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마켓인사이트]신라젠, 임직원 30명에 스톡옵션 부여

    코스닥 시가총액 2위 바이오기업 신라젠이 임직원 30명에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을 부여한다. 주식시장에선 임직원들이 또 한 번 주가 상승에 힘입어 스톡옵션 '잭팟'을 터뜨릴지 주목하고 있다.신라젠은 오는 27일 열리는 정기 주주총회에서 회사 및 관계회사 임직원 30명을 상대로 총 29만주 규모의 스톡옵션을 부여하는 안건을 올린다고 6일 공시했다. 스톡옵션을 받는 임직원들은 2021년 3월5일부터 2028년 3월4일까지 한 주당 7만3500원에 신라젠 주식을 사들일 수 있다. 이날 종가(7만6900원)보다 3400원 낮은 가격이다.신라젠은 2006년 설립된 바이오기업으로 유전자 재조합으로 만든 바이러스를 활용해 항암치료제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현재 우두 바이러스 유전자를 제조합해 만든 항암치료제 ‘펙사벡’이 이 회사의 주력 제품이다. 펙사벡은 2015년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글로벌 임상 3상 허가를 받았다. 지금까지 미국, 중국 등 전 세계 20여개국에서 600여명의 간암 환자를 상대로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다.신라젠은 독자적인 기술력을 인정받아 2016년 기술특례를 통해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상장 직후 별다른 움직임이 없던 이 회사 주가는 이듬해인 2017년 하반기부터 ‘바이오 열풍’을 타고 큰 폭으로 뛰기 시작했다. 2018년 초 공모가(1만5000원)보다 7배 이상 높은 11만5000원(1월23일 종가 기준)까지 치솟았다. 이 덕분에 상장 전 이 회사에 투자했던 기관투자가들과 스톡옵션을 받은 임직원들이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며 투자금을 회수하는 데 성공했다. 신라젠은 이번을 포함해 2016년부터 총 임직원 138명을 상대로 393만주 규모의 스톡옵션을 제공했다. 이 중 스톡옵

  • 스톡옵션 늘리는 SKT, 부여 대상 임원 확대

    ≪이 기사는 02월25일(09:45)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SK텔레콤이 핵심 임원들을 상대로 한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 부여를 늘리고 있다. 임직원 성과·보상을 기업가치와 강력하게 연결시키는 기업문화를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SK텔레콤은 25일 하성호 SK텔레콤 CR센터장(1369주), 하형일 코퍼레이션디벨롭먼트 부문장(1564주), 박진효 ICT기술센터장(1300주), 윤풍영 코퍼레이트센터장(1244주)을 상대로 회사 주식 총 5477주를 사들일 권리를 부여했다고 공시했다. 이들은 2021년 2월23일부터 2024년 2월22일까지 한 주당 26만5260원에 SK텔레콤 주식을 매입할 수 있다. 지난 22일 종가(26만1000원) 대비 1.6%가량 높은 가격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핵심 임원의 책임경영과 동기부여를 강화함으로써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 이들 임원에게 스톡옵션을 부여했다”고 설명했다.SK텔레콤은 2년 전 임직원 스톡옵션 한도를 기존보다 50배 늘리면서 경영진의 성과 목표와 보상 체계를 기업가치와 강하게 연계시켰다. 이 회사는 2017년 3월 박정호 사장에게 6만6504주 규모 스톡옵션을 부여한 것을 시작으로 대상자를 늘려가고 있다. 지난해엔 서성원 MNO사업부장(2755주), 이상호 서비스플랫폼사업부장(1594주), 유영상 코퍼레이트센터장(1358주) 등이 스톡옵션을 받았다. 이번에 부여한 것까지 합하면 지금까지 총 7만7688만주가 스톡옵션으로 제공됐다. 전체 발행주식의 0.007% 규모 물량이다.SK텔레콤은 다음달 26일로 예정된 주주총회에서 스톡옵션 부여 안건과 함께 김석동 전 금융위원장을 사외이사로 선임하는 안건을 다룰 예정이다. 재정경제부 출신인 김 전 원장은 2011년부터

  • [마켓인사이트] 새내기株 네오펙트 직원들 스톡옵션 '대박'

    [마켓인사이트] 새내기株 네오펙트 직원들 스톡옵션 '대박'

