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인사이트] 경기 침체에…부실채권 시장 '큰 장' 선다
▶마켓인사이트 8월 6일 오전 4시28분부실채권(NPL) 전문 투자회사들의 물량 확보 경쟁이 뜨겁다. 연평균 5조원 규모인 NPL시장이 경기 침체로 크게 성장할 것으로 보고 시장 선점에 나섰다는 분석이다.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하나은행 자회사인 하나에프앤아이(옛 외환캐피탈)는 작년에만 약 5700억원(채권 원금 기준 약 7000억원) 규모 NPL을 새로 사들였다. 올 3월 말 현재 보유 NPL 자산총액은 7787억원으로, 2016년 4572억원에서 2년여 만에 70% 급증했다. 지난해 NPL 입찰시장 점유율은 10% 초반으로, 연합자산관리와 대신에프앤아이 등 선두 업체를 빠르게 추격하고 있다. 2017년 이 회사의 입찰시장 점유율은 5% 수준이었다.NPL 투자회사들은 주로 은행으로부터 부실 주택담보대출을 싼값에 사들인 뒤 재판매하거나 담보물건(아파트 등)을 처분해 수익을 올린다. 하나에프엔아이는 2013년 캐피털업에서 업종을 전환한 뒤 고수익 NPL시장 공략에 집중해왔다. 유상증자 및 신종자본증권(영구채) 발행을 통해 2015년 이후로만 1300억원 규모의 자본을 확충했다. 이 덕분에 2013년 적자였던 순이익은 지난해 113억원 흑자로 전환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순이익/자기자본)은 9.2%에 달한다.후발 업체들이 공격적으로 시장에 뛰어들면서 1위인 연합자산관리와 2위 대신에프앤아이 점유율은 완만한 감소세다. 8개 은행을 주주로 두고 있는 연합자산관리는 2018년 NPL시장(입찰 물량)의 40%를, 대신에프앤아이는 20%를 점유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두 회사 점유율이 80%에 달했던 점을 감안하면 시장 지배력이 다소 약해졌다. 하나에프앤아이 뒤로는 미래에셋자산운용, KB자산운용, 이지스자산운용 등이 5~10% 정도의 점유율로 순위
-
[마켓인사이트] 저금리 차입 나선 부실채권 투자회사들
▶마켓인사이트 7월 22일 오후 1시32분부실채권(NPL) 투자회사인 대신에프앤아이와 하나에프앤아이가 연이어 회사채를 발행한다. 금리가 크게 떨어진 틈을 활용해 이자비용 절감에 나섰다는 평가다.23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대신에프앤아이는 오는 30일 8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3년물 500억원, 5년물 300억원으로 나눠 발행하기로 했다. 하나에프앤아이도 다음달 1500억원어치 채권을 발행하기로 했다. 채권 만기는 2년과 3년으로 나누는 것을 검토 중이다.두 회사 모두 차입금 만기 도래 시기에 맞춰 이전보다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회사채 발행에 나섰다. 대신에프앤아이와 하나에프앤아이에 대한 채권시장 평가는 다소 엇갈린다.대신에프앤아이는 3년여간 서울 한남동 외인주택부지 개발에 1조원이 넘는 자금을 투입하면서 재무구조가 악화됐다. 2016년 말 5.7배였던 이 회사 자기자본 대비 총자산 비율은 올해 3월 말 8.4배까지 상승했다. 이런 이유로 지난해 신용등급이 ‘A+’에서 ‘A’로 한 단계 떨어졌다.하나에프앤아이는 2013년 말 캐피털에서 NPL 투자로 주력사업을 바꾼 뒤 수익구조를 탄탄히 다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16년 영업이익이 2억원이었던 이 회사는 2017년 103억원, 지난해 144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NPL 투자자산을 7000억원 이상으로 늘리면서 관련 수익도 증가하고 있다. 국내 신용평가사들은 이 같은 변화를 반영해 지난 4~5월 하나에프앤아이 신용등급(A-)에 ‘긍정적’ 전망을 달았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예일회계법인, NPL 매각자문 3년째 1위
