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벤처투자, 1차 정시 출자에 예산 90% 투입한다
모태펀드 운용기관인 한국벤처투자가 9000억원 규모의 2020년 1차 정기 출자사업에 나선다. 올해 배정된 예산 대부분을 1차 출자에 투입해 민간 벤처캐피탈(VC)들의 펀드 결성을 돕는다는 취지다. 17일 한국벤처투자는 올해 1차 정시 출자사업을 통해 1조 8700억원 규모의 벤처펀드 결성에 나선다고 밝혔다. 한국벤처투자가 출자하는 금액은 9000억원으로, 창업투자조합, 한국벤처투자조합(KVF), 개인투자조합, 신기술사업투자조합, 경영참여형사모집합투자기구 등이 신청 대상이다. 문화나 예술 분야에 투자하는 정책펀드에도 2930억원을 출자해 1차 정시 출자에서만 1조 1930억원을 출자한다. 올해 모태펀드 출자규모인 1조 2975억원의 90% 가량을 1차 정시 출자에 집중하는 셈이다.한국벤처투자는 총 9000억원의 출자금 가운데 5200억원을 창업 단계 기업에 출자한다. 일반적인 창업 초기 기업(2500억원)을 비롯해 기술지주(180억원), 소셜임팩트(200억원), 소재·부품·장비(600억원) 등 특성화된 분야의 창업 단계 기업들을 지원하는 다양한 펀드를 만들 예정이다. 창업 초기 비즈니스 모델 검증 단계를 마치고 성장 단계에 들어선 기업의 성장과 인수합병(M&A)에 투자하는 도약 단계엔 3800억원 가량을 출자한다.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스타트업인 유니콘 기업을 육성하기&nb
-
[마켓인사이트] 이영민 한국벤처투자대표 "대형 '유니콘 육성 펀드' 2~3개 조성"
▶마켓인사이트 1월 13일 오후 2시26분“올해는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분야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을 지원하고 유니콘 기업(기업 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사)을 육성하는 데 초점을 맞출 생각입니다.”모태펀드를 운용하는 정부 기관인 한국벤처투자 이영민 대표(사진)는 13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경제 발전에는 필요하지만 민간에만 맡겨 두면 취약한 부분을 메꿔주는 것이 한국벤처투자의 역할”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표는 알바트로스인베스트먼트, 코웰창업투자 등 벤처캐피털(VC) 대표와 서울대 벤처경영기업가센터 산학협력교수 등을 거쳐 작년 9월부터 한국벤처투자를 이끌고 있다.한국벤처투자는 올해 역대 최대인 8000억원의 예산을 배정받았다. 올해 모태펀드의 벤처투자 자금 공급이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이 대표는 “당초 정부안 1조원에 비해 다소 깎였지만 정부가 벤처투자를 지원한다는 시그널(신호)을 민간에 보내는 데 충분한 규모”라며 “올해 한국벤처투자는 시장 상황을 봐 가며 작년(약 1조원)보다 10~30% 늘어난 수준에서 자금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했다.올해 역점을 둘 출자 사업에 대해서는 스타트업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이른바 ‘스케일업(scale-up)’ 투자를 우선 꼽았다. 이 대표는 “운용사 두세 곳이 모태펀드 출자금과 민간 자금을 합쳐 각각 수천억원 규모의 대형 스케일업 펀드를 조성하도록 지원하겠다”며 “이를 통해 어느 정도 비즈니스 모델이 검증된 국내 벤처기업이 유니콘 기업으로 도약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할 것&rdq
-
“유니콘을 키우는 것은 시장의 몫...선구안 가진 운용사 팍팍 밀어주겠다” 이영민 한국벤처투자 대표 인터뷰
≪이 기사는 01월13일(14:2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2019년 국내 벤처투자 규모는 사상 처음으로 4조원을 넘겼다. 뜨거워진 투자 열기에 지난 한 해에만 야놀자 위메프 무신사 등 5개 기업이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인 스타트업을 의미하는 ‘유니콘’ 반열에 올랐다. 새 해를 맞아 벤처업계의 숙원사업이었던 ‘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벤처투자촉진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2000년대 벤처붐에 이어 20년만에 ‘제2벤처붐’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모태펀드를 운용하는 정부 기관인 한국벤처투자는 올해 벤처투자가 급증하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했다. 한국벤처투자는 유망 스타트업에 직접 투자할 VC를 선발해 자금을 출자한다. 올해 한국벤처투자엔 역대 최대인 8000억원의 예산이 배정됐다. 벤처투자촉진법 통과로 한국벤처투자는 법으로 그 지위가 보장된 법정기관으로 거듭났다.지난 9월부터 한국벤처투자를 이끌고 있는 이영민 대표는 20여년간 유수의 벤처캐피탈을 이끌며 국내 벤처투자시장을 선도해온 인물이다. 이 대표는 ”한국 경제 발전에 필요하지만 민간 투자가 취약한 부분을 메꿔주는 것이 한국벤처
-
[마켓인사이트]VC, PEF 투자 확대 바람‥스톤브릿지벤처스도 1265억 규모 첫 PEF 펀드 결성