    ▶마켓인사이트 1월10일 오후 4시5분코스닥시장 새내기주인 의료기기 업체 네오펙트 직원들이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 행사로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현재 주가의 절반도 채 안 되는 가격에 주식을 사들여 큰 차익을 거둘 수 있게 돼서다. 일부 직원은 600%가 넘는 수익률을 기록했을 정도다.네오펙트는 지난해 11월29일부터 지난 9일까지 스톡옵션을 행사한 직원들에게 신주 15만5000주를 교부했다. 스톡옵션 행사가격은 주당 940원, 2680원, 3592원 등이다.10일 이 회사 종가가 7430원인 것을 고려하면 상당히 낮은 가격에 주식을 매입한 셈이다. 네오펙트는 이들을 포함한 몇몇 임직원한테 2016년 2월(31만 주)과 8월(5만2500주) 스톡옵션을 각각 부여했다.직원들은 이번 스톡옵션 행사로 상당한 차익을 거두게 됐다. 스톡옵션 행사 시점을 기준으로 추산한 수익률은 낮게는 107.4%, 높게는 692.5%에 달한다. 지난해 11월30일 스톡옵션을 행사한 직원 두 명이 최고 수익률을 기록했다. 940원에 주식을 살 수 있었던 이들 직원은 네오펙트 주가가 7450원일 때 스톡옵션을 행사해 총 5만5000주를 매입했다.네오펙트는 2010년 설립된 의료기기업체로 뇌졸중, 치매, 뇌성마비, 루게릭 등 신경계 질환에 따른 운동장애와 인지장애를 치료하는 인공지능(AI)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환자가 집에서 재활치료를 할 수 있는 B2C(기업 대 개인) 분야에 주력하고 있다. 2017년 글로벌 재활로봇 의료기기 시장에서 2%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 회사는 기술력을 인정받아 지난해 11월28일 기술상장특례를 통해 공모가 1만1000원으로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JYP엔터 임직원, 스톡옵션 행사로 '짭짤한' 수익

    [마켓인사이트] JYP엔터 임직원, 스톡옵션 행사로 '짭짤한' 수익

    ▶마켓인사이트 9월14일 오후 3시41분엔터테인먼트 기업 주가가 크게 오르면서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 행사로 짭짤한 수익을 올리는 임직원이 잇따르고 있다. 올 들어 주가가 급등한 JYP엔터테인먼트 임직원이 가장 큰 수혜자로 꼽힌다.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조해성 JYP엔터 부사장은 지난 11일 5336주의 스톡옵션을 행사했다.행사 가격은 한 주당 5586원으로 JYP엔터의 이날 종가(3만4800원)와 비교하면 주당 2만9214원의 차익이 생긴다. 조 부사장이 5336주를 시장에 내다팔 경우 총 1억5600만원의 차익을 얻을 수 있는 셈이다. 정욱 JYP엔터 대표는 지난 7월 2만9896주의 스톡옵션(주당 행사가액 5231원)을 행사해 이날 주가 기준으로 8억8000만원대 평가 차익을 누렸다.현재 행사 가능한 스톡옵션을 부여한 시기인 2016년 6월(수량 27만5000주·행사가격 5586원)과 2013년 6월(수량 3만9504주·행사가격 4739원)만 해도 JYP엔터 주가는 4000~6000원대를 오갔다. 그러나 소속 걸그룹 ‘트와이스’ 등의 인기에 힘입어 이 회사 주가는 올 들어서만 2.5배 이상 뛰었다.SM엔터테인먼트 주가도 스톡옵션 차익을 기대해도 좋을 만큼 올랐다. SM엔터가 임직원에게 부여한 스톡옵션 중 △2015년 4월 부여한 스톡옵션 7000주(행사가격 3만5594원) △2015년 3월 스톡옵션 63만 주(3만5587원)가 행사 가능하다. SM엔터의 이날 종가(4만9000원)를 감안하면 한 주당 1만원 이상의 평가차익이 난다.반면 YG엔터테인먼트의 주가(이날 종가 4만3600원)는 스톡옵션 행사 가액보다 낮아 실익이 없는 상태다. 현재 행사 가능한 YG엔터의 스톡옵션은 2014년 3월과 그해 8월 부여한 33만200주(행사 가격 4만6351원)와 1만3000주(4만7130원)다.이고운 기자

  • 네오위즈, 임직원 5명에 스톡옵션 6만주 부여

    ≪이 기사는 03월23일(17:1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게임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인 네오위즈가 임원들한테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을 부여했다.네오위즈는 23일 문지수·김승철·이기원·오은석 이사와 김인권씨에 총 6만주 규모의 스톡옵션을 줬다고 이날 공시했다. 문 이사가 가장 많은 3만주, 김 이사가 그 다음으로 많은 1만5000주를 매수할 권리를 부여받았다. 나머지 세 명이 받은 스톡옵션 규모는 각각 5000주씩이다.스톡옵션 행사가격은 한 주당 1만5700원으로 이날 종가인 1만5800원보다 100원 싸다. 이들은 2020년 3월23일부터 2025년 3월22일까지 이 가격에 회사 주식을 매입할 수 있다. 네오위즈는 2007년 설립된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로 경기도 성남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1740억원으로 전년 대비 8.9%, 영업이익은 109억원으로 53.6% 감소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