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企대출 건전성 악화…부실채권 '대기업의 두배'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대출 상환 능력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 대기업이 은행에서 빌린 대출의 부실률은 최근 1년 반 사이 가장 낮은 수준으로 하락했지만, 중소기업 대출의 부실률은 5년 사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경기 침체와 글로벌 무역 분쟁의 여파가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금융감독원이 5일 발표한 ‘국내은행 부실채권 현황’에 따르면 지난 2분기 말 대기업 대출의 부실채권 비율은 0.41%로 집계됐다. 1분기 말(0.45%)과 비교해 3개월 사이 0.04%포인트 하락했다. 부실채권이란 대출 원리금 상환이 3개월 이상 연체됐거나 채무 상환 능력이 크게 악화해 ‘고정이하여신’으로 분류된 대출을 의미한다. 대기업 대출의 부실채권 비율은 2023년 말까지만 해도 0.5%였으나 최근 1년 반 동안 점진적으로 하락해 2023년 9월 말(0.39%) 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반면 중소기업 대출의 건전성은 빠른 속도로 악화하고 있다. 은행이 중소기업에 내준 대출의 부실채권 비율은 지난 2분기 말 0.9%로, 2020년 3월(0.93%) 후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1분기 말(0.89%)과 비교하면 0.01%포인트 올랐고, 2023년 말(0.64%)과 비교하면 0.26%포인트 상승했다. 그만큼 은행에서 빌린 돈을 갚지 못하는 중소기업이 많다는 의미다.중소기업 중에서도 자영업자를 의미하는 개인사업자보다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중소법인의 상황이 더 나빠졌다. 개인사업자 대출의 부실채권비율은 지난 3월 말 0.6%에서 6월 말 0.59%로 낮아졌다. 반면 중소법인의 부실채권 비율은 같은 기간 1.08%에서 1.11%로 올랐다.은행의 기업대출과 가계대출을 모두 포함한 전체 여신의 평균적인 부실
-
대·중기, 외국기업, 국민도 노란봉투법 우려
하청기업을 많이 둔 대기업은 물론 외국계 기업과 중소기업까지 국회에 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노란봉투법) 수정을 촉구하고 나섰다. 하청업체 근로자가 원청기업에 교섭을 요구할 수 있고, 경영상 판단까지 쟁의 대상에 포함하는 노조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산업 생태계가 무너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한국경영자총협회,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경제인협회, 한국무역협회, 중소기업중앙회, 한국중견기업연합회 등 경제 6단체는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관 앞에서 ‘노조법 개정 반대 경제계 결의대회’를 열었다. 부산과 대구, 인천, 광주 등 15개 지방 경총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등 9개 업종별 단체도 참여했다.경제단체들은 “사용자 범위(2조 2호)는 현행대로 유지하고, 쟁의 대상을 확대(2조 5호)하더라도 경영상 판단은 제외하는 노조법 수정안을 수용해달라”고 호소했다. 업종별 단체들은 “노조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자동차·조선·건설 대기업은 수백~수천 개 협력업체 노조의 교섭 요구나 파업에 대응해야 한다”며 “구조조정과 해외 투자 등 경영 판단까지 파업 대상이 되면 ‘기업 엑소더스(대탈출)’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한국GM 등 800여 개 미국 기업을 회원사로 둔 주한미국상공회의소(암참)의 제임스 김 회장도 이날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를 만나 노조법 개정안에 대한 우려를 전달했다. 김 회장은 “노조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아시아 지역 허브라는 한국의 위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 주한유럽상공회의소도 앞서 “노조법 개정안이 기업인을 잠재적 범죄자로
