노디스크는 지난해 비만치료제 위고비 열풍에 힘입어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를 제치고 유럽 시총 1위를 차지했다.반면 미국 화이자는 2021년 말 제약사 순위 3위에서 올해 9위로 떨어졌다. 화이자는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판매로 큰 인기를 얻었으나 비만치료제 개발에는 아직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신정은 기자

  • 글로벌 제약사 시총 5.8조달러…10년 만에 최대

    글로벌 제약사 시총 5.8조달러…10년 만에 최대

    전 세계 주요 제약사 500곳의 시가총액이 10년 만에 최대치로 치솟았다. 비만치료제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제약사에 대한 투자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13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자회사인 금융정보업체 퀵(QUICK) 팩트셋 데이터 기준 글로벌 제약사 500곳의 합계 시가총액은 5조8000억달러(약 7613조원)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말보다 7% 증가한 수치로, 10년 만에 최대치다.2019년 말 기준 4조2000억달러에 불과했던 제약사 500곳의 시가총액은 2021년 말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 대한 기대감으로 5조5000억달러까지 치솟았다.이후 리오프닝이 시작되면서 제약사 500곳의 시가총액은 2022년 말에는 5조2000억달러로 쪼그라들었다. 하지만 비만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작년부터 제약사 주가가 급등했다.비만치료제 등장으로 글로벌 제약사의 희비도 갈렸다. 전 세계 제약사 가운데 현재 시가총액 1, 2위는 비만치료제 선두 주자인 미국 일라이릴리와 덴마크 노보노디스크다.일라이릴리의 시가총액은 11일 기준 6977억달러로 작년 말보다 30%가량 상승했다. 미국 상장사 가운데는 9위다. 시총 1조달러 클럽 가입도 넘보고 있다. 노보노디스크 현재 시가총액은 5916억달러로 역시 작년 말보다 30% 올랐다. 노보노디스크는 지난해 비만치료제 위고비 열풍에 힘입어 명품기업 루이비통모엣헤네시(LVMH)를 제치고 유럽 시가총액 1위로 올라섰다.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는 2020년 말까지만 해도 시가총액 3위권에 들지 못했다. 2021년 6월 노보노디스크 위고비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처음 승인받으면서 비만치료제가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았고, 이 두회사의 시가총액은 2023년엔 오랜 기

  • 다시 뛰는 '코인 유니콘들'…두나무 시총 석달새 1.7조 불어

    다시 뛰는 '코인 유니콘들'…두나무 시총 석달새 1.7조 불어

    국내 주요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사)의 몸값이 반등하고 있다. 벤처시장 위축 영향으로 기업가치가 크게 깎인 지난해와 확연히 다른 분위기다. 기업공개(IPO) 기대가 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12일 비상장주식 거래 플랫폼인 ‘증권플러스 비상장’에 따르면 두나무는 이날 기업가치 4조5581억원(주당 13만1000원)에 거래됐다. 석 달 전인 지난해 10월 12일(2조8183억원, 주당 8만1000원) 대비 추정 시가총액이 61% 뛰었다. IPO 기대에 미국 내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승인 소식의 영향이 겹치면서 큰 폭의 반등이 이뤄졌다는 분석이다. 두나무는 국내 최대 암호화폐거래소인 업비트 운영사다.다른 암호화폐거래소 빗썸의 운영사 빗썸코리아도 이날 장외시장에서 6014억원의 기업가치로 거래돼 석 달 전(2626억원)보다 몸집이 두 배 넘게 커졌다. 두나무와 빗썸코리아는 2021년 하반기까지 기업가치가 빠르게 오르다가 2022년 암호화폐거래소인 FTX거래소 파산 등 악재를 만나며 덩치가 쪼그라들었다.암호화폐와 무관한 기업들의 몸값도 들썩이는 모양새다. 토스 운영사인 비바리퍼블리카의 이날 추정 시총은 9조1616억원. 불과 석 달 전만 해도 이 회사의 몸값은 6조7831억원이었다. 2월 상장을 앞둔 뷰티 테크 기업 에이피알의 추정 시총은 같은 기간 1조1204억원에서 2조7473억원으로 불었다. 증권플러스 비상장 관계자는 “IPO 이슈가 있는 종목을 중심으로 지난해 말부터 거래량이 크게 늘었다”며 “IPO 이후 주가 상승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공모 청약 전 장외시장에서 한발 앞서 투자하려는 수요가 몰린 것”이라고 했다.지난해 금리 인상과 벤처업계 불황 여파로 ‘거품 논란’

