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티원, 750억원 규모 ABCP 발행
≪이 기사는 03월16일(09:4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중소 부동산개발업체인 시티원이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을 발행해 700억원 이상을 조달했다.1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시티원은 이날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6개월 만기 ABCP 750억원어치를 발행했다. SPC가 ABCP를 발행해 마련한 자금을 시티원에 대출해주는 방식이다.이 유동화상품의 기초자산은 시티원이 SPC에 갚아야하는 750억원 규모 대출채권이다. 만기는 ABCP와 같은 6개월이며 이자는 대출일인 이날 먼저 지급됐다. 시티원은 현재 경기도 파주시에서 진행 중인 콘도미니엄 및 관련 시설을 신축하는 사업에서 나오는 수익으로 이 대출금을 상환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오는 10월 재착공을 목표로 진행 중이다. 대림산업이 시공을 맡고 있다.시티원이 SPC에 대출금을 갚지 못해 ABCP 투자자들이 원리금을 못 받을 경우를 대비해서 이번 건설사업의 시공을 맡은 대림산업이 해당 대출에 대해 연대보증을 섰다. 이를 반영해 한국기업평가는 이 ABCP의 단기 신용등급을 대림산업과 같은 ‘A2+’로 평가했다.시티원은 1997년 설립된 부동산개발업체로 경기도 파주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 2016년 영업손실 78억원, 순손실 114억원을 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정동종합토건, 대출채권 유동화로 223억원 조달
≪이 기사는 03월09일(15:1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정동종합토건이 대출채권 유동화로 200억원 이상을 조달했다.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정동종합토건은 지난 7일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2년 만기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223억원어치를 발행했다. SPC가 ABCP를 발행해 마련한 자금을 정동종합토건에 대출해주는 구조다.이 유동화상품의 기초자산은 정동종합토건이 SPC에 갚아야하는 223억원 규모 대출채권이다. 대출 만기는 ABCP와 같은 2년이며 이자는 대출일에 전액 지급됐다. 정동종합토건은 현재 경기도 평택시에서 진행 중인 2324세대 아파트 건설사업에 나오는 수익으로 이 대출금을 상환할 계획이다. 2016년 착공에 들어간 이 공사는 내년 1월 준공될 예정이다.정동종합토건이 SPC에 대출금을 갚지 못해 ABCP 투자자들이 원리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해 이번 아파트 건설사업의 시공을 맡고 있는 GS건설이 해당 대출에 대해 연대보증을 섰다. 이를 반영해 나이스신용평가는 이 ABCP의 신용등급을 GS건설 단기 신용등급과 같은 ‘A2-’로 평가했다.정동종합토건은 2002년 설립된 건설사로 토목 및 건축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2016년 매출은 1816억원으로 전년 대비 6배가량 증가했다. 같은 기간 94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두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대명종합건설, 대출채권 유동화로 461억 조달
≪이 기사는 02월28일(15:0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중소 건설사인 대명종합건설이 대출채권 유동화로 400억원 이상을 조달했다. 2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대명종합건설은 전날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1년 만기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461억원어치를 발행했다. SPC가 ABCP를 발행해 마련한 자금을 대명종합건설에 대출해주는 구조다.이 유동화상품의 기초자산은 대명종합건설이 SPC에 갚아야하는 대출금 450억원이다. 대출 만기는 1년이며 이자는 3개월마다 지급된다. 대명종합건설은 현재 서울시 강남구에 있는 일부 상업용 빌딩에서 나오는 임대수익으로 대출금을 갚을 전망이다. SPC가 이 유동화상품을 상환하지 못할 경우 이번 거래를 주관한 메리츠종합금융증권이 SPC에 부족한 자금을 대출해주기로 약속했다. 이같은 신용보강을 반영해 한국신용평가는 이번 ABCP의 신용등급을 7개 단기투자등급 중 가장 높은 ‘A1’으로 평가했다.대명종합건설은 1995년에 설립된 건설사로 도시형 생활주택과 오피스텔을 개발하고 분양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경기도 용인에 본사를 두고 있다. 2016년 매출 875억원, 순이익 65억원을 거뒀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바이엔셀개발, 대출채권 유동화로 650억 조달
