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06월 20일 08:58 자본 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신한생명이 후순위채 발행에 이어 3억달러(약 3200억원)어치 해외 영구채(신종자본증권) 발행을 추진한다. 3년 뒤 새 보험업 회계처리기준(IFRS17) 도입에 대비해 본격적으로 자본 확충작업에 시동을 걸었다.

2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다르면 신한생명은 하반기 내로 해외시장에 3억달러 규모 영구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발행구조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기업들이 일반적으로 발행하고 있는 30년 만기에 5년 후 조기상환권(콜옵션) 행사 조건이 붙은 형태가 유력하다. 영구채는 만기가 정해져 있지만 발행회사의 결정에 따라 만기 연정이 가능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되는 채권이다.

신한생명 관계자는 “추가적인 자본확충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해외시장에서 영구채를 발행하기로 했다”며 “정확한 발행시점과 발행조건은 시장상황을 지켜본 뒤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회사는 지난 12일엔 후순위채 발행을 통해 2000억원을 조달했다. 후순위채 역시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받는 채권이다. 다만 만기가 5년 이상 남을 때만 발행금액의 100%가 자본으로 반영된다. 채권 만기가 5년 미만으로 줄어들면 매년 자본으로 인정되는 금액이 20%씩 축소된다.

신한생명이 해외 영구채 발행에 나선 것은 2021년 IFRS17 시행에 앞서 선제적으로 자본을 쌓아두기 위해서다. 보험 부채를 시가로 평가해야 하는 IFRS17 아래에선 회계상 부채 증가가 불가피해 미리 자본을 늘려놔야 자산건전성 악화를 막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주요 보험사들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받는 영구채나 후순위채를 잇달아 발행하고 있다.

신한생명이 영구채 발행을 성공적으로 끝마치면 자산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RBC)비율이 200% 이상으로 상승할 전망이다. 이 회사는 최근 후순위채 발행으로 지난 1분기 말 174%였던 RBC비율을 194% 수준으로 높였다. 금융당국은 현재 보험사들에 RBC비율을 150% 이상으로 유지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