  • MS 시총 '깜짝' 1위…장중 2년2개월 만에 애플 제쳐

    마이크로소프트(MS)가 2년2개월 만에 애플을 제치고 미국 뉴욕증시에서 시가총액 정상을 탈환했다. 다만 주가가 등락을 거듭해 애플이 다시 1위에 오른 채 장을 마감했다.11일 오전(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MS는 주가 상승으로 시총이 2조8700억달러(약 3781조원)에 달했다. 애플은 주가가 1%가량 하락하며 MS에 시총 1위 자리를 내줬다. 2021년 11월 후 약 2년2개월 만에 처음으로 뉴욕증시 시총 1위 자리에 복귀한 순간이었다.하지만 이후 애플의 하락폭과 MS의 상승폭이 함께 감소해 애플이 다시 1위 자리에 오르며 장을 마감했다. 이날 애플은 전장보다 0.32% 하락한 185.59달러를 기록했다. MS는 전날보다 0.49% 오른 384.63달러로 장을 마쳤다. 애플 시총은 2조8900억달러, MS는 2조8600억달러다. 두 회사는 2019년 2월 4일 이후 번갈아 가며 시총 정상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MS는 최근 주가가 주춤한 애플의 시총을 추격했다. 인공지능(AI) 기술 경쟁력을 앞세워 생성형 AI 도구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분야에서 성장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MS의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는 아마존에 이어 시장점유율 2위를 차지했다.이와 함께 MS가 일찌감치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에 투자해 지분 49%를 확보하고 기술 동맹을 맺은 것이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 MS는 오픈AI의 대규모언어모델(LLM) GPT를 기반으로 생성 AI 챗봇 ‘코파일럿’을 개발해 자사 서비스에 적용했다.업계에선 MS·오픈AI 연대가 AI 시대 기술 주도권을 쥔 만큼 실적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애플도 최근 생성 AI 챗봇을 내놓는 등 관련 기술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애플은 다음달 확장현실(XR) 헤드셋 ‘비전프로’를 내놓는 등 하드웨

  • 그야말로 '엎치락뒤치락'…MS, 애플 제치고 한 때 시총 1위

    그야말로 '엎치락뒤치락'…MS, 애플 제치고 한 때 시총 1위

    마이크로소프트(MS)가 2년 2개월 만에 애플을 제치고 미국 뉴욕증시에서 시가총액 정상을 탈환했다. 다만, 주가가 등락을 거듭하면서 애플이 다시 1위에 오른 채 장을 마감했다.11일(현지시간) 오전 뉴욕증시에서 MS는 주가 상승으로 시총이 2조8700억달러(3781조원)에 달했다. 반면 애플은 오전에 주가가 1%가량 하락하면서 MS에 시총 1위 자리를 내줬다. 2021년 11월에 이어 약 2년 2개월 만에 처음으로 뉴욕증시 시총 1위 자리에 복귀한 순간이었다.하지만 이후 애플의 하락폭과, MS의 상승폭이 함께 감소하면서 애플이 다시 1위 자리에 오르며 장을 마감했다. 이날 애플은 전장보다 0.32% 하락한 185.59달러를 기록했다. MS는 전날보다 0.49% 오른 384.63달러로 장을 마쳤다. 애플의 시총은 2조8900억달러, MS는 2조8600억달러다. 두 회사는 2019년 2월 4일 이후 애플과 MS가 번갈아 가면서 시총 정상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MS은 최근 주가가 주춤한 애플의 시총을 추격해왔다. AI 기술 경쟁력을 앞세워 생성AI 도구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분야에서 성장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MS의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는 아마존에 이은 점유율 2위를 기록하고 있다.이와 함께 MS가 일찌감치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에 대한 투자를 통해 지분 49%를 확보하고, 기술 동맹을 맺은 것도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 MS는 오픈AI의 대규모언어모델(LLM) GPT를 기반으로 생성AI 챗봇 ‘코파일럿’을 개발해 자사 서비스에 탑재하고 있다.업계에선 MS-오픈AI 연대가 AI 시대의 기술 주도권을 가져간 만큼 앞으로 실적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애플도 최근 생성AI 챗봇을 내놓는 등 관련 기술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또한

