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교공, 美 IT기업 투자해 1년 반 만에 원금 4배 수익

    한국교직원공제회(이하 교공)가 미국 IT기업 엘리 매(Ellie Mae)에 투자해 약 1년 반 만에 4배 넘는 수익을 거뒀다.1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교공은 미국 클라우드 업체 '엘리 매'가 글로벌 증권거래소 운영기업 '인터컨티넨탈 익스체인지(ICE)'에 약 12조6000억원(110억달러)에 매각되면서 이달 초 투자금을 조기 회수하게 됐다.교공은 2018년 7월 1억달러(1150억원)를 미국 테크기업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PEF운용사 토마브라보(Thoma Bravo)가 보유한 13호 블라인드펀드에 출자했다. 토마브라보는 지난해 해당 블라인드펀드와 병행투자 펀드 등을 활용해 약 37억달러(4조2000억원)에 엘리 매를 인수했다.교공의 13호 블라인드펀드 출자 금액 중 약 145억원(1260만달러)이 해당 거래에 투입됐다. 교공은 병행 투자에도 참여, 287억(2500만달러)를 추가로 투입해 총 432억원을 투자했다. 이번 매각으로 교공이 확보할 자금은 약 1770억원(1억5380만달러)에 달해 연 환산 수익률(IRR) 기준 167%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엘리 매는 1997년 설립된 회사로 주로 미국 내 주택 모기지 대출과 관련한 디지털 플랫폼을 제공해 온 업체다. 인터컨티넨탈 익스체인지는 2016년 MERS(Mortgage Electronic Registarations Syste), 2019년 심플리파일(Simplifile) 등 미국 내 모기지 디지털화 관련 업체를 잇따라 인수한 바 있다.   차준호 기자 chacha@hankyung.com 

  • 교직원공제회 1년반 새 해외 PEF 투자 80% 늘렸다

    교직원공제회 1년반 새 해외 PEF 투자 80% 늘렸다

    한국교직원공제회의 국내·외 사모투자펀드(PEF) 투자 잔액이 지난 6월 말 기준 4조원을 넘어섰다. 1년 반 만에 약 1조4000억원의 투자금이 늘어났다. 투자 자산 다변화를 위해 대체투자 부문에 힘을 실으면서 부동산 등 실물자산뿐 아니라 PEF에 대한 투자도 함께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8일 교직원공제회에 따르면 이 기관이 운용하는 국내·외 PEF 투자 잔액은 약 4조2240억원으로 집계됐다. 국내 PEF 투자 금액은 2조3224억원, 해외 PEF 투자 금액은 1조9016억원에 달했다.  2018년 말 기준 전체 PEF 투자 잔액은 2조8460억원(국내 1조8082억원, 해외 1조558억원)이었다. 1년 반 사이에 투자금이 1조3780억원가량 늘어났다.  같은 기간 해외 PEF에 대한 신규 투자 금액은 국내 PEF에 투자된 금액을 크게 뛰어넘었다. 2019년 1월부터 지난 6월까지 해외 PEF 투자금은 80.10%인 8458억원이 늘었으며 국내 PEF 투자금은 22.14%(5142억원) 늘어났다.   교직원공제회는 2018년 PEF 투자를 전담하는 기업금융부를 신설하며 해외 PEF 상품에 대한 투자를 본격화했다. 2017년부터 해외 자산운용사들과 블라인드 펀드 약정을 체결하며 해외 PEF에 대한 투자를 준비해왔고 2018~2019년 사이 이들 펀드에 지속적인 투자를 단행하며 투자금을 늘렸다. 교직원공제회 관계자는 “2018년부터 블라인드 펀드에서 캐피털 콜이 들어오면서 펀드에 돈이 들어가기 시작했고 덕분에 해외 PEF 투자금액이 크게 늘었다”며 “북미, 유럽, 호주 등 선진국 시장에 투자하는 안정적인 PEF 상품에 투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교직원공제회, 상반기 해외 부동산 투자서 9.7% 수익 올려