▶마켓인사이트 1월14일 오전 4시30분예일회계법인이 삼일 삼정 안진 한영 등 회계법인 ‘빅4’를 제치고 지난해 은행권 부실채권(NPL) 시장에서 3년 연속 매각 자문 1위를 기록했다. NPL은 석 달 이상 연체됐거나 원리금이 정상적으로 상환되지 않은 대출채권이다. 은행들은 경영지표를 개선하기 위해 NPL을 대출 원금보다 싸게 매각한다.14일 한국경제신문 자본시장전문매체인 마켓인사이트에 따르면 예일회계법인은 지난해 전체 NPL 입찰 물량 4조8264억원(원금 기준) 가운데 1조4241억원어치를 매각 자문하며 점유율 29.5%를 기록했다.삼정KPMG가 2위로 1조497억원어치(점유율 21.8%)를 자문했다. 다음은 EY한영 8931억원(18.5%), 삼일PwC 6006억원(12.4%), 딜로이트안진 5904억원(12.2%), 회계법인 예교 2685억원(5.6%) 등의 순이었다. 삼정KPMG는 2년 연속 2위를 차지했으며 EY한영은 2016년 5위에서 2017년 4위, 지난해 3위로 매년 순위가 올라가고 있다.예일회계법인은 NPL 자문 인력을 꾸준히 보강하면서 조직 역량을 집중해 2016년부터 작년까지 이 부문 수위에 올랐다. 회계업계 관계자는 “빅4 회계법인이 인수합병(M&A) 자문에 힘을 쏟는 동안 예일회계법인은 ‘틈새시장’인 NPL에 집중했다”며 “전문성을 인정받아 은행 고객사가 늘었다”고 말했다. 예일회계법인은 2005년 11월 출범했으며 회계사 50여 명 등 임직원은 100여 명에 달한다.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
연합자산관리, 회사채 청약경쟁률 2.45대1
≪이 기사는 11월02일(05:0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연합자산관리가 발행하는 회사채에 모집액의 두 배가 넘는 투자수요가 모였다. 국내 1위 부실채권(NPL) 투자회사로 안정적인 이익을 내는 것이 기관투자가들의 관심을 끌었다는 평가다.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연합자산관리가 20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하기 위해 전날 기관들을 상대로 벌인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총 4900억원의 매수주문이 들어왔다. 1500억원을 모집한 3년물에 3600억원, 500억원을 모집한 5년물에 1300억원씩 모였다. 한국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SK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았다.탄탄한 시장지위를 바탕으로 견조한 실적을 내는 것을 눈여겨본 여러 기관들이 투자에 뛰어들었다는 분석이다. 연합자산관리는 국내 NPL 시장의 35% 이상(대출원금 기준)을 차지하며 주요 은행들로부터 부동산 담보채권과 회생진행 기업의 채권을 사들이고 있다. 지난 상반기 매출은 2094억원을 전년 동기 대비 29.8%, 영업이익은 822억원으로 161.5% 증가했다.국민은행 산업은행 신한은행 등 국내 8개 은행을 주주로 두고 있어 모회사의 지원여력이 강한 것도 투자수요를 모으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연합자산관리가 현재 주주들로 받을 수 있는 출자한도는 6425억원에 달한다. 연합자산관리는 넉넉한 수요가 모이자 채권 발행금액을 3000억원으로 늘리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채권 금리는 당초 희망했던 수준보다 다소 높게 결정될 전망이다. 지난 1일 민간 채권평가사들이 시가평가한 이 회사 채권금리는 3년물이 연 2.421%, 5년물이 연 2.642%다. 연합자산관리의 신용등급은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세 번째로 높은 ‘AA&r
-
연합자산관리, 올해 세 번째 회사채 발행
국내 1위 부실채권(NPL) 투자회사인 연합자산관리가 올해 세 번째 회사채 발행에 나선다. 이 회사의 우량한 신용도를 고려하면 많은 기관투자가들이 투자에 나설 전망이다.1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연합자산관리는 다음달 초 20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채권 만기는 3년과 5년으로 나누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이르면 이달 말 기관들을 상대로 수요예측(사전 청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국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SK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고 있다.연합자산관리는 매년 회사채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회사 중 한 곳이다. 올해도 지난 1월(3000억원)과 5월(2000억원) 두 차례 회사채를 찍어 5000억원을 마련했다. 