  • 애플 주가, 새해 첫 거래일 '뚝'…좁혀진 시총 2위 MS와의 격차

    애플 주가, 새해 첫 거래일 '뚝'…좁혀진 시총 2위 MS와의 격차

    사진 : 최진석 특파원전 세계 시총 1위 애플의 주가가 새해 첫 거래일부터 흔들렸다. 글로벌 아이폰15 판매 부진과 중국 시장 실적 악화 우려, 법률 리스크 등 애플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나온 영향이다. 시총 2위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격차가 1000억원대 수준으로 좁혀져 두 기업 간 순위가 뒤집힐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2일(현지시간) CNBC 등에 따르면 이날 애플 주가는 이날 뉴욕 증시에서 전장 대비 3.58% 하락한 185.64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시간 외 거래에서도 소폭 하락하고 있다.이날 애플의 주가 하락은 영국계 투자은행 바클레이스가 올해 아이폰 판매 부진 전망과 함께 투자 등급을 강등한 영향을 받았다. 바클레이스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애플의 목표 주가를 기존 161달러에서 160달러로 내리고, 투자 등급도 ‘비중 축소’로 내렸다. 이 회사의 팀 롱 애널리스트는 “애플의 주력 제품인 아이폰15의 판매가 부진하다”며 “특히 중국 시장에서의 부진은 올해 하반기 출시될 아이폰16의 판매량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아이폰에 이어 애플의 두 번째 캐시카우 역할을 하는 서비스 부문 매출에 대해서도 부정적 평가를 내렸다. 올해 구글 트래픽획득비용(TAC)에 대한 첫 판결이 나올 수 있으며, 이것이 애플의 수익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앞서 지난해 미국 법무부가 구글을 상대로 제기한 반독점 소송에서 구글 측이 애플 기기에 구글 검색엔진을 기본으로 탑재하기 위해 검색 광고 수익의 36%를 애플에 지급해 온 사실이 드러났다. 올해 이에 대한 판결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구글은 최근 인기게임 포트나이트 개발사인 에픽게임즈가 제기한 안드로이드 모바일

  • 4개월 만에…애플 시총 3조달러 회복

    애플 시가총액이 5일(현지시간) 4개월 만에 3조달러(약 3900조원)를 회복했다. 이날 미국 뉴욕증시에서 애플은 전거래일보다 2.11% 오른 193.4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시가총액은 3조80억달러로 집계됐다. 애플은 지난 6월 30일 사상 처음으로 시총 3조달러를 넘겼다. 그러나 8월 초 중국 정부가 공무원을 대상으로 아이폰 사용을 금지했다는 보도가 나오는 등 중국 매출 우려로 시총은 다시 2조달러대로 떨어졌다. 10월 마감된 애플의 2023회계연도 총매출은 전년 대비 3% 감소한 3832억9000만달러로 집계됐다. 2019년 이후 첫 번째 역성장이다. 월가는 아이폰 생산협력업체 폭스콘의 호실적 등을 바탕으로 애플이 올 연말부터 매출을 회복할 것으로 보고 있다. 폭스콘은 이날 지난달 매출이 6500억대만달러(약 27조1000억원)로 전년 동월 대비 18%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폭스콘은 성명을 통해 올 4분기 첫 2개월(10~11월) 매출이 예상보다 많았다며 4분기 전망이 기존 가이던스보다 좋다고 밝혔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애플 2024회계연도 1분기(10~12월) 매출을 1179억달러로 전망했다. 이는 2021년 이후 최고 분기 매출이다. CNBC는 “투자자들은 애플을 성장 둔화, 중국 시장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상당한 현금 흐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제품, 강력한 주주 환원 프로그램을 갖춘 요새와 같은 회사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