-
5년간 세수 36조원 증가…지출 조정은 기대 이하
올해 세제개편안으로 정부는 5년간 약 36조원의 세수를 추가로 확보하지만, 증가분의 3분의 2가 기업에 집중될 전망이다. 세 부담에 눌린 기업이 투자와 임금 인상에 소극적으로 나설 경우 경제 전체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조세지출(세금 감면) 구조조정도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온다.기획재정부는 2025년 세제개편안에 따라 앞으로 5년간 세수가 35조6000억원(누적 기준) 늘 것이라고 31일 밝혔다. 법인세 증가분이 18조5000억원으로 절반을 넘었다. 증권거래세율 인상으로도 11조5000억원 세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세수 증가액의 47.2%인 16조8000억원을 대기업이 부담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소기업 세 부담도 6조5000억원(18.2%)에 달한다. 박금철 기재부 세제실장은 “법인세를 내는 중소기업이 40만 곳을 넘기 때문에 기업 한 곳당 세금 증가 규모는 그렇게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서민과 중산층(총급여 8700만원 이하) 세 부담은 4000억원 줄고, 고소득층의 부담은 4000억원 늘어난다.정부는 또 올해 일몰되는 72개 조세지출 항목 중 16개를 종료하거나 축소해 5년간 세수 4조6000억원을 추가로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연간 13개를 정비해 5000억원의 세수를 확보한 최근 5년 평균 실적보다는 규모가 크지만, 조세지출 증가 속도를 감안하면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신용카드 소득공제는 일몰이 또다시 3년 연장됐다. 올해 세제개편안에는 다자녀 가구의 신용카드 소득공제 확대가 포함돼 조세지출이 추가로 3000억원 늘어날 전망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210조원으로 추산되는 공약 이행 재원을 조세지출 정비 등으로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이광식 기자
-
"1~2년 키워 놓으면 대기업 간다며 줄사표"…中企는 연중 인력난
연 매출 1200억원인 정보기술(IT) 분야 중견기업 A사는 수년째 상시 채용을 하고 있다. 연구원을 새로 뽑는 족족 1~2년 뒤 네이버, 카카오 등으로 이직해 만성적 인력난에 시달리면서다. A사 인사 담당자는 “경력이 그럴듯해도 이전 회사에서 근무한 기간이 짧은 인력은 안 뽑고 있다”며 “중소기업뿐 아니라 중견기업까지 대기업으로 이직하는 경유지로 전락한 것 같아 씁쓸하다”고 푸념했다.중소·중견기업 인력난이 가중되고 있다. 근무 환경은 개선되지 않는 가운데 대기업과의 임금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의 성장 발판을 마련하려면 정부가 나서서 제도적으로 근로자가 일하고 싶은 환경을 조성하는 게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기업 규모 따라 커지는 임금 격차중소기업을 떠나는 가장 큰 이유는 임금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중소기업 근로자의 평균 월급은 238만원으로 대기업 근로자(432만원)보다 194만원 적었다. 이후 매년 격차가 커지면서 2023년 중소기업 근로자의 평균 월급은 298만원으로 대기업 평균(593만원)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근속연수가 늘수록 임금 격차는 더 벌어졌다. 2023년 30대 대기업 근로자의 평균 월급은 551만원으로 같은 세대 중소기업 근로자(310만원)의 약 1.8배였다. 같은 시기 50대 대기업 근로자의 평균 월급은 772만원으로 중소기업 근로자(345만원)의 약 2.2배였다.중소기업의 열악한 근무 여건도 인력 유출의 핵심 요인으로 작용한다. 인력난 때문에 자유롭게 연차를 쓸 수 없는 기업 문화가 단적인 예다. 지난해 중소기업 마케팅 직군에서 중견기업으로 직장을
