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슈퍼개미가 찜한 양지사…주가 '어질어질'
이른바 ‘슈퍼개미’가 회사 측에 무상증자를 요구해 화제를 모았던 코스닥시장 상장사 양지사 주가가 다시 요동치고 있다. 슈퍼개미의 지분 매입으로 유통주식 수가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품절주’ 특성상 주요 주주의 지분 매각 시 주가 급락이 예상되기 때문에 투자자의 주의가 요구된다.21일 양지사는 12.95% 급락한 4만1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3만6350원까지 밀렸다가 5만8700원까지 급등한 뒤 다시 하락하는 등 주가 변동이 극심했다. 전날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되면서 이날 오전 차익실현 매물이 대거 쏟아졌다. 오후 들어 일부 투자자가 다시 매집에 나서면서 급등락이 반복됐다. 양지사는 이달에만 주가가 139.01% 상승했다.양지사 주가가 널뛰기하는 이유는 슈퍼개미로 불리는 개인투자자의 지분 매입 때문이다. 지난 7월 개인투자자 김대용 씨는 이 회사 지분 5.25%인 83만9188주를 사들였다. 이후 8월 김씨 친척 나현석 씨가 지분 0.16%를 매입했다. 양지사는 이배구 회장과 두 아들이 전체 주식 중 75.53%를 보유하고 있다. 양지사의 자사주 물량 등을 제외하면 전체 주식 중 5.02%만 유통 가능한 물량으로 남아 있다.주가가 급등하면서 이 회사의 시가총액 역시 덩달아 ‘뻥튀기’되고 있다. 양지사의 연간 매출(2020년 7월~2021년 6월)은 444억원 수준에 불과하지만, 시가총액은 이날 기준 6552억원에 달한다. 한 해 매출만 1조3001억원에 달하는 서울반도체의 시가총액(6530억원)과 비슷하다.양지사 주가가 급등하면서 슈퍼개미 김씨의 수익률도 급등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씨는 104억원어치의 주식을 사들였다. 시세차익은 240억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김씨는 코스닥 상장사 신진에
-
아이마켓코리아, 미국 텍사스 6만평 부지 매입 계약 체결
국내 최대 소모성 자재 구매대행(MRO)업체 아이마켓코리아는 미국 텍사스 테일러에 약 6만평(약 19만8347㎡) 규모의 부지 매입 계약을 체결했다. 미국 진출을 위한 이번 계약은 테일러 인근 반도체 공장 수요가 많다는 데 착안해 이뤄졌다. 회사측에 따르면 테슬라, 인텔, 휴렛팩커드(HP), 델 테크놀로지 등 유명 기업들의 물류센터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이번 매입을 추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마켓코리아는 측량, 지질조사, 환경 및 교통 영향 평가 등을 마쳤다. 2023년 4분기 완공을 목표로 약 1만5000평(4만9586㎡) 규모의 물류센터를 설립할 계획이다.아이마켓코리아 관계자는 "미국 텍사스 테일러 시에서 물류센터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하고 부지를 찾은 것"이라며 "향후 텍사스 지역에 신규 투자 및 진출을 계획하는 현지기업 및 글로벌 기업들에게 효과적인 물류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
마스턴투자운용, 로지스포인트 동탄물류센터 2200억원에 매각 완료
마스턴투자운용이 로지스포인트 동탄 물류센터를 2200억원에 매각하는 데 성공했다.2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페블스톤자산운용은 화성시 동탄에 위치한 연면적 7만5400㎡(약 2만2808평) 규모의 로지스포인트 동탄 물류센터를 2200억원에 매입 완료했다.최근 기준금리 인상과 시장 변동성 확대 등으로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위축되고 있지만, 대상 자산이 올해 5월 준공한 100% 저온물류센터라는 점, 수도권에 위치한 지리적 장점 등의 이유로 매각이 빠르게 진행됐다는 게 관계자들의 전언이다.이 물류센터는 마스턴투자운용이 2019년 부지를 매입한 뒤 물류센터로 용도변경 인허가를 받아 올해 5월 준공한 자산이다. 지하 2층부터 지상 4층까지로 구성됐다. 지하 2층부터 3층까지는 저온창고, 4층은 상온창고로 이뤄졌다.이곳은 동탄 인근에 위치해 물류센터 핵심 요건인 접근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경부고속도로에서도 가까워 배송에도 유리하다. 마스턴투자운용은 부동산전문 자산운용사로, 그동안 수십 곳의 물류센터에 적극적으로 투자해왔다.IB업계 관계자는 "여러 물류센터 투자 경험을 갖고 있는 페블스톤자산운용이 저온 물류에 최적 입지라는 확신을 갖고 외국계 투자기관과 함께 입찰에 참여해 우선협상대상자가 된 것으로 안다"며 "실사하는 동안 대출금리가 올랐지만 변동금리 조건으로 대출을 확보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처해 거래를 완료한 것"이라고 설명했다.페블스톤자산운용은 2019년 이후 물류센터 직접개발 및 투자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현재 개발중인 자산을 포함해 물류센터만 10여개, 약 1.6조원 규모로 자산을 운용 중이다.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nb
-
"현금이 넘친다"…美 기업, 올 한해 1011조 자사주 매입