연합자산관리는 이번 채권 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을 다음달 말 만기 도래하는 2000억원어치 회사채를 갚는데 사용할 계획이다.이 회사는 탄탄한 시장지위를 바탕으로 안정적으로 이익을 내고 있어 여러 투자자들이 이번에 발행될 채권에 관심을 보일 전망이다. 유암코는 국내 NPL 시장의 35% 이상(대출원금 기준)을 점유하며 주요 은행들로부터 부동산 담보채권과 회생진행 기업의 채권을 매입하고 있다. 지난 상반기 거둔 매출은 209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8%, 영업이익은 822억원으로 161.5% 증가했다. 국민은행 산업은행 신한은행 등 국내 8개 은행을 주주로 두고 있어 모회사의 지원여력도 탄탄하다는 평가다. 현재연합자산관리가 주주들로 받을 수 있는 출자 한도는 6425억원에 달한다. 국내 신용평가사들은 이를 반영해 유암코의 신용등급을 10개 투자등급 중 세 번째로 높은 ‘AA’(안정적)로 매기고 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대신F&I, 3년만에 공모 회사채 투자수요 확보
부실채권(NPL) 투자회사인 대신F&I가 3년 만에 공모 회사채 투자수요 확보에 성공했다. 대규모 자금을 투입한 최고급 주택단지 임대가 성공적으로 끝나면서 유동성 악화 우려가 잠잠해진 것이 기관투자가들의 관심을 이끌어냈다는 분석이다.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대신에프앤아이가 8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하기 위해 이날 기관들을 상대로 벌인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총 2380억원의 매수주문이 들어왔다. 400억원씩 모집한 2년물과 3년물에 각각 1280억원, 1100억원이 모였다. 이전까지 세 차례 연속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모집액을 채우는 데 실패했던 이 회사는 2015년 6월 이후 약 3년 만에 투자수요를 확보하게 됐다. KB증권이 이번 채권 발행실무를 맡았다.당초 채권시장에선 부동산 개발사업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신용도 하락에 대신에프앤아이의 자금조달이 순탄치 않을 것이란 예상이 많았다. 서울 용산구 한남동 외인아파트 부지에 최고급 주택단지(나인원한남)를 개발 중인 이 회사는 희망했던 분양가(평당 6460만원)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서 승인하지 않자 사업구조를 ‘임대 후 분양’으로 변경했다. 임차인들이 2024년부터 분양 전환을 할 수 있게 되면서 투자 원리금을 회수하는 시기가 미뤄졌다. 이에 국내 신용평가사들은 지난 6월 대신에프앤아이 신용등급을 ‘A+’에서 ‘A’로 한 단계 떨어뜨렸다.하지만 나인원한남 임대가 성황리에 끝나자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가라앉았다는 평가다. 대신에프앤아이가 지난달 진행한 나인원한남 청약에 총 1886명의 신청이 몰리면서 341가구의 임대계약이 모두 체결됐다. 이 회사는 이 임대계약을 통해 약 1조3000억원을 확보, 오는
-
하나에프앤아이 회사채 청약경쟁률 4.9대1
≪이 기사는 07월17일(17:4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하나금융그룹의 부실채권(NPL) 투자회사인 하나에프앤아이가 발행하는 회사채에 모집액보다 다섯 배 많은 투자수요가 모였다. 최근 실적 개선를 눈여겨본 기관투자가들이 대거 투자에 나섰다.1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하나에프앤아이가 12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하기 위해 이날 기관들을 상대로 벌인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총 5880억원의 매수주문이 몰렸다. 400억원을 모집한 1년6개월물에 1600억원, 800억원을 모집한 2년물에 4280억원이 들어왔다. 유안타증권과 IBK투자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았다.실적 개선과 함께 재무구조가 안정화된 것이 기관들 사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는 분석이다. 하나에프앤아이는 2016년 2억원에 그쳤던 영업이익을 지난해 103억원으로 늘렸다. 올 1분기에도 29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수익성 개선세를 이어가고 있다. 