-
씨마르는 대기업 벤처투자, 2년새 '5분의 1토막'
대기업의 벤처투자 활동이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내외 스타트업에 전략적투자자(SI)로 나선 성과가 기대만큼 나오지 않자 지갑을 닫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21일 스타트업얼라이언스에 따르면 지난해 대기업 계열 기업형벤처캐피털(CVC)의 벤처투자 금액은 총 3056억원이었다. 2022년 1조7318억원의 17%에 불과하다. 대기업 사내 조직에서 집행한 투자 금액은 지난해 1031억원으로 2022년 1조2956억원의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주요 대기업은 독립적인 투자회사가 아니라 사내 전문 조직에서 벤처투자를 한다. 스타트업얼라이언스 관계자는 “사내 CVC 투자가 급감한 것은 대기업 본사들이 벤처투자 기능을 크게 줄였다는 뜻”이라며 “지난 몇 년간 오픈이노베이션 활동이 성과를 얻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일반 벤처캐피털(VC)의 기업가치 제고 역량도 떨어졌다. 중소벤처기업부의 2024년 벤처기업 정밀실태조사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 창업 후 VC의 경영관리 또는 자문을 받은 곳은 전체의 31.7%에 그쳤다. 2021년(68.3%)의 절반 이하로 급감했다.고은이/안정훈 기자
-
"입법·사법·행정부 모두 기득권 노조만 과보호"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사진)은 “국회는 물론 행정, 사법부까지 모두 상위 12%의 기득권 근로자만 과보호하는 현재의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고 18일 말했다.김 장관은 취임 6개월을 맞아 이날 한국경제신문과 한 인터뷰에서 “우리나라의 노동소득분배율은 나쁘지 않은데 대기업 정규직 상위 12%의 노동자들이 노동 소득을 독식하고 있다”며 “이들 철밥통이 기득권을 양보해야 노동 약자를 보호하고 젊은이들에게 일자리를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노동소득분배율은 국민 소득에서 노동 소득이 차지하는 비율로 2023년 기준 67.7%다. 전체 파이에서 근로자에게 돌아가는 몫은 적지 않은데, 일부 공공기관 및 대기업 노조가 대부분을 가져간다는 지적이다.김 장관은 최근 대법원 전원합의체의 통상임금 판결처럼 사법부도 노조가 있는 대기업 사업장의 기득권을 강화하는 판결만 내놓고 있다고 했다. 그는 “5인 미만 사업체 근로자가 354만 명으로 양대 노총 조합원 220만 명보다 많은데, 이들을 보호하는 게 정의”라며 “이를 위해 지난해 노동약자지원법을 내놨는데 입법이 안 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얘기를 하는 내가 극우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그는 청년 취업률이 급감하는 것과 관련해 “사람을 한 번 뽑으면 30년 동안 내보내지 못하는 고용 경직성 때문”이라며 “당장 10년도 못 내다보는데 20~30년을 어떻게 내다보고 사람을 뽑겠느냐”고 했다. 이어 “이런 얘기를 하면 대기업 편향주의자라고 하는데 나는 대기업 편이 아니라 젊은이 편”이라고 강조했다.김 장관은 반도체 연구 인력의 주 52시간제 적용 예외를 인정하
-
대기업마저 '부도 위기'…작년보다 세 배 더 늘어
올 들어 부도 위기에 내몰린 기업이 작년보다 세 배 이상 늘었다. 경기 침체와 고금리 기조 장기화의 영향으로 경영난에 휩싸인 기업이 급증했다는 분석이다.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의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 230개사를 부실징후기업(C·D등급)으로 지정했다고 23일 발표했다. 전체 부실 징후 기업은 작년보다 1곳 줄었다. 하지만 경영 정상화 가능성이 작은 D등급은 17곳 늘어 130곳에 달했다. 대부분 상황이 나빠져 C등급 기업이 D등급으로 이동한 탓에 C등급은 작년보다 18곳 줄어든 100곳으로 집계됐다.금감원 관계자는 “경기 회복 지연에 따른 업황 부진, 원가 상승, 고금리 장기화 등에 따라 일부 한계기업의 경영 악화가 심화한 점이 원인”이라고 말했다.1년에 한 번 하는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는 A~D 네 등급으로 나뉜다. A는 정상, B는 부실 징후 가능성을 보이는 기업이다. 