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리츠證 주가 4% 급등…1분기 ‘깜짝실적’
메리츠증권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 2824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 금리 상승으로 다른 증권사들이 일제히 ‘어닝쇼크’를 낸 것과 대비된다.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가 호실적의 배경이다. 2일 메리츠증권은 1분기 당기순이익(연결기준)이 28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4%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같은기간 매출은 10조8235억원으로 123.7% 늘었다. 영업이익도 3769억원으로 32.4% 증가했다. 순이익과 영업이익 모두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이다. 금리 상승에 대비해 신흥국 채권, 여신전문금융회사채 등 고위험 채권 비중을 줄여 채권운용에서 흑자를 달성한 것이 ‘깜짝실적’의 배경으로 꼽힌다. 증권사들은 대형사 기준 자기자본 20조원 내외를 채권에 투자한다. 메리츠증권의 채권 투자 규모는 17~18조원이다. 다른 증권사들은 올해 1분기 채권운용 평가손실과 수수료 수입 감소로 ‘어닝쇼크’를 내고 있다. NH투자증권의 1분기 순이익은 1023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60.3% 감소했다. KB증권과 신한금융투자 순이익도 각 1159억원, 1045억원으로 각 47.9%, 37.8% 줄었다. 미래에셋, 한국투자, 삼성증권 등은 아직 실적을 발표하지 않았다. 금리 상승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던 것은 본부 단위로 존재하던 리스크 관리 기능을 하나의 본부로 합치면서다. 장원재 세일즈앤트레이딩(S&T) 부문장이 2020년 12월 취임하면서 리스크관리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았다. 장 부문장은 취임전 메리츠화재에서 리스크관리팀장을 지낸 ‘위험관리 전문가’다.일회성 이익도 보탬이 됐다. 메리츠증권은 한 비상장사 투자 회수로 900억원 가량의 수익을 거뒀
-
하락장서 15% 수익이라니…'역주행 3인방' 뭘 담았나
다올KTBVIP스타셀렉션, 한국투자중소밸류, 에셋플러스알파로보코리아인컴.이들 세개 펀드는 공통점이 있다. 하락장에서도 두자릿수 수익을 낸다는 점이다. 약세장이 이어지면서 이들 펀드의 편입 종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18일 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에 따르면 다올KTBVIP스타셀렉션펀드는 최근 1년 14.24% 수익률로 액티브주식형펀드 1위를 기록했다. 2~3위는 한국투자중소밸류(14.1%)와 에셋플러스알파로보코리아인컴(10.7%)으로 집계됐다. 이들 펀드는 액티브주식형 펀드 가운데 유일하게 10%가 넘는 수익을 냈다. 최근 1년간 국내 주식형펀드가 평균 12.9%의 손실을 낸 것과 대비된다. 다올KTBVIP스타셀렉션은 성장주로 변신하는 가치주에 주로 투자한다. 편입 상위 종목은 한솔케미칼(비중 8.97%), 엘앤씨바이오(8.35%), 메리츠금융지주(8.15%), SKC(6.93%), 솔루엠(6.64%) 순이다. 한솔케미칼은 이 펀드가 어떤 스타일을 구사하는지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한솔케미칼은 반도체에서 벌어들이는 현금을 바탕으로 2차전지 소재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한국투자중소밸류는 고배당 중소형주에 투자한다. 최근 해운, 철강, 식품 관련주가 급등하면서 수익률이 높아졌다. 주요 편입 종목은 KSS해운(7.24%), 팜스코(6.49%), 두올(6.24%), 와이더플래닛(4.37%), 한국철강(3.37%)이다. 이 펀드는 80~100개의 종목에 분산 투자해 위험을 관리한다. 일부 종목의 비중이 높아졌지만 원칙적으로 개별 종목의 비중을 2% 내로 관리한다. 에셋플러스알파로보코리아인컴은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운용되는 로보펀드다. 머신러닝 기술로 재무제표를 분석해 싼 기업을 추려낸다. 펀드매니저의 주관은 개입되지 않는다. 편입 1위 종목은
-
메리츠금융지주, 영구채 1500억원 수요예측 흥행
메리츠금융지주가 신종자본증권(영구채) 발행을 위한 수요예측에서 발행 예정규모 이상의 투자를 끌어모았다.1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메리츠금융지주는 5년 만기 콜옵션부 영구채 1500억 원 규모의 발행을 앞두고 실시한 수요예측에서 1760억원의 주문을 받았다.메리츠금융이 희망금리로 제시한 연 4.8% 수준에서 발행금리가 정해질 전망이다. 메리츠금융지주 신종자본증권의 신용등급은 선순위 회사채 신용등급 AA보다 두 단계 낮은 A+등급이다. 메리츠금융이 당초 검토했던 2000억원 규모의 증액은 어려울 전망이다. 무난하게 투자수요를 이끌어낸 것은 지난해 메리츠화재가 역대 최대인 663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는 등 핵심 계열사들의 실적이 호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올들어 주가도 대폭 상승했다. 메리츠금융의 이번 영구채로 발행은 자본적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메리츠금융은 "작년 3분기 기준 이중레버리지비율이 별도기준 118.4%로 재무구조 안정성 2등급 하한인 130% 수준에 근접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메리츠금융은 지난해 9월에도 150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다.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