  • 개미 짝사랑…에코프로머티, 시총 3배 껑충

    개미 짝사랑…에코프로머티, 시총 3배 껑충

    에코프로그룹의 ‘막내’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시가총액 규모가 상장 7거래일 만에 3배 넘게 커졌다. 2차전지 관련 신규 종목이 등장하면서 개인투자자 매수세가 몰린 결과다. 시총이 급증하면서 코스피200 특례편입 기대 역시 커지고 있다. 상장 7거래일 만에 시총 3배27일 에코프로머티는 25.7% 오른 12만4600원에 장을 마쳤다. 이날 기준 시총은 8조5011억원이다. 상장한 지 7거래일 만에 공모가 기준 시총인 2조4698억원에서 3.4배 이상 늘어났다. 상장 당일에만 58.01% 오른 뒤 20일, 21일 이틀 연속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에코프로머티의 상승세는 개인투자자가 이끌고 있다. 개인투자자는 지난 17일부터 이날까지 2223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기관이 1443억원, 외국인이 883억원어치를 순매도한 것과 대비된다. 2차전지 개인 수급이 에코프로머티로 쏠렸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17일부터 이날까지 개인 순매수 1위는 에코프로머티였다. 같은 기간 개인은 에코프로를 392억원, 금양은 519억원, 포스코홀딩스를 121억원어치가량 순매도했다. 유동주식 비율이 16.02%에 그쳐 거래 물량이 다른 종목 대비 부족하다는 점도 주가가 급등한 원인으로 꼽힌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신규 상장한 종목이니 아직 매수 우위가 강한 데다 유동주식 비율도 낮아 변동성이 더욱 커진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시총이 급증하면서 코스피200에 특례 편입될 것이란 기대도 커지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15거래일간 하루 평균 시총이 유가증권시장 보통주 중 상위 50위에 머무르면 코스피200에 편입될 수 있다. 코스피200에 신규 편입될 경우 해당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펀드 자금이 유입

  • 유럽, ESG 공시의무 5만개社로 확대

    내년부터 유럽 소재 기업 5만 개 이상을 대상으로 ESG(사회·환경·책임) 공시 기준이 강화된다. 유럽에 자회사를 둔 다국적기업에까지 적용 범위가 확대된 만큼 한국 기업에도 불똥이 튈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유럽 의회는 내년부터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CSRD)’을 도입한다는 결의안을 18일(현지시간) 통과시켰다. CSRD는 유럽에서 활동하는 기업이 지역에 미치는 환경·사회적 영향을 공시하도록 하는 지침이다. 공시 기준은 유럽 의회가 지난 7월 승인한 유럽 지속가능성 보고기준(ESRD)에 따른다. 해당 기업은 물 사용, 공해 오염, 지역 사회 영향 등을 구체적으로 보고해야 한다. CSRD는 유럽 내 ESG 공시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는 여론이 제기되면서 2021년 처음으로 입안됐다. CSRD가 도입되면 기존 유럽연합(EU)의 ESG 공시 기준인 비재무정보공개지침(NFRD)보다 적용 대상이 더 늘어난다. 글로벌 컨설팅그룹 프라이스워터스쿠퍼스(PwC)에 따르면 CSRD 도입으로 ESG 정보를 공시해야 하는 기업은 기존의 네 배인 약 5만 개로 확대된다. NFRD는 EU 증시 상장사에만 적용되는 반면 CSRD는 EU에 자회사를 두고 있는 기업에까지 적용 대상을 넓혀서다. EU는 내년부터 기업 규모에 따라 공시 대상 기업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NFRD에 따라 공시하고 있는 기업은 2024회계연도부터 CSRD를 도입해야 한다. 2025회계연도부터는 △총자산 2000만유로 △총매출 4000만유로 △연간 평균 직원 수 250명 중 두 가지 이상 조건에 해당하는 기업으로 적용 대상이 확장된다. 2026회계연도에는 상장 중소기업, 신용기관, 보험회사 등도 CSRD를 따라야 한다. 한국 기업들도 CSRD의 영향을 직접 받을 것으로 보인다. PwC에 따르면 한국 증시에

