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인사이트] 사장될 뻔한 '유전자가위 기술'… 툴젠, LB 손잡고 '1兆 가치' 일궜다
▶마켓인사이트 5월3일 오후 2시41분바이오 기업 툴젠의 시작은 화려했다. 유전자 교정 분야 권위자인 김진수 박사가 ‘유전자가위’ 기술을 바탕으로 1999년 툴젠을 창업하자 국내 벤처투자업계가 들썩였다. 2000년 한국기술투자가 32억원, 2001년 한국바이오투자가 10억원을 투자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소와 삼성생명과학연구소를 거친 김 박사의 명성에다 유전자가위 기술의 가치를 인정받아서다.툴젠은 2006년 1세대 유전자가위 ‘징크핑거’, 2011년 2세대 유전자가위 ‘탈렌’을 잇따라 내놓으며 기술력도 입증했다. 하지만 2001년 이후 2014년까지 단 한 푼의 외부 투자도 받지 못하면서 자금이 말라붙었다. 10년 넘게 적자가 지속된 데다 2011년까지 연매출이 1억원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김 박사는 유전자가위 기술에는 정통했지만 회사 경영에는 문외한이었다. 그렇게 사장될 뻔한 툴젠의 유전자가위 기술은 2014년 국내 벤처캐피털(VC) LB인베스트먼트를 만나면서 기사회생했다.화려한 시작에 이은 10년의 암흑기유전자가위는 생명체의 유전자 중 질병을 일으키는 특정 부분을 잘라 제거하거나 재배열하는 생명공학 기술이다. 혈우병, 황반변성, 유전성 실명 같은 희귀 유전질환을 치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동식물 육종 개발에도 활용이 가능하다.이처럼 성장성이 큰 기술을 품고 있었지만 툴젠의 경영은 악화일로를 걸었다. 대학 연구소 수준의 부실한 회사 경영에 VC들이 등을 돌렸기 때문이다. 2006년 추진한 우회상장이 실패하면서 시장 신뢰마저 떨어졌다. 김 박사가 2005년 서울대 화학부 교수로 부임하며 국가에서 나오는 연구지원비를 받았지만 회사를 운영하기엔 턱없이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