부실 징후 기업인 C와 D는 다시 경영 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기업(C)과 낮은 기업(D)으로 구분된다. 통상 C등급은 채권단 중심의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 D등급은 법원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밟는다.올해는 부실 징후 기업 가운데 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이상인 대기업이 2곳 늘어난 11곳으로 조사됐다. 그중 D등급이 작년 2곳에서 올해 7곳으로 증가했다. D등급 대기업은 2021년과 2022년엔 한 곳도 없었다. C등급 대기업은 작년 7곳에서 올해 4곳으로 줄었다.전체 부실 징후 기업(C·D 합산 230곳)을 업종별로 보면 부동산 관련 기업이 30곳으로 가장 많았다. 2021년 3곳에서 2022년 15곳, 작년 22곳 등 최근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다. 자동차 업종 관련 기업은 4곳 증가한 21곳으로 2위였다. 건설업 중 종합건설회사를 제외
-
'호텔 몸값' 치솟자…롯데·KT·DL, 줄매각 나선다
롯데 KT DL을 비롯한 대기업들이 호텔 유동화에 나서고 있다. 호텔 자산군이 호황세를 보이자 제값을 주고 팔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일제히 매각 수요 조사(태핑)에 나섰다. 알짜 지역 호텔과 매력이 떨어지는 지방 호텔을 묶어 통매각을 시도할 전망이다. 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KT그룹은 조만간 비핵심 자산 유동화 컨설팅 관련 부동산 자문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 5일 부동산 매각 자문사 프레젠테이션(PT)을 실시했다.KT그룹은 KT, KT에스테이트 등이 보유한 비주력 부동산 자산 20곳 가운데 일부를 선정해 매각할 계획이다. KT그룹이 입찰제안요청서(RFP)에 명시한 20개 자산 가운데 호텔 자산은 5개다.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 △안다즈 강남 △신라스테이 역삼 △르메르디앙&목시 명동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동대문 호텔&레지던스 등이 매각 컨설팅 대상이다.대기업들은 호텔 자산 유동화 단계에 들어갔다. DL그룹은 글래드 호텔 3개 자산을 매각을 위해 제안을 받고 있다. 매각 대상은 △글래드 여의도 △글래드 강남 코엑스센터 △메종 글래드 제주 등 호텔 세 곳이다. 예상 가격은 6500억원이다. 글래드 브랜드 등을 포함해 다양하게 제안받기로 했다. 여러 펀드가 제안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동성 확보에 나선 롯데그룹은 기관투자가 설명회에서 L7과 시티 호텔 중 일부를 매각하기로 공지했다. 롯데그룹이 보유한 L7 명동·홍대와 울산시티호텔 등 세 곳이 매물로 유력하게 거론된다.외국인 관광객이 몰리며 호황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이 매물로 내놓은 요인으로 꼽힌다. 오피스, 물류센터 등에 비해 거래가 이뤄지기 비교적 쉽다는 판단이다. 지난달 서울 시내
-
16개 대기업 사장단 긴급성명 "기업 죽이기 멈춰 달라"
삼성, SK, 현대자동차, LG 등 국내 주요 대기업 사장단이 긴급성명을 내고 정치권에 “기업 살리기에 동참해 달라”고 호소했다. 대기업 사장단이 공동성명을 낸 것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확산 등의 여파로 경영 환경이 악화한 2015년 7월 이후 9년 만이다. 