    교직원공제회, 상반기 해외 부동산 투자서 9.7% 수익 올려

    한국교직원공제회가 올해 상반기 대체투자 부문에서 6.9%(연 환산 기준)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해외 실물 부동산 투자 부문의 수익률은 9.7%다.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의 확산으로 전 세계 경제가 침체에 빠진 상황에서도 대체투자 부문에서 지난해 상반기(6.6%)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교직원공제회는 최근 미국 버지니아주 고급 임대형 아파트에 5000만 달러(약 600억원)을 투자하는 등 안정적인 현금흐름이 창출되는 해외 부동산 투자에 대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3일 교직원공제회의 수익현황 공시에 따르면 교직원공제회는 올해 상반기 9075억원을 벌어들이며 5.4%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6.3%의 수익률을 기록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하면 수익률이 다소 떨어졌으나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를 감안하면 양호한 실적을 거두었다는 평가다.◆전체 투자금의 55.2%는 대체투자 자산에 배분 주식, 채권, 대체투자, 단기자금 운용 등 여러 투자처 중 투자 비중이 55.2%에 달하는 대체투자 부문에서의 성과가 수익률 방어를 이끌었다. 교직원공제회는 올해 상반기 대체투자 부문에서 6121억원을 벌어들여 6.9%(연 환산 기준)의 수익률을 거뒀다.  특히 해외 실물 부동산 부문에서 3432억원을 벌어들여 9.7%(연 환산 기준)의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 해외 부동산 투자에서 기록한 6.2%의 수익률을 크게 뛰어넘는 수준이다. 해외 실물 부동산 부문은 교직원공제회의 대체투자 부문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전체 대체투자 금액 가운데 40.4%를 투자하고 있으며 오피스 빌딩과 상업시설 등 민간 부동산 자산(26.9%%)와 사회간접자본(SOC) 등 인프라 시설(13.5%)에 나눠

  • [마켓인사이트]교직원공제,삼성 키움운용과 KB운용에 해외주식운용 1000억원씩 위탁

    [마켓인사이트]교직원공제,삼성 키움운용과 KB운용에 해외주식운용 1000억원씩 위탁

    ≪이 기사는 09월11일(04:1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교직원공제회가 해외 운용사의 주식형 펀드 국내 위탁운용사로 삼성자산운용과 키움자산운용을 선정했다. KB자산운용도 예비운용사로 선정해 연말께 추가로 자금을 위탁하기로 했다. 1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교직원공제회는 삼성자산운용과 키움자산운용를 해외주식 재간접펀드 투자 위탁사로 선정해 각각 1000억원씩을 출자하기로 했다. 예비운용사로 선정한 KB자산운용에도 연말께 1000억원의 추가 자금을 마련해 출자하는 등 총 3000억원을 위탁한다. 교직원공제회 관계자는 “기존 해외주식 포트폴리오에 재간접펀드 유형이 없어서 이번에 처음으로 투자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선정된 운용사는 교직원공제회와 협의를 통해 투자 목적에 맞는 해외운용사(또는 공모펀드)를 뽑고 해외주식 투자를 위한 집합투자기구 설정(또는 일임 계약) 업무를 맡는다. 선정된 해외운용사는 일임 계약을 통해 해외주식을 투자하게 된다. 위탁운용사 유효기간은 계약 체결일로부터 2년까지다. 교직원공제회 관계자는 “계약기간은 선정된 기관의 운용성과 등에 따라 연장이 가능하다”고 전했다.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교직원공제회, 해외 재간접 펀드에 2000억원 출자

    [마켓인사이트]교직원공제회, 해외 재간접 펀드에 2000억원 출자

    ≪이 기사는 08월22일(16:55)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교직원 공제회가 해외 재간접펀드(펀드 오브 펀드) 출자에 나섰다. 재간접은 펀드에 투자하는 펀드로 여러 펀드에 분산투자해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수익을 추구할 수 있다.교직원공제회는 지난 13일 '해외주식 재간접 위탁운용사 선정' 계획을 발표했다. 해외주식 재간접펀드에 총 2000억원을 투자하는 교직원 공제회는 총 2곳의 위탁운용사를 선정해 각각 1000억원씩 출자할 계획이다.선정된 운용사는 교직원공제회와 협의를 통해 투자 목적에 맞는 해외운용사(또는 공모펀드)를 뽑고 해외주식 투자를 위한 집합투자기구 설정(또는 일임 계약) 업무를 맡는다. 선정된 해외운용사는 일임 계약을 통해 해외주식을 투자하게 된다. 교직원공제회는 예비운용사 1곳을 추가로 뽑아 내년 중 추가로 100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위탁운용사 유효기간은 계약 체결일로부터 2년로, 운용성과 등에 따라 연장이 가능하다. 제안서 접수는 오는 26일까지다. 교직원공제회는 서류평가 구술평가 등을 거쳐 내달 6일 최종 선정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교직원공제회, 8900억 블라인드펀드 운용사 스틱·IMM·VIG 등 선정