≪이 기사는 02월27일(15:3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부동산 개발업체인 바이엔셀개발이 대출채권을 유동화해 650억원을 조달했다.2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바이엔셀개발은 이날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1년 만기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650억원어치를 발행했다. SPC가 ABCP 발행으로 마련한 자금을 바이엔셀개발에 대출해주는 구조다. 이 유동화상품의 기초자산은 바이엔셀개발이 SPC에 갚아야하는 대출금 650억원과 부수담보권이다. 대출 만기는 4년이며 이자는 3개월마다 지급된다. 바이엔셀개발은 대출금 만기에 맞춰 앞으로 다섯 차례 같은 규모로 ABCP를 차환할 계획이다. 내년 2월과 2022년 2월만 1개월 만기로 발행되고 나머지 세 번은 이번과 같이 1년 만기로 발행된다. ABCP를 차환할 때 투자수요가 모이지 않으면, SPC가 사모 회사채를 발행해 조달한 자금으로 팔리지 않은 물량만큼의 ABCP를 상환하기로 약속돼 있다. 이때 발행주관사인 메리츠종금증권이 해당 사모 회사채를 모두 사들이기로 돼 있다. 이같은 신용보강 덕분에 이 유동화상품은 나이스신용평가로부터 7개 단기투자등급 증 가장 높은 ‘A1’등급을 부여받았다.바이엔셀개발은 2008년 설립된 부동산 개발업체로 경기도 부천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 2016년 매출 3억7000만원, 영업적자 6억4000만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는 이번에 대출채권 유동화로 조달한 자금을 현재 시행을 맡고 있는 부천시 중동 개발사업에 사용할 계획이다. 이곳에 999세대 규모 아파트와 49개 사무실을 둔 오피스텔 등을 새로 짓는 사업이다. 오는 6월 착공을 시작해 2021년 11월 공사가 마무리될 예정이다. 현대엔지니
-
디에스디삼호, 대출채권 유동화로 550억원 조달
≪이 기사는 01월22일(15:4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중견 건설사 디에스디삼호가 대출채권 유동화로 550억원을 조달했다.2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디에스디삼호는 지난 19일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8개월 만기로 550억원 규모 자산담보부 기업어음(ABCP)을 발행했다. SPC가 ABCP를 발행해 마련한 자금을 디에스디삼호에 대출해주는 구조다.기초자산인 대출금 550억원의 만기도 ABCP와 같은 8개월이다. 원금은 만기에 일시 상환하며 이자는 대출일인 이날 지급됐다. 디에스디삼호가 기한이익상실(차입금 즉시 상환) 상태에 놓이는 등 어떤 경우에 처하더라도 이미 지급한 이자는 돌려받을 수 없다는 조건을 걸어놨다.디에스디삼호는 자산유동화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현재 시행을 맡고 있는 공사에 투입할 예정이다. 이 회사는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2도시개발구역 2-3블록에 아파트 단지를 짓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오는 7월 사업계획을 승인받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공은 GS건설이 맡을 예정이다.시공사인 GS건설이 디에스디삼호의 대출에 연대보증을 서기로 했다. 한국기업평가는 이를 반영해 이번 ABCP의 신용등급을 7개 단기 투자적격등급 중 네 번째로 높은 ‘A2-’로 평가했다. 디에스디삼호는 1990년 설립된 중견 건설사로 토목공사 및 주택건설을 통해 수익을 올리고 있다. 경기도 수원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 지분 41.09%를 들고 있는 기획재정부가 최대주주다. 이 회사가 대규모 아파트 미분양 사태로 경영난으로 세금을 납부할 여력이 없었던 2013~2014년, 김언식 회장이 나서 보유 지분 77.48%의 절반 이상을 기재부에 물납하는 방식으로 세금을 냈
-
두산건설, 공사대금 유동화로 930억 조달