메리츠금융지주, 차환용 회사채 투자유치 성공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7월30일(15:1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메리츠금융지주가 회사채 수요예측(사전청약)에서 모집 예정액 1000억원의 4배 이상인 4100억원의 주문을 받았다. 올 들어 두 번째 공모 회사채 발행이다.3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메리츠금융지주가 전날 3년 만기 무보증 회사채 1000억원 모집을 예정하고 4100억원의 자금을 받았다. 개별민평금리보다 0.05%포인트 낮은 수준에서 발행물량이 채워졌다. 메리츠금융지주의 개별민평금리가 같은 신용등급 AA급의 3년 만기 회사채들의 평균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 투자자들이 대거 몰린 것으로 보인다. 메리츠금융지주는 다음달 6일 회사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회사채로 마련한 자금은 만기기 돌아오는 기존 회사채 상환에 쓸 예정이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
메리츠금융지주 회사채 수요예측에 4000억원 넘게 몰려
≪이 기사는 04월15일(18:1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메리츠금융지주가 발행하는 회사채에 4000억원이 넘는 매수 주문이 몰렸다. 모집액의 4배가 넘는 금액이다. 1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메리츠금융지주가 10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하기 위해 이날 기관 투자가를 상대로 진행한 수요예측(사전청약)에 4300억원의 매수 주문이 들어왔다. 만기는 3년, 신용등급은 AA다. NH투자증권이 발행을 주관했다. 메리츠금융지주는 메리츠화재, 메리츠증권 등이 속한 메리츠금융그룹의 지주회사다. 이들 핵심 자회사들이 사업 경쟁력이 우수하고, 메리츠지주는 브랜드 사용료와 배당수익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마련해 놓고 있어 채권 투자자들에게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는 설명이다. 메리츠금융지주의 지난해 연결 순이익은 9253억원으로 17.6% 늘었다. 부채비율은 26.9%에 불과하다. 메리츠금융지주는 조달한 자금을 계열사 지원 등 운영자금으로 쓰기로 했다. 코로나19로 업황 불확실성이 큰 만큼 선제적으로 자금을 마련해놓겠다는 뜻이다. 회사 관계자는 “실제 자금이 쓰이기 전까지는 예금과 같은 안정적인 단기 금융상품에 예치해 둘 것”이라고 말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
[단독]한화건설 회사채 수요예측 주문 ‘제로’ 쇼크 ‥회사채 시장 양극화 ‘극심’
≪이 기사는 05월22일(16:2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잠시 안정세를 보였던 회사채시장에 대규모 미매각 사태가 잇따르고 있다. 이번주에만 메리츠금융지주, 현대건설기계, 한화건설이 연이어 채권 투자수요를 모으는 데 실패했다. 정부의 지원사격에도 ‘AA-’등급 미만 회사채 시장엔 여전히 냉기가 가득하다는 평가다.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한화건설(신용등급 A-)이 1000억원 규모 회사채 발행을 위해 이날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진행한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매수 주문이 아예 들어오지 않았다. 최근 건설업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실적 부진에 시달리자 투자자들이 극도로 몸을 사린 결과다. 이에 따라 인수단으로 참여한 산업은행이 400억원을 인수하고, 나머지 600억원은 발행 주관과 인수를 맡은 증권사들이 나눠 떠안기로 했다. 사흘 연속 대량의 회사채가 팔리지 않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메리츠금융지주가 20일 700억원어치 영구채(신종자본증권) 발행을 위해 진행한 수요예측에 110억원의 매수주문만 들어온 데 이어 21일엔 현대건설기계가 회사채 대부분을 팔지 못했다. 모집액인 1500억원의 3% 수준인 50억원의 수요만 모으는 데 그쳤다. 두 회사 모두 평소보다 금리를 대폭 높였음에도 투자자들의 관심을 잡지 못했다.정부 지원으로 회사채시장 분위기가 조금씩 풀리면서 큰 고비는 넘겼지만 여전히 A급(신용등급 A-~A+) 이하 채권발행시장 분위기는 싸늘하다는 평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대유행(팬데믹) 국면으로 치달은 지난 3월 이후 나온 A급 이하 회사채의 청약 경쟁률이 대부분 2대1에
-
메리츠금융지주, 회사채 투자수요 모두 확보
이 기사는 07월20일(09:0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8개월 만에 회사채 발행에 나선 메리츠금융지주가 투자 수요를 모두 확보했다. 2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메리츠금융지주가 5년 만기 회사채 1000억원어치를 발행하기 위해 전날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벌인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1500억원의 매수주문이 들어왔다. NH투자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았다. 꾸준한 성장세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여러 기관들이 투자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메리츠금융지주는 메리츠화재, 메리츠종한금융증권, 메리츠자산운용 등 자회사들의 성장에 힘입어 2013년부터 매년 매출과 이익을 크게 늘리고 있다. 올 1분기 매출은 3조386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영업이익은 2696억원으로 93.1% 증가했다. 자기자본이익률(ROE)도 16.9%로 꾸준히 두 자릿수를 유지하고 있다. 이 회사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2014년 발행했던 1000억원 규모 회사채를 상환하는데 사용할 계획이다. 무난히 투자금 모집에 성공하면서 이전보다 자금조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번 회사채의 예상 발행금리는 시가평가 금리보다 0.1%포인트 높은 2.762%(19일 기준) 수준이다. 3년 전 발행한 3년 만기 회사채의 발행금리는 2.815%였다. 메리츠금융지주의 신용등급은 10개 투자등급 중 세 번째로 높은 ‘AA(안정적)’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