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하이닉스, 韓 민간기업 사상 최대 글로벌본드 발행
SK하이닉스가 투자수요가 폭발적으로 몰린 데 힘입어 한국 민간기업 사상 최대인 25억달러(약 2조7000억원) 규모의 글로벌본드를 발행한다. 글로벌본드는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세계 주요 금융시장에서 동시에 발행돼 유통되는 채권이다. SK하이닉스는 글로벌 주요 반도체업체로 탄탄한 실적을 내고 있는 점과 인텔 낸드플래시 사업부 인수를 통해 추가 성장동력을 확보한다는 점을 내세워 해외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어모았다는 평가다.1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가 25억달러어치 글로벌본드 발행을 위해 전날 진행한 해외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진행한 수요에측(사전 청약)에 123억달러(약 13조5000억원)의 매수주문이 쏟아졌다. 5억달러를 모집한 3년물에 28억달러, 10억달러어치 발행 예정인 5년물에 41억달러의 투자수요가 모였다. 그린본드로 발행되는 10년물에도 모집액(10억달러)의 다섯 배가 넘는 54억달러의 ‘사자’ 주문이 들어왔다. 그린본드는 발행 목적이 친환경 관련 투자로 제한된 채권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 크레디아그리콜 크레디트스위스, BNP파리바, HSBC, JP모건이 발행 주관을 맡았다.SK하이닉스는 해외 채권시장에서 뜨거운 인기를 누린 데 힘입어 한국 민간기업 사상 최대 글로벌본드 기록을 새로 썼다. 종전 최대기록은 2019년 LG화학의 15억6000만달러(약 1조7000억원)였다. 한국 간판 반도체업체에 대한 해외 투자자들의 두터운 신뢰를 확인했다는 평가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실물경제가 위축된 상황에서도 양호한 실적을 내며 건재함을 보이고 있다. 이 회사의 지난해 1~3분기 영업이익은 4조
-
'SK하이닉스의 인텔 메모리 인수' 뒤에는... "씨티-BOA, 1년 넘게 협상"
SK하이닉스가 인텔의 메모리 반도체 사업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자문사들의 역할이 눈에 띈다. 지난해 여름 무렵부터 논의가 시작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인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SK하이닉스와 인텔의 전략적 판단이 맞아떨어진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20일 인수합병(M&A) 업계 등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인텔의 낸드플래시 사업부문을 포함한 메모리 사업부 인수(옵테인 사업부 제외)를 결정하고 한국시각으로 이날 새벽 주식매매계약(SPA)를 체결했다. 거래규모는 90억 달러(한화 10조3104억원)에 달한다.SK하이닉스 측 인수자문은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이 맡았다. 미국 본사와 한국팀이 비밀리에 협업하면서 딜의 구조 등에 대한 자문을 제공했다. 당초 인텔의 매각 의사를 확인한 미국팀이 매각자문을 수임하기 위해 추진하는 과정에서, 씨티 한국팀이 SK하이닉스의 인수의지를 확인하고는 인수측 자문으로 올인해 협업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감독원 자료 제출을 위한 가치평가는 딜로이트안진이, 계약서 검토 등에 대한 법률자문은 외국계 로펌인 스캐든압스와 김앤장법률사무소가 맡았다.매도자 측인 인텔은 BOA메릴린치 미국팀이 주도해 협상을 벌였다. 인텔의 법률자문은 외국계 로펌인 멍거, 톨스앤올슨 등이 주도했으며, 한국 법무법인 태평양의 경우 한국은행 등에 자료를 제출하는 과정에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낸드 사업부 M&A에 대한 논의는 1년여 전 쯤부터 시작된 것으로 전해졌다. 반도체 강자인 인텔은 CPU(중앙처리장치) 등 비메모리 사업에 주력하기 위해 메모리 사업부를 정리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이는 낸드플래
-
SK하이닉스, 인텔 낸드플래시 사업 인수…10조원 규모
SK하이닉스가 인텔의 낸드플래시 부문 인수에 나선다. 이르면 오늘 양 측이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20일 월스트리트저널 및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인텔의 낸드플래시 사업부문을 포함한 메모리사업부 인수를 결정하고 막바지 협상에 돌입했다. 몇 가지 세부 조건을 조율한 후 이르면 오늘 양 측이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인수가격은 90억 달러(약 10조26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신속하게 결정..이르면 오늘 계약SK하이닉스는 씨티글로벌마켓증권, 인텔측은 BoA메릴린치가 주관을 맡았다. 양 사 모두 미국 현지 IB와 국내 서울사무소가 협업해 거래를 주도했다.양 측은 1년 6개월간 협상을 진행한 것으로 전해진다. SK하이닉스는 이번 거래로 인텔이 보유한 낸드부문 고정자산, 인력, 지적재산권을 단번에 확보하게 된다. 인텔은 중국 다롄에 3D낸드 플래시 생산 공장을 운영 중이다. 인텔은 기업형 SSD(ESSD)부문에서 강자로 꼽힌다. 그간 SK하이닉스는 낸드부문 컨트롤러 분야에서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번 인수로 낸드부문 역량 강화와 동시에 인텔의 기업형 SSD 시장 점유율을 단번에 확보하게 됐다. SK하이닉스는 키옥시아를 제치고 낸드부문 2위업체로 올라서게 된다. 한 딜 관계자는 "계약서가 거의 마무리된 상황"이라며 "인텔과 SK하이닉스가 큰 틀에서 합의하는 덴 시간이 걸렸지만, 서로 자문사를 선정해 논의를 본격화하자 석달도 되지 않아 계약서 작성까지 왔다"고 전했다. 원래 양측은 내년 초쯤 계약을 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으나, 일단 공감대가 형성되자 나머지 작업은 일사천리로 진행됐다는 얘기다. SK그룹과 인텔 측 경영진이 머뭇거