    교직원공제회가 바이아웃(경영권매수) 사모펀드(PEF) 위탁운용사로 IMM PE와 스틱인베스트먼트 등을, 벤처캐피탈(VC) 위탁사로 코오롱인베스트먼트와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등을 선정했다. 교직원공제회는 역대 최대인 8900억원을 블라인드펀드에 출자한다. 교직원공제회는 1일 블라인드펀드 국내 위탁운용사로 PEF 부문 9곳과 VC 부문 7곳 등 16곳을 최종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신규 출자 규모는 PEF 부문 8000억원, VC 부문 900억원 등 총 8900억원이다. 교직원공제회는 PEF와 VC 위탁운용사를 펀드 규모에 따라 별도로 각각 선발했다. 펀드 규모 5000억원 이상인 대형 PEF 위탁운용사로는 IMM PE, 스틱인베스트먼트, VIG파트너스, 스카이레이크인베스트먼트, 유니슨캐피탈의 5개사가 선정됐다. 1조원 이상 규모의 펀드 결성이 예상되는 IMM PE와 스틱인베스트먼트 등엔 1500억~2000억원, 1조원 미만 펀드를 결성하는 곳에는 1000억원 이내 금액이 출자될 예정이다. 펀드 규모 2000억~5000억원인 중형 PEF 운용사로는 SG PE, 프랙시스캐피탈파트너스 등 2개사가 선정됐다. 교직원공제회는 최대 500억원을 출자한다. 설립 후 5년 이내거나 교직원공제회 출자를 받지 않은 운용사인 루키 부문에선 SBI인베스트먼트, 키스톤PE 등 2곳이 각각 최종 선정됐다. 700억~2000억원의 규모의 펀드 자금 가운데최대 250억원을 교직원공제회로부터 출자받게됐다. VC 가운데는 펀드 규모 600억원 이상 부문에선 컴퍼니케이파트너스, 코오롱인베스트먼트,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의 3개사가 선정돼 각각 최대 200억원을 받을 예정이다. 신생 VC 운용사 부문에선 서울투자파트너스, 유비쿼스인

  • [마켓인사이트]교직원공제회 PEF, VC 8900억 '역대급' 출자 시동

    [마켓인사이트]교직원공제회 PEF, VC 8900억 '역대급' 출자 시동

    한국교직원공제회가 8900억원 규모의 국내 경영권매매(바이아웃) 사모펀드(PEF)와 벤처캐피탈(VC) 위탁운용사 출자에 나선다. 교직원공제회가 한번에 출자하는 액수로 역대 최대 규모다.교직원공제회는 5일 PEF 부문 8000억원, VC부문 900억원 규모의 블라인드 펀드(투자처를 정하기 전에 자금을 모으는 펀드) 출자사를 선정한다고 발표했다.PEF부문은 총 9개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운용사별 펀드 결성 규모를 따쳐 5000억원 이상의 A타입과 미만의 B타입으로 차등화해 출자한다. 펀드 규모 5000억원 이상인 운용사를 대상으로 하는 A타입은 총 5개를 선정해 1000억~2000억원씩을 나눠줄 예정이다. B타입은 일반과 신생운용사(루키) 리그로 다시 한번 나눈다. 펀드 규모가 2000억~5000억원 사이인 운용사 2곳을 뽑아 500억원 씩을(총 1000억원) 출자하고, 펀드 규모가 700억~2000억원 사이인 운용사 2곳에는 250억원 씩을 출자할 예정이다. VC부문은 펀드 규모 600억원 이상인 A타입과, 300억~600억원 미만의 B타입(루키)으로 나눠 최대 7개사에게 자금을 나눠주기로 했다. A타입에는 3개사를 선정해 200억원씩을, B타입에는 4개사를 뽑아 50어억~100억원을 출자할 예정이다.펀드 결성 규모별로 배정금액을 차등화한 이유는 대형 국경간거래(크로스보더) 인수합병(M&A)과, 중견기업의 바이아웃, 고용창출효과가 큰 우량 중소기업과 벤처기업 등으로 투자처를 다변화하려는 차원이다. 교직원공제회 관계자는 “신생 운용사도 공제회의 출자확약을 마탕으로 원활히 펀드 모집을 할 수 있도록 루키리그를 신설했다”고 설명했다.3년 내 금융감독기관으로부터 기관경고 이상 제재를 받지 않은 국내 운용사만