이 기사는 12월19일(10:55)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두산건설이 앞으로 들어올 공사 대금을 유동화해 약 900억원의 운영자금을 조달한다. 1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두산건설은 이날 특수목적회사(SPC)를 통해 350억원 규모 자산유동화담보부대출(ABL)과 580억원어치 자산담보부 기업어음(ABCP)을 발행했다. 국내 주요 기관투자가들이 해당 상품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은행이 발행 실무를 맡았다.두산건설이 자산유동화를 위해 제공하는 기초자산은 앞으로 2년간 회사로 유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공사대금이다. 두산건설이 이 장래매출채권을 수탁은행인 산업은행의 별도계좌에 예치한 뒤 930억원어치 ABL과 ABCP를 발행하는 구조다. 수탁은행은 기초자산에서 나오는 현금을 각 유동화상품 투자자에 원리금을 상환하기 위한 재원으로 쌓아두고 남은 금액을 두산건설에 돌려주기로 돼 있다.ABL 만기는 2년이며 ABCP는 3개월 단위로 8차례 발행된다. ABCP가 차환될 때 투자자 모집이 되지 않으면 발행 주관사인 산은이 팔리지 않은 물량을 모두 인수하기로 약속했다. 이번 ABCP에 7개 투자적격등급 중 가장 높은 ‘A1’등급이 붙은 이유다. 두산건설의 단기 신용등급은 투기등급인 ‘B+’다.두산건설은 지난해 장기 신용등급이 투기등급인 ‘BB+’로 떨어지면서 장기 자금조달 수단인 공모 회사채 발행이 어려워지자 메자닌(주식으로 교환할 수 있는 채권)이나 자산유동화를 통해 단기로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지난해 6월(1430억원)에 이어 지난 3월(1445억원)에도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발행해 1000억원
-
서브원, 대출채권 유동화로 500억원 조달
이 기사는 11월29일(12:5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국내 소모성물품구매대행(MRO)업계 1위 기업인 서브원이 대출채권을 유동화해 운영자금을 조달한다. 2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서브원은 오는 30일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500억원 규모 자산담보부 기업어음(ABCP)을 발행할 계획이다. SPC가 ABCP를 발행해 마련한 자금을 서브원에 대출해주는 구조다.대출 만기는 2년으로 원리금은 모두 만기에 상환한다. 기초자산인 대출금 만기에 맞춰 ABCP는 2년 동안 총 여섯 차례 발행된다. 가장 짧은 만기는 1개월, 가장 긴 만기는 1년이다. 차환할 때 투자자가 모이지 않으면 발행 주관사인 신한은행이 팔리지 않은 ABCP를 모두 인수하겠다고 약속했다.서브원은 LG그룹의 MRO업체로 기업들의 물품구매관리, 건물관리 등을 주력사업으로 하고 있다. 국내 9개 물류센터와 2만7000여곳에 달하는 공급 협력업체를 바탕으로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MRO사업에서 600여곳의 고객사를 두고 있다. LG전자 LG화학 LG생활건강 등 LG 계열사들이 핵심고객이다. 올 1~3분기 매출은 4조870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8%, 영업이익은 1854억원으로 42% 증가했다. 2014년 이후 외형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함께 이뤄지고 있다. 최근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면서 금융시장에서 차입을 늘리고 있다. 서브원은 2015년부터 LG그룹 ‘마곡사이언스파크’ 건설에 1300억원가량을 투자했다. 연말 완공까지 약 900억원을 더 투자할 예정이다. 오는 30일에는 서울 도곡동에 있는 LG전자 연구개발(R&D) 빌딩을 2230억원에 사들인다. 서브원은
-
현대중공업 특수선 채권 담보로 4000억 조달 추진
이 기사는 06월02일(11:2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현대중공업이 기업분할 후 처음으로 대규모 자금조달에 나선다. 건조 중인 특수선(군함) 관련 채권을 담보로 4000억원을 마련할 계획이다. 실적 개선으로 투자심리가 조금씩 살아나면서 차입금 만기를 늘려가고 있다는 분석이다. 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은 이르면 이달 중 군함 5척을 담보로 한 자산유동화담보부대출(ABL)과 자산담보부 기업어음(ABCP) 발행을 통해 4000억원을 조달할 예정이다. 투자자 모집을 위해 지난달 주요 기관투자가들에 투자설명서(IM)을 보내놓은 상태다.현대중공업이 자산유동화를 위해 제공하는 기초자산은 3년6개월 동안 군함 건조대금으로 들어올 것으로 예상되는 약 1조6000억원의 장래매출채권이다. 건조대금은 발주처인 방위사업청이 6개월마다 현대중공업에 지급하기로 돼 있다. 현대중공업이 이 장래매출채권을 수탁은행인 하나은행의 별도계좌에 예치한 뒤 4000억원어치 3년6개월 만기 ABL 및 ABCP 발행을 하는 구조다. 수탁은행은 해당 기초자산에서 나오는 현금을 우선 ABL 및 ABCP 투자자에 원리금을 상환하기 위한 재원으로 쌓아두고 남은 금액을 현대중공업에 돌려주기로 돼 있다. ABL과 ABCP로 각각 얼마씩 조달할 지는 결정되지 않았다. 다만 일정 기간마다 차환을 해야 하는 ABCP보다는 만기 때까지 유동성 문제를 우려하지 않아도 되는 ABL 비중을 키울 것이란 예상이 많다. 금리는 3개월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에 2.4%포인트를 가산한 수준이다. 이날 기준으로 추산하면 연 3.78%로 현대중공업 3년 만기 채권금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