국내 16개 대기업 사장단과 한국경제인협회는 21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한국 경제 재도약을 위한 주요 기업 사장단 긴급성명’을 내고 “기업들은 경기 침체와 지정학적 리스크로 신음하고 있는데 정치권은 ‘기업 죽이기 법안’만 동시다발적으로 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날 회의에는 박승희 삼성전자 사장, 이형희 SK수펙스추구협의회 사장, 김동욱 현대차 부사장, 차동석 LG화학 사장, 이동우 롯데지주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이들 사장단은 회사로 한정된 기업 이사의 ‘충실 의무’ 대상을 주주로 확대하는 상법 개정안과 관련해 “기업을 해외 투기자본의 먹잇감으로 만들 것”이라며 “교각살우(矯角殺牛: 쇠뿔을 바로잡으려다가 소를 잡는다는 뜻)의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사장단은 “올 상반기 620개 내수기업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1.9% 줄었고, 그나마 버티던 수출도 보호무역 확산 등으로 미래를 장담할 수 없게 됐다”며 “한국 경제가 헤어나기 힘든 늪에 빠지기 전에 정치권이 앞장서 ‘기업 살리기’에 나서 달라”고 했다.현재 국회에는 상법 개정안, 상장회사지배구조법 제정안 등 여러 기업 규제 강화 법안이 상정돼 있다.박의명 기자
-
프랑스, 대기업 법인세 올린다…고소득자도 한시적 증세
심각한 재정 적자로 어려움을 겪는 프랑스 정부가 내년 60조원의 공공 지출을 줄이고 대기업과 고소득층을 대상으로 30조원 가까운 추가 세수를 거둬들인다는 예산안을 발표했다.10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프랑스 재정경제부는 이날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내년도 예산안을 공개했다. 이를 통해 올해 국내총생산(GDP)의 6.1%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재정 적자를 내년 5%까지 낮춘다는 계획이다. 프랑스는 이미 GDP의 110% 이상인 약 3조2000억유로의 국가 부채를 지고 있어, 이자로만 올해 500억유로 넘는 예산이 쓰였다. 지출을 줄여도 내년 부채 연장을 위해 올해보다 150억유로 늘어난 3000억유로의 국채를 새로 발행해야 한다. 프랑스 국채 이자율은 스페인보다 높다. 미셸 바르니에 총리는 "불량 수표를 남발해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희생시켜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예산안의 핵심은 대대적인 공공 지출 삭감과 이른바 '대기업·부자 증세'다. 재경부는 내년도 예산안에서 413억유로(약 61조원)의 지출을 절감할 예정이다. 이 중 215억유로는 중앙정부, 50억유로는 지방정부, 나머지는 사회보장제도 예산에서 줄인다. 공무원 인력 감축, 연금 인상 6개월 중단, 각종 보조금과 사법·노동·교육·스포츠 예산 삭감 등이 포함됐다. 다만 사회 안전과 국방 예산은 소폭 증가시켰다.증세 규모는 193억유로(약 28조5000억원)로 책정했다. 이 가운데 136억유로를 대기업에서 걷을 계획이다. 매출이 10억 유로(약 1조4000억 원)를 넘는 대기업은 2024년과 2025년 이익에 대해 한시적으로 법인세가 인상된다. 매출 10억유로 이상 30억유로(
-
오너家 회장님들 확 젊어졌다…1970년대 이후 출생자만 31명
1970년 이후 태어난 오너가(家) 임원 중 회장·부회장 자리에 오른 이들이 80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 이후 출생한 젊은 오너 임원은 올해 처음으로 100명대에 진입했다.기업분석 전문업체 한국CXO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의 오너가 임원 현황 분석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국내 주요 200대 그룹과 60개 중견·중소기업 중 1970년 이후 출생한 오너가 임원들이다.조사에 따르면 1970년 이후 오너 일가에서 출생한 이들 중 임원 이상의 직급에 위치한 인물 수는 318명이었다. 회장 직위를 보유한 오너 경영인은 장병규 크래프톤 이사회 의장을 포함하면 31명으로 나타났다. 장 의장은 회장 직함을 쓰진 않지만,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대기업집단 총수에 해당한다.대기업집단 중 총수로서 집계에 포함된 인물은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1970년생), 조현범 한국앤컴퍼니그룹 회장(1972년생),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1972년생), 구광모 LG그룹 회장(1978년생) 등이었다. 