  • "내가 2차전지 간판"…포스코그룹株 120%↑

    "내가 2차전지 간판"…포스코그룹株 120%↑

    국내 간판그룹 중 올해 기업가치가 가장 많이 오른 곳은 포스코그룹으로 조사됐다. 18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올 들어 이달 13일까지 상위 30대 기업 집단 상장사 216곳의 시가총액을 조사한 결과 계열사 시가총액이 많이 증가한 그룹은 포스코그룹으로 집계됐다. 포스코그룹 계열 6개 상장사(포스코홀딩스·포스코퓨처엠·포스코인터내셔널·포스코DX·포스코스틸리온·포스코엠텍)의 시가총액 합산액은 연초 41조9387억원에서 지난 13일 92조3285억원으로 50조3898억원(120.2%) 불어났다. 늘어난 시가총액은 △포스코홀딩스(20조2791억원) △포스코퓨처엠(12조1230억원) △포스코인터내셔널(9조1923억원) 등 계열사 세 곳에서 대부분 나왔다. 포스코그룹이 오랜 기간 준비해온 2차전지 사업 성장성이 재평가받았다는 분석이다. 두 번째로 시총이 많이 증가한 곳은 LS그룹이었다. LS그룹 계열 상장사 7곳의 시총 합산액은 연초 4조8265억원에서 지난 13일 6조9237억원으로 43.5% 증가했다. 3위는 한화그룹이 차지했다. 한화오션 인수와 한화갤러리아의 상장으로 계열 상장사가 8곳에서 10곳으로 두 곳 증가하면서 그룹 시총이 5조8255억원(30.5%) 늘었다. 4위는 계열사 시총 합산액이 30.4% 늘어난 SK그룹이다. 현대차(21.6%), 농협(18.6%), 효성(14.0%), 삼성(13.6%) 등 그룹이 뒤를 이었다. 반면 카카오(-13.9%), SM(-15.8%), DL(-17.3%), 신세계(-21.4%) 등 그룹 계열사 시총은 하락했다. 시총이 가장 많이 하락한 그룹은 CJ로 연초 대비 4조4620억원(-27.1%) 줄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

  • 포스코그룹 시총 2배 넘게 뛰었다…CJ 그룹은 -27% '울상'

    포스코그룹 시총 2배 넘게 뛰었다…CJ 그룹은 -27% '울상'

    증시에 2차전지 열풍이 불면서 포스코그룹과 LS그룹의 시가총액이 올해 들어 각각 120%, 43%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상증자 및 재무구조 문제가 불거진 CJ그룹은 올해 시가총액이 27% 넘게 감소했다. 18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상위 30대 기업 그룹 상장사 216개사의 시가총액 변화를 조사한 결과, 가장 시가총액이 많이 증가한 기업 그룹은 포스코그룹으로 나타났다. 포스코그룹 6개 상장사(POSCO홀딩스·포스코퓨처엠·포스코인터내셔널·포스코DX·포스코스틸리온)들의 시가총액 합산액은 연초 41조9387억원에서 지난 13일 기준 92조3285억원으로 120.2% 증가했다. 포스코그룹의 2차전지 사업이 부각되면서 시총이 크게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시가총액 증가액의 대부분은 포스코홀딩스(20조2791억원), 포스코퓨처엠(12조1230억원), 포스코인터내셔널(9조1923억원) 등 3사가 담당했다. 그룹의 IT 계열사인 포스코DX는 유가증권시장 이전 상장 계획을 밝히면서 시총이 연초 9247억원에서 지난 13일 8조6811억원으로 836.1% 넘게 뛰었다. 포스코그룹은 시총이 크게 늘면서 카카오 그룹을 제치고 국내 대기업 그룹 시총 5위에 올랐다. 카카오 그룹은 시총 합산액이 연초 49조2946억원에서 지난 13일 42조4397억원까지 줄며 6위로 내려왔다. 시총 증가율 2위는 LS그룹이다. LS그룹 내 상장사 7개사(LS·LS네트웍스·LS일렉트릭·LS마린솔루션·LS전선아시아·E1·예스코홀딩스)의 시총 합산액은 연초 4조8265억 원에서 지난 13일 6조9237억 원으로 43.5%의 증가율을 보였다. LS그룹도 지난 6월 전구체 사업에 본격 진출하며 2차전지 열풍의 수혜를 누렸다. 그룹 지주사인 LS 시총은 연초 2조1670억원이었으나 지난 13일 2조9173억원으

