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인사이트] SKB·티브로드 1.5兆 M&A 자문…CS 1위
마켓인사이트 올해 1분기 국내 기업 인수합병(M&A) 시장은 산업 구조조정이 이끌었다. 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 SK브로드밴드와 티브로드의 합병 등 유료방송시장 재편 거래가 잇따랐다. 국내 1위 조선업체인 현대중공업이 2위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면서 조선업계가 ‘빅3’에서 ‘빅2’ 체제로 재편되기도 했다.M&A 자문 순위도 이들 대형 거래가 좌우했다. 크레디트스위스(CS)가 SK브로드밴드의 티브로드 합병을 자문하면서 1위를 차지했다. 삼일PwC, 삼정KPMG 등 회계법인들도 대형 구조조정 거래를 자문하면서 외국계 증권사들을 제치고 2~3위를 차지했다.주식발행시장(ECM)에서는 NH투자증권이 1위를 차지했다. 현대오토에버 기업공개(IPO)의 대표주관사를 맡으며 좋은 실적을 냈다. 지난해까지 6년 연속 채권발행시장(DCM) 왕좌를 꿰찬 KB증권이 2019년 1분기에도 1위에 오르며 질주를 이어갔다.산업재편 M&A가 가른 자문 순위한국경제신문 자본시장 전문매체 마켓인사이트가 31일 에프앤가이드와 공동으로 1분기 M&A 자문 실적을 집계한 결과 CS가 재무자문 부문 1위를 차지했다. CS는 유료방송시장 재편을 위한 ‘빅딜’ 중 하나였던 SK브로드밴드의 티브로드 합병(거래금액 1조5000억원)을 도우며 실적을 쌓았다. SK텔레콤은 자회사 SK브로드밴드와 티브로드를 합병하는 방식으로 자금 출혈 없이 유료방송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려 ‘창의적인 거래 구조’라는 평가를 받았다. CS는 또 홍콩계 사모펀드(PEF)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가 LG그룹 계열사 서브원의 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 사업을 인수하는 거래(6020억원)에서 LG 측 매각 자문을 맡기도 했다.산업 구조재편이 이뤄지면서 삼
-
ADT캡스 잡은 JP모간, M&A재무자문 정상
대규모 딜이 적었던 올 상반기 기업 인수합병(M&A) 재무자문(발표 기준) 분야 순위는 ADT캡스 ‘한 방’에 갈렸다.한국경제신문 자본시장 전문매체 마켓인사이트가 28일 집계한 2018년 상반기 리그테이블(순위표) 기업인수 재무자문 부문에서 SK텔레콤·맥쿼리 컨소시엄의 ADT캡스 인수 거래를 맡은 JP모간, 모건스탠리, 크레디트스위스(CS), BofA메릴린치가 1위에서 4위까지를 각각 차지했다. 주식발행시장(ECM)은 NH투자증권, 채권발행시장(DCM)은 KB증권이 각각 선두에 올랐다.◆JP모간, 단 2건으로 재무자문 1위올 상반기 M&A 재무자문 1위는 미국계 투자은행 JP모간이 차지했다. JP모간은 SK텔레콤·맥쿼리 컨소시엄의 ADT캡스 인수(2조9700억원)와 LG전자의 오스트리아 자동차 헤드램프 제조사 ZKW 인수(1조4460억원)를 맡았다.재무자문 2, 3위는 ADT캡스 공동 매각 자문을 맡은 모건스탠리와 CS가 차지했다. 모건스탠리는 CJ헬스케어(1조3100억원), CS는 금호타이어(6363억원)와 두산엔진(2318억원) 매각을 각각 자문했다. 토종 증권사 중에서는 삼성증권이 유일하게 4건, 1조7622억원으로 5위 안에 들어 자존심을 지켰다.법률자문 분야에서는 35건, 8조1591억원의 거래를 자문한 김앤장법률사무소가 작년에 이어 올 상반기 1위에 올랐다. 2위인 법무법인 광장은 ADT캡스, CJ헬스케어 딜에 참여했지만, 김앤장이 로레알에 6000억원에 팔린 패션·화장품 업체 스타일난다(법인명 난다)와 앱티브에 인수된 국내 자동차 부품사 케이유엠(5400억원) 자문을 맡아 우위를 지켰다. 법무법인 세종(5조9396억원, 28건)과 태평양(3조6043억원, 17건)이 3, 4위로 뒤를 이었다.회계자문에서는 삼일PwC가 6조661억원(13건)의 실사를 맡아 2위 삼정
-
[2017년 상반기 법률자문 리그테이블]김앤장 간발의 차로 1위…2위 광장 맹추격
이 기사는 07월05일(11:2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김앤장 법률사무소가 올해 상반기 기업인수합병(M&A) 자문 실적을 나타내는 리그테이블 집계에서 1위에 올랐다. 1분기 광장에 밀려 2위를 차지했지만 상반기 막판 뒷심을 발휘했다. 법무법인 광장은 총액 기준으로 김앤장에 불과 3800억원 뒤처져 있어 하반기 치열한 순위 경쟁이 예상된다.5일 한국경제신문과 에프앤가이드가 공동으로 2017년 상반기 기업 M&A 실적을 집계한 결과 김앤장은 M&A 법률자문 부문 바이아웃·발표 기준(잠정협약 또는 본계약 체결 시점 기준으로 집계한 경영권 거래)으로 총 25건, 5조7979억원의 거래의 자문을 맡아 1위에 등극했다.김앤장은 상반기 최대 규모 M&A였던 대성산업가스(1조2000억원) 매각에서 MBK파트너스 측의 인수자문사를 맡아 거래 종결에 도움을 줬다. 9000억원이 넘었던 더블유게임즈의 더블다운인터렉티브(DDI)와 베인캐피탈의 휴젤 M&A에서도 인수자문을 맡았다. 이 외에 MBK파트너스의 법률 자문을 맡아 이랜드 모던하우스(6435억원)를 인수했다. 경남에너지(5000억원) M&A에서는 매각자인 엥커에쿼티파트너스를 대리했다.광장은 총 25건, 5조4171억원의 실적을 올리며 2위를 차지했다. 대성산업가스의 매각 법률자문을 비롯해 금호타이어(9550억원), 현대시멘트(6272억원), LG실트론(6200억원) 등 굵직 굵직한 M&A에 이름을 올렸다.세종은 총 23건, 3조1614억원으로 3위에 올랐다. 태평양은 건수에서는 세종에 앞선 24건을 자문했지만 실적(2조6943억원)애서 밀리며 4위에 머물렀다. 세종은 아주캐피탈 매각에서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