총수가 아닌 이들 중에서도 김남호 DB그룹 회장(1975년생),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1975년생) 등이 회장으로서 활동했다. 중견·중소기업 중엔 윤호중 에이치와이 회장(1971년생), 김장중 이스트소프트 회장(1972년생) 등이 속했다.부회장급은 52명으로 조사됐다. 지난해(39명)보다 크게 늘었다. 1974년생이 7명으로 가장 많았다. 곽동신 한미반도체 부회장, 김석환 한세예스24홀딩스 부회장, 임주현 한미약품 부회장 등이 포함됐다. 1980년 이후 출생자 중에서도 양홍석 대신증권 부회장(1981년생), 정기선 HD현대 부회장(1982년생),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회장(1983년생) 등 다수 오너가 인물이 이름을 올렸다.전체 조사 대상 중 사장 직급
-
日 실질임금 27개월만에 증가
일본 근로자 실질임금이 27개월 만에 증가세를 보였다. 대기업을 중심으로 여름 보너스가 대폭 인상된 영향으로 분석된다.일본 후생노동성이 6일 발표한 6월 근로통계조사에 따르면 5명 이상 사업체 근로자 1인당 평균 급여는 49만8884엔(약 470만원)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4.5% 증가했다. 물가 상승을 감안한 실질임금도 1.1% 늘었다.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3.3% 올랐지만 명목임금 상승률이 이를 웃돌았다.일본은 2022년 4월부터 지난 5월까지 실질임금이 26개월 연속 줄었다. 이는 개인소비 침체, 실질 국내총생산(GDP) 감소 원인으로 지목됐다.실질임금이 27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지만 앞으로도 지속될지는 불투명하다. 후생노동성 관계자는 니혼게이자이신문에 “6월에 보너스를 지급한 사업장이 전년보다 늘었다”며 “7월 상여금을 앞당겨 줬는지, 새로 지급한 사업장이 증가했는지 등에 따라 7월 이후 움직임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일본 정부는 ‘임금과 물가의 선순환’을 통한 디플레이션 탈출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일본 경제단체 게이단렌은 올해 춘계 노사협상 결과 대기업 평균 임금 인상률이 5.58%로 최종 집계됐다고 전날 발표했다. 임금 인상률이 5%를 넘은 것은 1991년(5.60%) 이후 33년 만이다.도쿄=김일규 특파원
-
작년 대기업 총수 경영 성적은…정의선, 영업익 '18조' 1위
지난해 대기업 총수 중 가장 많은 영업이익을 거둔 인물은 현대차그룹의 정의선 회장으로 나타났다. MDM그룹 문주현 회장은 매출액 증가율이 가팔랐고, 박성수 회장이 이끄는 이랜드그룹에선 고용 규모 확대가 두드러졌다.한국CXO연구소는 88개 그룹 총수를 대상으로 주요 13개 항목별 지난해 경영 성적 분석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자산 규모 5조원 이상의 대기업집단이다. 13개 경영 평가 항목은 지난해 기록한 연간 매출액·영업이익·순이익 증가율, 고용 증가율, 단순 실적 규모, 1인당 매출·영업이익 규모 등으로 선정했다.단순 매출액과 순이익 규모는 삼성전자를 이끄는 이재용 회장이 가장 많았다. 삼성은 삼성전자를 포함한 그룹사 전체 매출 규모가 358조9158억원으로 조사됐다. 순이익은 43조5071억원이다. 영업이익 1위는 18조259억원을 기록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다. 현대차그룹은 매출액도 삼성에 이어 많았지만, 조사 대상 그룹 중 유일하게 작년 영업이익이 10조원을 넘어섰다. 현대차와 기아가 12조9766억원을 벌어들이며 순위를 상승시켰다. GS그룹의 허창수 회장은 영업이익 4조5109억원으로 2위였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매출액과 영업이익 3위에 이름을 올렸다.연간 매출액 증가율 1위는 문주현 회장의 MDM그룹이었다. 증가율은 143.6%를 기록했다. 15개 계열사 중 ㈜MDM이 수치를 견인했다. 에코프로의 이동채 전 회장(27.5%), 금호그룹의 박삼구 전 회장(20.3%)은 뒤를 이었다. 영업이익 증가율은 애경그룹 장영신 회장(1065.4%),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311.7%), 유경선 유진그룹 회장(289.7%)이 높았다. 고용 증가율 1위는 박성수 회장의 이랜드그룹(