  • "중국 공무원 아이폰 쓰지 말라"…애플 253조 증발 '날벼락'

    "중국 공무원 아이폰 쓰지 말라"…애플 253조 증발 '날벼락'

    애플 시가총액이 이틀 만에 1900억달러(약 253조원) 증발했다. 중국 정부가 공무원들에게 내린 아이폰 금지 조치를 국유기업과 정부 지원 기관 등으로 광범위하게 확대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온 여파다. 중국의 규제가 미국 빅테크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에 7일(현지시간) 미 기술주들은 일제히 하락했다.◆“中 공무원 다 못쓰면 아이폰 판매 5% 감소 전망”이날 뉴욕증시에서 애플 주가는 전일 대비 5.35달러(2.92%) 하락한 177.56달러에 마감했다. 중국의 공무원 아이폰 금지 보도가 처음 나온 전날 3.58% 급락한 데 이어 이날도 조정받았다. 이틀간 주가가 6.4% 떨어지면서 애플 시가총액은 1897억달러 날아갔다. 중국 정부가 아이폰 사용 금지 조치를 공공 영역 전반으로 확대할 수 있다는 블룸버그 보도가 주가를 끌어내렸다. 앞서 6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 정부가 공무원들에게 아이폰을 포함한 외국산 기기를 업무용으로 쓰거나 사무실에 가져오지 말라는 지침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7일 블룸버그는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이 아이폰 등 금지 조치를 국영기업과 정부가 지원 및 통제하는 공공기관으로 확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보도가 나온 후 애플 주가는 개장 전부터 하락세를 그렸다. 중국에서 아이폰 사용 금지 조치가 확대될수록 애플은 직격탄을 맞는다. 애플은 중국의 하이엔드 스마트폰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전체 매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기준 19%다. 번스타인의 토니 사코나기 애널리스트는 메모를 통해 “중국이 모든 공무원들로 금지 조치를 확대할 경우 중국의 아이폰 판매가 5%까지 감소할 수 있다”며 “공산당의 아이폰 금지가 일반 시민들에게 ‘중국 회사들이 만

  • POSCO홀딩스 10% 급등…현대차 시총 제쳤다

    POSCO홀딩스 10% 급등…현대차 시총 제쳤다

    포스코그룹의 지주회사인 POSCO홀딩스 시가총액이 현대차보다 많아졌다. 철강 회사에서 2차전지 소재기업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이 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21일 POSCO홀딩스는 10.75% 상승한 55만1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달 들어서만 42% 올랐다. POSCO홀딩스의 시가총액은 이날 종가 기준 46조2604억원이었다. 현대차(42조1793억원)를 제치고 시가총액 7위(우선주 제외)에 올랐다. POSCO홀딩스의 시가총액 순위가 현대차보다 높아진 것은 2011년 3월 28일 이후 12년 4개월만이다. 포스코그룹의 2차전지 핵심 계열사이자 양극재 제조사인 포스코퓨처엠은 이날 5.60% 오른 49만500원에 마감했다. 포스코퓨처엠 시가총액은 37조9182억원으로 에코프로비엠(37조2623억원), 기아(33조8521억원) 등을 제치고 9위가 됐다. 증권가에서는 글로벌 투자은행인 맥쿼리증권이 이날 POSCO홀딩스와 포스코퓨처엠의 목표주가를 각각 60만원으로 제시한 게 주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 나왔다. 맥쿼리증권은 "POSCO홀딩스는 철강 제조사에서 선도적인 친환경 미래 소재 공급자로 성공적 변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포스코그룹은 지난 11일 2차전지 핵심 원료부터 소재까지 생산하는 밸류체인(가치사슬)을 구축하겠다고 발표했다. 2030년까지 2차전지 소재 분야에서 62조원의 매출을 올리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지난해 발표한 목표치(41조원)보다 51% 증가했다. 포스코퓨처엠은 2030년 양극재 부문에서 36조2000억원의 매출을 거둬 국내 최대 양극재 업체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정했다. 유진투자증권은 POSCO홀딩스가 올해 5조426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릴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4조8500억원보다 7% 증가한 수치다. 내년에는 6조9180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