여신전문사업 관련 투자손실을 줄이면서 NPL사업에서 꾸준히 이익을 쌓은 덕분이다. 이익을 늘리는 가운데 지속적인 유동성 확보를 통해 차입부담도 줄였다. 이 회사는 2016년 300억원어치 영구채(신종자본증권) 발행, 지난해 3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통해 2015년 말 496억원이었던 자기자본을 지난 1분기 말 1146억원으로 늘렸다. 같은 기간 부채비율은 970.2%에서 457.6%로 떨어졌다.하나에프앤아이는 풍부한 수요가 몰리자 채권 발행금액을 1500억원으로 늘리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발행금리도 기대했던 것보다 낮게 결정될 전망이다. 1년6개월물은 희망금리 대비 0.1%포인트 낮은 2.6%, 2년물은 0.2%포인트 낮은 2.7% 수준의 금리로 발행될 예정이다. 이 회사의 신용
-
하나에프앤아이 회사채 청약경쟁률 3.8대1
≪이 기사는 03월30일(08:5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하나금융그룹의 부실채권(NPL) 투자회사인 하나에프앤아이가 발행하는 회사채에 모집액보다 세 배 이상 많은 투자수요가 모였다. 안정을 찾은 실적과 대형 금융그룹 계열사라는 점이 매력으로 부각됐다는 평가다. 3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하나에프앤아이가 10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하기 위해 전날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벌인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총 3800억원의 매수주문이 들어왔다. 400억원 규모로 모집한 1년6개월물에 1480억원, 600억원어치로 발행을 계획한 2년물에 2320억원이 들어왔다. 한국투자증권과 IBK투자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았다.최근 수익성 회복을 통해 재무구조가 안정화되고 있어 자산운용사를 비롯한 여러 기관들이 투자에 나섰다고 전해진다. 하나에프앤아이는 과거 창명해운(선박금융) 아트해운(사모펀드 투자) 딜라이브(인수금융) 등 과거 여신전문업을 할 때 투자했던 영업자산에서 142억원의 충당금을 쌓은 여파로 2016년 영업이익이 2억원에 그쳤다. 하지만 여신업 관련 투자손실을 꾸준히 줄이고 새로 시작한 NPL 투자에서 꾸준히 이익을 쌓으며 실적을 개선하고 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103억원으로 전년보다 50배 이상 증가했다.지속적인 유동성 확보를 통해 차입부담도 줄였다. 이 회사는 2016년 300억원 규모 영구채(신종자본증권) 발행, 지난해 모회사인 하나은행을 상대로 한 300억원어치 유상증자를 통해 2015년 말 496억원이었던 자기자본 규모를 1129억원으로 늘렸다. 이 덕분에 부채비율이 같은 기간 970.2%에서 432.8%로 떨어졌다.하나에프앤아이는 넉넉한 수요가 몰리자 채권
-
NPL 투자회사 하나에프앤아이, 1000억원 회사채 발행
≪이 기사는 03월15일(15:5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부실채권(NPL) 투자회사 하나에프앤아이가 1000억원 규모 회사채 발행에 나선다.1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하나에프앤아이는 다음달 5일 1000억원어치 회사채를 발행해 운영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다. 1년6개월과 2년으로 만기를 나눠 발행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한국투자증권과 IBK투자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고 있다.하나에프앤아이는 1989년 여신전문금융회사로 설립됐지만 금융지주회사법상 업종제한 규정을 지키기 위해 2013년 말 NPL투자로 업종을 바꿨다. 최대주주인 KEB하나은행이 지분 99.58%를 들고 있다.NPL투자에서 꾸준히 이익을 쌓고 최근 여신전문업 관련 투자손실 규모가 줄어든 데 힘입어 수익성을 개선하고 있다. 하나에프앤아이는 지난해 1~3분기 72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흑자전환했다. 이 회사는 창명해운(선박금융) 아트해운(사모펀드 투자) 딜라이브(인수금융) 등 과거 여신전문업을 할 때 투자했던 영업자산에서 142억원의 충당금을 쌓은 여파로 2016년 24억원의 영업손실을 냈었다. 지속적인 유동성 확보를 통해 자기자본 규모도 늘렸다. 2016년 2월 300억원 규모 영구채(신종자본증권)를 발행한 데 이어 지난해 6월 하나은행을 상대로 300억원어치 유상증자를 한 결과, 2015년 말 496억원이었던 자기자본 규모가 지난해 3분기 말 1108억원으로 증가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연합자산관리 회사채에 3900억원 매수주문