-
88개 그룹 '고용 성적표' 봤더니…3.2만명 뽑은 쿠팡, 증가율 1위
국내 대기업들의 고용 성적 희비가 엇갈렸다. 쿠팡은 1년 새 일자리가 3만 개 넘게 늘었지만, 회사를 연이어 매각 중인 SK그룹은 1만 개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기업분석 전문업체 한국CXO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의 주요 그룹 고용 변동 분석 결과를 5일 발표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자산 5조원 이상 88개 대기업집단이 대상이다. 증감은 지난해와 2022년을 비교했다. 대기업집단 88개는 총 계열사 3318개에서 183만7324명을 고용했다. 전년(178만 1405명)과 비교해 3.1% 늘었다. 그룹 중 직원 수가 증가한 곳은 43개였다. 나머진 감소했다. 고용 인원이 가장 많이 증가한 그룹은 61.2%가 늘어난 쿠팡이다. 지난해 8만 4702명으로 1년 사이 직원 수가 3만 2151명이 증가했다. 물류 자회사인 쿠팡풀필먼트서비스가 3만 명을 넘게 뽑은 것이 기반이 됐다. 작년 4만 2555명을 고용한 한화그룹 역시 전년 대비 29.3% 늘어 증가폭이 컸다. 한화오션이 그룹에 편입된 영향이다. 반면 비주력 사업 매각 절차를 밟고 있는 SK그룹은 지난해 11만 4950명이 일해 같은 기간 고용 인원이 9549명 줄었다. SK쉴더스 캡스텍 등 자회사가 팔린 영향이다. KG그룹(2711명), 신세계그룹(2209명)도 인원 감소가 많았다.고용 규모가 가장 큰 그룹은 삼성이다. 27만 8284명이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그룹(19만 7727명), LG그룹(15만 4941명) 등이 뒤를 이었다. 개별 기업 기준에서도 삼성전자가 11만 8725명을 고용해 규모가 가장 컸다. 유일하게 10만 명을 넘어섰다. 2위 현대차(7만 3267명)의 뒤는 쿠팡풀필먼트서비스(6만 4109명)가 이었다. 기아(3만 6884명) LG전자(3만 6363명)도 5위권에 포함됐다.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
-
1분기 대기업 고용 증가율 0.2%…삼성전자 3000명으로 최대
1분기 국내 주요 대기업 고용 증가율이 0.2%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와 HD현대중공업 등의 채용 규모가 컸지만, LG이노텍과 신세계그룹 계열사에서 인력 감소가 많았다.22일 기업분석 전문업체 한국CXO연구소의 대기업 고용 변동 조사에 따르면 국내 40개 주요 대기업의 지난 3월 국민연금 가입자 고용 인원은 69만9230명이다. 지난해 12월 69만7842명에서 1388명(0.2%) 늘었다. 단일 사업장 고용 규모가 5000명 이상 기업 중 1분기 고용 인원을 파악할 수 있는 곳들이 조사 대상에 올랐다.40개 업체 중 1분기 고용이 증가한 곳은 19개다. 삼성전자는 12만877명에서 12만3912명까지 인력이 늘었다. 3035명이 더 채용돼 조사 대상 업체 중 증가 규모가 가장 컸다. HD현대중공업도 1분기에 965명을 뽑아 총원이 1만3226명을 기록했다. 고용 증가율은 7.9%로 최고치였다. 채용 규모를 기준으로 현대차(808명), 쿠팡(642명), LG전자(630명) 등이 순위의 뒤를 이었다.11개 기업은 인원이 오히려 줄었다. LG이노텍이 3개월 사이 1만5159명에서 1만2493명으로 266명이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한국CXO연구소 측은 다만 “LG이노텍은 고객사 물량 변동에 따른 단기 계약직 고용 증감이 많은 특수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신세계그룹 계열사이자, 국내 스타벅스를 운영하는 에스씨케이컴퍼니도 825명이 줄었다. LG디스플레이(417명), 이마트(341명)의 인력 감소도 많았다.오일선 한국CXO연구소장은 “최근 국내 대기업 상당수가 해외에 공장을 세운 데다, 국내선 자동화 시스템 도입이 가팔라 고용 증가세가 더디다”며 “국내 공장 증설, 신산업 발굴 등 고용을 늘릴 방안 고민이 절실하다”고 말했다.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