올해 미국 시장에서 자사주 매입 규모가 사상최대치를 경신할 전망이다. 30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2022년 자사주 매입 규모는 8500억달러(약 1011조원)로 2018년의 8060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몇몇 대기업들이 자사주 매입을 주도했다. 상위 5개 기업이 3분기 전체 자사주 매입의 3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4개는 테크 기업이었다. 애플이 지난 3분기 동안만 204억달러(약 24조2658억원)규모의 자사주를 사들였다. 메타플랫폼스(150억달러), 알파벳(126억달러), 뱅크오브아메리카(99억달러), 오라클(88억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 CNBC는 "강력한 현금흐름을 갖춘 테크 기업들이 자사주 매입을 주도했다"고 평가했다. 자사주 매입은 주식 숫자가 줄면서 주당순이익(EPS)가 증가하는 효과가 없으면 투자자들에게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일부 회사들은 자사주를 매입해 경영진이나 직원들에게 스톡옵션으로 줬는데 이런 경우 주식 숫자에는 변함이 없다. 이 때문에 2021년 총 주식수는 3060억주로 2018년의 3000억주보다 약간 늘어났다. 여기에 자사주 매입은 주수가 기준이 아니라 금액 기준이기 때문에 주가 상승으로 매입하는 양은 줄어드는 효과가 있었다. 애플(19%), 알파벳(9%), 메타플랫폼스(1%), 오라클(35%), 마이크로소프트(3%) 등 빅테크 기업들의 주식 수는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내년에도 이같은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봤다. 기업 이익이 적어도 10%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인사이더스코어의 벤 실버맨 리서치 국장은 "기업들에 현금이 계속 들어오고 있기 때문에 기록적인 자사주 매입 속도는 2022년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
AIP운용, 슬로바키아 트윈시티타워 인수...한국 투자자 첫 진출
≪이 기사는 06월18일(15:3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AIP자산운용이 현지 운용사와 함께 아마존의 동유럽 물류 본부가 입주한 슬로바키아의 업무용 건물 트윈시티 타워를 인수한다. 한국 금융투자 기업이 슬로바키아에서 대규모 자산을 매입한 첫 사례다. 18일 부동산금융업계에 따르면 AIP자산운용은 현지 부동산 개발업체인 HB리비스로부터 슬로바키아 수도 브라티슬라바의 대형 빌딩인 트윈시티 타워를 1억2000만 유로(약 1600억원)에 인수하기로 했다. 트윈시티 타워는 지난해 준공된 지상 22층, 연면적 3만4752㎡ 규모의 오피스 빌딩이며 내무에 1360㎡의 상업시설도 갖추고 있다. 브라티슬라바 중심가 다뉴브강변에 자리잡고 있으며, 주변에 제약업체 바이엘, 보험사 스위스 리,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 등 글로벌 기업의 오피스가 몰려있다. 트윈시티 타워 오피스에는 아마존 동유럽 물류 본부가 입주했다. 아마존의 동유럽 내 60여개 물류센터를 관리하고 재무, 마케팅, 콜센터 등 후선 업무를 총괄하는 조직이다. 아마존은 10년간 빌딩을 임차하기로 계약했다. 업계에선 증권사와 연기금 등 국내 기관의 동유럽 진출은 점점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주요 국은 부동산 가격이 상승해 매력이 떨어진 반면, 동유럽은 상대적으로 자산 가격이 저평가됐다는 판단이다.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는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차로 40분 거리에 불과하지만 중심가 오피스의 임대수익률이 평균적으로 3%포인트 가량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투자에서도 AIP자산운용 등은 유럽
-
대덕전자, 대덕GDS 주식 179만주 매입 추진
이 기사는 05월30일(18:2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대덕전자가 인쇄회로기판(PCB) 업체인 대덕GDS 주식 179만주를 매입하기로 결정했다. 대덕전자는 오는 7월31일 대덕GDS 주식 179만78주를 장내매수할 예정이라고 30일 공시했다. 모바일 정보통신(IT)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총 매입가격은 이날 종가 기준 291억원에 이른다. 예정대로 주식을 취득하면 대덕전자가 보유한 대덕GDS 지분은 17.70%로 확대된다. 대덕GDS는 김정식 대덕전자 회장이 지분 9.16%를 보유한 최대주주이며 대덕전자가 9.0%를 보유한 2대 주주다. 대덕GDS는 지난해 매출 4632억원, 영업이익 49억원을 올린 PCB제조 및 판매를 하는 업체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
한샘, 4년반 만에 자사주 매입한다
이 기사는 02월20일(09:4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한샘이 주주가치를 높이기 위해 자사주 534억원어치를 매입한다. 한샘은 자사주 25만주를 533억원가량에 사들일 계획이라고 20일 공시했다. 매입 예상시점은 이달 21일부터 오는 5월19일까지다. NH투자증권과 KB증권이 자사주 취득을 담당하는 위탁투자중개업자로 선정됐다. 이 회사가 자사주를 사들이는 것은 2012년 8월10일 이후 4년6개월 만이다. 한샘은 올 들어 이달 17일까지 주가가 6.80% 올랐다. 하지만 실적이 추정치를 웃도는 등 긍정적 재료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이 회사의 지난해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2% 증가한 5289억원, 영업이익은 37.0% 늘어난 553억원을 올렸다. 앞으로 실적도 좋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박상연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올해 대리점을 기존보다 24개 늘리고 표줌매장을 5개 늘릴 예정"이라며 "건자재 매출 비중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모처럼 자사주 매입도 발표한 만큼 주가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