  • [마켓인사이트]교직원공제회 2018년 기금운용수익률 4.1%

    [마켓인사이트]교직원공제회 2018년 기금운용수익률 4.1%

       ≪이 기사는 03월28일(17:1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한국교직원공제회가 2018년 4.1%의 기금운용 수익률을 기록했다.교직원공제회는 최근 대의원회에서 이 같은 2018년 결산보고를 의결했다고 28일 발표했다.교직원공제회가 지난해 기금운용을 통해 벌어들인 수익은 1조417억원 집계됐다. 부동산, 인프라, 사모펀드(PEF) 등으로 투자처를 다변화한 게 주효했다. 2014년 40%가량이던 대체투자 및 기업금융 투자 비중도 2018년 연말 기준 56.6%까지 올라갔다.국내 부동산 투자 부문에서 지난해 17.2%의 수익률을 기록해 실적을 견인했다. 서울 광화문(중학동) 더케이트윈타워를 성공적으로 매각했고, 부실채권(NPL) 펀드에서도 분배금을 얻었다.운용자산 규모는 2017년 대비 1조1920억원 늘어난 26조2097억원을 기록했다.2019년 목표치는 운용자산 28조8367억원, 수익률 4.7%로 정했다.교직원공제회는 위험 분산을 위해 해외투자 비중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올해 투자 비중은 국내 56.4%, 해외 43.6%다. 지난해 연말엔 국내 58%, 해외 42%를 기록했다.해외 부동산 투자에선 주거 패턴 변화와 전자상거래의 성장 같은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멀티패밀리(임대주택), 물류시설 등에 중점 투자하기로 했다. 또 그동안 멕시코, 칠레, 페루, 콜롬비아 등 신흥국 투자를 늘리고, 민관협력(PPP) 인프라 투자도 적극 검토할 예정이다.자산 배분 비중은 주식 17%, 채권 28.3%, 기업금융 17.6%, 대체투자 37.1%를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에 주‘OECD 경기선행지수’가 상승 반전과 각국의 금융완화 정책을 기대하고, 주식시장에서 저가 매수 기회를 적극 노릴 계획이다.차성수 교직

  • 교직원공제회 CIO에 김호현 기업금융부장

    교직원공제회 CIO에 김호현 기업금융부장

    한국교직원공제회가 신임 기금운용총괄이사(최고투자책임자·CIO)에 김호현 기업금융부장(사진 왼쪽)을 선임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인사는 지난해 8월 임기가 만료된 강성석 이사의 후임 인사다. 공채 3기인 김 신임 CIO는 금융사업부 위탁운용팀장, 공제사업부 회원업무팀장, 사업운영부 건설지원팀장, 금융투자부장 등을 지냈다.교직원공제회는 경영지원이사로 조경제 경영전략기획실장(사진 오른쪽)을 선임했다. 공채 1기인 조 이사는 개발사업부 개발1팀장, 강원도지부 사무국장, 개발사업부장 등을 거쳤다. 김 이사와 조 이사의 임기는 17일부터 2022년 1월 16일까지다.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교직원공제회, 도시바메모리·ADT캡스에 6400억 '베팅'

    [마켓인사이트] 교직원공제회, 도시바메모리·ADT캡스에 6400억 '베팅'