≪이 기사는 09월20일(11:3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내 벤처캐피탈(VC) 스톤브릿지벤처스가 1265억원 규모의 사모펀드(PEF)를 처음으로 결성한다. 스톤브릿지벤처스는 PEF 펀드를 통해 투자 규모를 키우고 투자영역을 넓혀간다는 계획이다. 스톤브릿지벤처스는 20일 IBK기업은행과 공동으로 1265억원 규모의 ‘IBK-스톤브릿지 혁신성장 PEF’를 결성하기로 했다. 펀드에는 모태펀드를 운영하는 한국벤처투자가 360억원을 출자해 앵커 투자자로(LP)로 참여하고, IBK기업은행이 506억원, 스톤브릿지벤처스가 50억원을 출자한다. 이밖에 캐피탈사, 증권사, 은행 등 다수의 민간 기업들이 출자에 참여키로 했다. 이번 펀드는 스톤브릿지벤처스가 결성한 펀드 중 최대 규모다. 스톤브릿지벤처스는 이번 펀드를 통해 핵심기술력을 갖춘 혁신기업 위주로 투자할 예정이다. 4차 산업혁명 플랫폼 및 인프라 기술인 ICT 융‧복합, 바이오헬스케어, 핀테크, 스마트팩토리 분야 기업이 주요 투자 대상이다. 회사 관계자는 “기존에는 초기 기업 위주로 투자가 진행됐다면, 이제는 기업공개 직전 투자(프리 IPO단계) 등 투자 범위를 확대하고 보다 공격적으로 투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스톤브릿지벤처스는 PEF 부문 진출을 위해 지난해 회사 내 ‘그로스(growth)’팀을 꾸려 1년여간 준비해왔다. 이환영 이사가 팀을 이끈다. 이 이사는 아주캐피탈, IBK기업은행 투자금융부, 프리미어파트너스 등을 거쳐 지난해 스톤브릿지벤처스에 합류했다. 이번 펀드 결성으로 스톤브릿지벤처스의 운용자산(AUM)은 5108억원에 달한다. 최근 VC업계에선 대형 VC를 중심으로 PEF
-
[마켓인사이트]한국벤처투자, 'VC 출신' 이영민 전 서울대 교수 신임 대표로 선임
≪이 기사는 09월04일(13:5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이영민(사진) 전 서울대 벤처경영기업가센터 산학협력교수가 한국벤처투자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됐다.한국벤처투자는 3일 주주총회를 열고 이영민 전 교수를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임기는 3년이다. 이 대표이사는 벤처캐피털(VC) 업계에서 20여년 이상 몸담으며 벤처 투자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다. 1965년생으로 서울대 경영학 학사, 포항공대 산업공학 석사, 상명대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1994년 VC 업계에 처음 진출했다.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와 코웰창업투자를 거쳐 2008년 알바트로스인베스트먼트 창립 멤버로 대표이사를 지냈다. 2015년부터 최근까지 서울대 벤처경영기업가센터에서 산학협력교수로 활동했다. 한국벤처투자는 이 대표 선임 배경에 대해 "벤처투자에 대한 폭넓은 실무경험과 심도 있는 학문적 소양을 바탕으로 한국벤처투자와 모태펀드를 이끌 적임자로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VC업계 출신이 벤처투자 대표로 선임된 것은 KTB네트워크 출신인 김형기 전 사장 이후 두번째다. 이 대표는 모태펀드 운용을 통한 벤처펀드 조성 확대, 창업초기기업 투자 활성화, 벤처생태계의 글로벌화 등 혁신창업 생태계를 위한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벤처캐피털 '투자 족쇄' 대폭 풀려
▶마켓인사이트 12월18일 오후 4시30분국내 벤처캐피털(VC) 운용사인 A사는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B사의 창업 자금을 지원했다. 그 자금으로 기술 개발을 끝낸 B사는 1년 뒤 시제품 생산을 위한 추가 투자가 필요했다. B사의 성장을 확신한 A사 심사역들은 후속 투자를 추진했지만 실패했다. 후속 투자를 하려면 펀드 출자자 총회를 열어 3분의 2 이상 동의를 받아야 하는 규약 때문이었다. 연기금 등 여러 출자자가 각자 내부적으로 투자 타당성을 검토하는 데 두 달 넘는 시간이 걸렸다. 그 사이 투자 기회는 의사결정이 빠른 해외 VC에 넘어갔다.앞으로는 국내 VC들도 더 빠르고 쉽게 후속 투자를 할 수 있게 됐다. 모태펀드를 운용하는 국내 최대 VC 출자기관 한국벤처투자가 운용사의 투자 자율성을 대폭 확대하는 내용의 신규약을 제정했기 때문이다. 한국벤처투자는 이번 규약을 2020년까지 20개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스타트업)을 키우는 초석으로 삼겠다는 계획이다.신규약에 따르면 한국벤처투자는 한 회사에 투자하는 금액을 펀드 설정액의 20% 이내로 제한하는 ‘동일기업 투자한도’를 없애기로 했다. 기존에는 1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면 한 회사에 20억원까지만 투자할 수 있었다. 이미 투자한 기업에 후속 투자를 진행할 때에는 출자자 3분의 2 이상 동의를 받아야 하는 규정도 폐지키로 했다.VC업계 관계자는 “쿠팡, 비바리퍼블리카(토스) 등은 해외 VC로부터 몇 차례의 추가 투자를 받아 유니콘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며 “국내 VC들도 적극적인 후속 투자를 통해 더 많은 유니콘을 키워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3년 혹은 4년으로 제한된 펀드 투자기한도 모두 없애기로
![[마켓인사이트] 이영민 한국벤처투자대표 "대형 '유니콘 육성 펀드' 2~3개 조성"](https://img.hankyung.com/photo/202001/AA.21425957.3.jpg)

![[마켓인사이트]한국벤처투자, 'VC 출신' 이영민 전 서울대 교수 신임 대표로 선임](https://img.hankyung.com/photo/201909/01.20434609.3.jpg)
![[마켓인사이트] 벤처캐피털 '투자 족쇄' 대폭 풀려](https://img.hankyung.com/photo/201812/AA.18516711.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