이 기사는 07월04일(06:0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국내 1위 부실채권(NPL) 투자회사인 연합자산관리가 발행할 채권에 모집액의 세 배가 넘는 수요가 몰렸다. 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연합자산관리가 12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하기 위해 전날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벌인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총 3900억원의 매수주문이 들어왔다. 1000억원 규모로 발행 예정인 3년물에 3300억원, 200억원어치로 발행할 계획인 7년물에 600억원씩 들어왔다. SK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았다. 업체간 경쟁심화에도 국내 NPL 시장 1위를 견고히 지키고 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받았다. 연합자산관리의 2014~2016년 NPL 시장점유율은 평균 40.6%(입찰 대출원금 기준)다. 올 1분기 기준 NPL투자자산 규모는 3조2000억원으로 1조8000억원이었던 2010년보다 77.8% 증가했다. 금융기관의 부실채권 매각규모가 줄어드는 가운데서도 안정적인 실적을 내고 있다는 평가다. 기업 구조조정을 지원하는 기업재무안정 사모펀드(PEF) 운영으로 투자자산 규모도 불리고 있다. 연합자산관리는 2014년 세하를 시작으로 오리엔탈정공 영광스텐 국제종합기계 등 14개 기업의 구조조정을 지원하기 위해 PEF를 설립해 관리하고 있다. 올 1분기 기준 총 출자 이행금액은 7092억원이다. 지난해 5월 영구법인이 되면서 사업 안정성이 한층 강화됐다는 평가다. 연합자산관리는 존속기간이 2019년 10월까지로 정해져 있었지만 기업 구조조정 지원업무를 맡게 된 후 영구법인으로 전환했다. 주주들과 약정 변경을 통해 이들로부터 출자받을 수 있는 자금 한도도 1조원에서
-
연합자산관리, 넉 달만에 회사채 발행
이 기사는 06월16일(11:0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국내 1위 부실채권(NPL) 투자회사인 연합자산관리가 넉 달만에 다시 회사채 시장을 찾는다. 1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연합자산관리는 다음달 11일 12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3년물 1000억원과 7년물 200억원으로 나눠 발행할 예정이다. 조달한 자금은 차입금 상환 등에 사용할 전망이다. SK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고 있다. 연합자산관리는 지난 3월 2400억원어치 회사채를 성공적으로 발행했다. 당초 계획했던 발행금액은 1200억원이었지만 수요예측에 4100억원이 몰리자 발행규모를 두 배로 늘렸다. NPL 투자시장의 경쟁심화에도 업계 1위 자리를 견고히 지키고 있다는 것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신용도도 우량하다. 이 회사의 신용등급은 ‘AA(안정적)’로 10개 투자등급 중 세 번째로 높다. 산업은행과 국민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신한은행 등 시중은행이 이 회사 지분 14%씩을 들고 있어 모회사의 지원능력도 탄탄하다는 분석이다. 다만 최근 자산 감소와 함께 실적이 악화된 것은 부담 요인으로 꼽힌다. 연합자산관리의 올 1분기 기준 총자산은 3조4043억원으로 4.8% 감소했다. 특히 투자사채 규모가 이 기간 8.4% 줄었다. 이 회사의 올 1분기 매출(878억원)과 영업이익(132억원)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9.1%, 76.3%씩 감소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