-
무디스, SK하이닉스 신용등급 ‘Baa2’로 상향조정
≪이 기사는 10월23일(15:35)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글로벌 신용평가사인 무디스는 23일 SK하이닉스의 신용등급을 ‘Baa3’에서 ‘Baa2’로 한 단계 올렸다. 등급 전망은 ‘안정적’이다.탄탄한 실적과 재무구조를 반영했다. SK하이닉스의 지난 상반기 매출은 19조90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1%, 영업이익은 9조9413억원으로 80.2% 증가했다. 지난 6월 말 기준 총 차입금은 5조4151억원으로 상각전영업이익(EBTDA)의 20%에 불과하다. 무디스는 SK하이닉스가 글로벌 2위 D램 제조사로서 지금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이 회사의 올해와 내년 평균 설비투자비가 17조원에 달함에도 약 20조원의 영업현금흐름과 40% 수준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황 션 무디스 연구원은 “고용량 3D 제품 비중을 늘리고 기업용 SSD 같은 고부가 제품 시장점유율을 높이면서 앞으로 1~2년간 낸드플래시 사업에서도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D램과 낸드플래시 모두 수요가 양호하고 미세공정 전환의 어려움으로 공급이 급격히 늘어날 가능성도 낮아 제품가격이 급락할 부담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무디스는 SK하이닉스의 재무구조에 대해서도 앞으로 1년~1년6개월간 EBITDA 대비 차입금 비율을 0.5배 이하로 유지하는 등 우수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관측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반도체 슈퍼호황 탄 SK하이닉스, 신용등급 ‘AA’로 올라
반도체시장 호황 속에 호실적을 내고 있는 SK하이닉스의 신용등급이 한 단계 상승했다.나이스신용평가는 26일 SK하이닉스의 신용등급을 ‘AA-’(긍정적)에서 ‘AA’(안정적)으로 상향조정한다고 발표했다. 국내 신용평가사 중에선 가장 먼저 이 회사 등급을 올렸다. 한국기업평가와 한국신용평가는 ‘AA-’등급에 ‘긍정적’ 전망을 붙여놓고 있다.반도체시장의 지속적인 호황 속에 이익을 늘리며 탄탄한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반영됐다. SK하이닉스의 올 1분기 매출은 8조72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 영업이익은 4조3670억원으로 61% 증가했다. 차입금은 더 줄어들었다. 1분기 말 기준 총 차입금은 3조8670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3000억원가량 감소했다. 8조2660억원에 달하는 현금성자산 규모를 고려하면 사실상 무차입 경영을 하고 있다는 평가다.최우석 나이스신용평가 기업평가3실장은 “주력인 D램 시장에서 지위가 확고해지면서 매우 우수한 영업실적을 이어갈 것”이라며 “낸드플래시 부문 수익성이 향상됐고 우수한 재무 안정성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신용등급을 올렸다”고 말했다. 김진성 기자 jikim1028@hankyung.com
-
반도체 슈퍼호황 탄 SK하이닉스, 신용등급 ‘AA’로 올라
≪이 기사는 04월26일(19:05)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반도체시장 호황 속에 호실적을 내고 있는 SK하이닉스의 신용등급이 한 단계 상승했다.나이스신용평가는 26일 SK하이닉스의 신용등급을 ‘AA-’(긍정적)에서 ‘AA’(안정적)으로 상향조정한다고 발표했다. 국내 신용평가사 중에선 가장 먼저 이 회사 등급을 올렸다. 한국기업평가와 한국신용평가는 ‘AA-’등급에 ‘긍정적’ 전망을 붙여놓고 있다.반도체시장의 지속적인 호황 속에 이익을 늘리며 탄탄한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반영됐다. SK하이닉스의 올 1분기 매출은 8조72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 영업이익은 4조3670억원으로 61% 증가했다. 차입금은 더 줄어들었다. 1분기 말 기준 총 차입금은 3조8670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3000억원가량 감소했다. 8조2660억원에 달하는 현금성자산 규모를 고려하면 사실상 무차입 경영을 하고 있다는 평가다.최우석 나이스신용평가 기업평가3실장은 “주력인 D램 시장에서 지위가 확고해지면서 매우 우수한 영업실적을 이어갈 것”이라며 “낸드플래시 부문 수익성이 향상됐고 우수한 재무 안정성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신용등급을 올렸다”고 말했다. 김진성 기자 ji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