    ▶마켓인사이트 8월16일 오전 3시36분교직원공제회가 올해 국내 기업이 참여한 인수합병(M&A) 중 금액 기준으로 1, 2위인 일본의 도시바메모리(16조8801억원)와 보안업체 ADT캡스(2조9760억원) 인수에 6000억원이 넘는 대규모 자금을 베팅했다.1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교직원공제회 국내기금운용본부는 SK하이닉스와 미국계 사모펀드(PEF) 베인캐피털 등 한·미·일 컨소시엄이 인수하는 도시바메모리의 비전환우선주(NCPS)에 투자하기로 했다.베인캐피털이 위험 분산을 위해 선매입 후 주관사 현대차증권을 통해 국내 투자자에게 재판매하는 총 5600억원 물량 중 교직원공제회가 3100억원을 책임지기로 했다. 연 8~9% 수익이 보장된 투자여서 국내는 물론 해외 투자자들도 큰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교직원공제회는 SK텔레콤과 호주계 PEF 맥쿼리의 ADT캡스 인수와 관련해서는 맥쿼리가 조성하는 5500억원 규모 펀드에 최대 18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연 5~6% 수익이 보장돼 있으며 기업공개(IPO) 등에 성공할 경우 두 자릿수 이상의 수익률 달성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직원공제회는 또 인수금융으로도 600억원을 빌려주기로 했다. 교직원공제회가 핵심 투자자로 있는 인수금융 펀드에서 900억원을 대출해 주는 것까지 포함하면 ADT캡스 투자에 최대 3300억원을 넣는 셈이다.두 건의 대규모 인수 프로젝트에 교직원공제회가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은 거래 초기부터 투자 구조 등을 함께 논의하면서 입지를 넓혔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고재택 팀장을 비롯해 조영민 차장 등 10년 이상 대체투자 분야에 몸 담고 있는 경험 있는 실무자들 역할도 컸다. 다른 연기금이나 공제회는 순환보직으로 대체투자 실

  • [마켓인사이트] 현대차투자證·교직원공제회, 도시바메모리 우선주 쟁탈전서 웃다

    [마켓인사이트] 현대차투자證·교직원공제회, 도시바메모리 우선주 쟁탈전서 웃다

    ▶마켓인사이트 6월3일 오후 3시50분현대차투자증권이 교직원공제회와 손잡고 SK하이닉스·베인캐피털 등으로 구성된 한·미·일 컨소시엄의 도시바메모리 인수에 약 5000억원을 투자한다. 현대차증권은 국내 재무적투자자(FI) 가운데 유일하게 도시바메모리 인수에 참여하게 됨으로써 연 8~9% 고수익을 얻게 될 뿐 아니라 투자은행(IB)으로서 재평가받는 기회가 생겨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는 평가가 나온다.◆국내 FI 중 유일하게 우선주 인수 참여3일 IB업계에 따르면 현대차증권과 교직원공제회는 도시바메모리의 비전환우선주(보통주로 전환되지 않는 우선주) 중 5000억원어치를 인수하기로 했다. 자금 대부분을 지원하기로 한 교직원공제회는 조만간 투자심의위원회를 열어 승인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현대차증권과 교직원공제회가 인수하는 비전환우선주는 한·미·일 컨소시엄 중 베인캐피털이 ‘셀다운(인수 후 재판매)’ 방식으로 넘기는 주식 중 일부다. 한·미·일 컨소시엄이 인수자금 2조3억엔(약 19조6000억원) 가운데 5조원가량을 비전환우선주 발행으로 조달하기로 했는데, 국내 FI 가운데 유일하게 투자 기회를 갖게 됐다. 비전환우선주는 보통주로 전환되지 않지만 연 8~9%의 수익률이 보장된 우량 투자자산이어서 FI의 관심이 높았다.도시바메모리의 비전환우선주에는 현대차증권과 교직원공제회 외에 도시바메모리로부터 낸드플래시를 공급받는 애플, 델, 시게이트, 킹스턴 등 글로벌 대기업과 일본의 FI들이 공동 투자자로 참여한다.현대차증권과 교직원공제회는 지난해 말부터 도시바메모리의 비전환우선주 투자를 준비해왔다. 최근 도시바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