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독] 편의점 4위 한국미니스톱 인수전… '유통 라이벌' 롯데-신세계 맞붙는다
▶마켓인사이트 9월18일 오후 4시20분유통업계 맞수인 신세계와 롯데가 국내 4위 편의점 한국미니스톱 인수를 놓고 맞붙었다. 편의점 시장 3위를 지키려는 롯데(세븐일레븐)와 이를 탈환하려는 신세계(이마트24)의 대결 구도로 한국미니스톱 인수전이 전개될 전망이다.1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한국미니스톱의 대주주인 일본 이온(AEON)과 매각주관사인 노무라증권이 이날 실시한 매각 예비입찰에 신세계, 롯데 등 복수의 후보가 참여한 것으로 파악됐다. 매각 대상은 이온이 보유한 한국미니스톱 지분 76.06%와 국내 식품업체 대상그룹이 보유한 지분 20% 등 한국미니스톱의 지분 전량이다.한국미니스톱의 지난해 매출은 1조1852억원으로 국내 편의점업계 ‘빅3’인 GS리테일(편의점 매출 6조2780억원) BGF리테일(5조5850억원) 코리아세븐(3조6986억원)에 이어 4위다. 1990년 이온과 대상이 손잡고 국내 편의점 시장에 뛰어든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보였지만 2016년을 기점으로 가맹점 지원비 등이 늘어나며 영업이익이 급격히 줄었다. 그동안 이온은 무수히 제기된 매각설을 꾸준히 부인해왔지만 지난해 영업이익이 26억원까지 줄어드는 등 수익성이 악화되자 결국 매각을 결심했다.가장 유력한 인수후보는 최근 편의점 사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신세계그룹이 꼽힌다. 신세계는 2013년 편의점업체 ‘위드미’를 인수하며 편의점 시장에 뛰어든 뒤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오고 있다. 2017년 위드미 브랜드를 이마트24로 바꿨다. 위드미 인수 당시 89개에 불과했던 매장 수는 지난해 말 기준 2652개까지 늘어났다. 편의점업계에서는 신세계가 2500여 개 매장을 보유한 한국미니스톱을 인수할 경우 단박에 5000
-
CU편의점 현금지급기 사업, 나이스그룹이 인수
이 기사는 06월02일(17:5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국내 최대 편의점 체인 CU에서 현금지급기(CD) 사업을 하는 BGF핀링크가 나이스그룹에 팔렸다. 이에 따라 나이스그룹은 국내 현금지급기(CD) 및 자동입출금기(ATM) 시장에서 노틸러스 효성 등 경쟁자를 제치고 지배적인 1위 사업자로 올라서게 됐다.CU 편의점을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자회사 BGF핀링크의 지분 50%를 나이스 현금지급기를 운용하는 나이스그룹 자회사 한국전자금융에 385억원에 매각키로 했다고 2일 공시했다. BGF리테일은 2년 후에 나머지 지분 50%도 한국전자금융에 매도할 수 있는 풋옵션을 확보했다. 매각 대금의 지급 시기만 2년의 차이를 뒀을 뿐 사실상 지분 100%를 매각한 셈이다.BGF리테일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편의점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기 위해 알짜 계열사인 BGF핀링크를 매각키로 하고 제한적 경쟁입찰을 진행해왔다. 입찰에는 한국전자금융 외에 노틸러스효성과 스위스계 대형 사모펀드(PEF)도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IB 업계 관계자는 "한국전자금융이 가장 높은 가격을 제시한 것은 아니었지만 거래종결의 확실성과 관련한 매각측의 요구를 대부분 받아들여 다른 인수 후보들을 제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BGF리테일은 지난해 말 100% 자회사인 BGF네트웍스의 금융자동화기기 관리 사업부문을 물적 분할해 BGF핀링크를 설립했다. 이 회사가 운영하는 현금지급기(CD)와 현금입출금기(ATM)의 70%가 CU에 배치되어 있다. 편의점에 배치된 기계 수는 1만대가 넘어 업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다만 매출액 기준으로는 은행 ATM 위탁운영 사업도 하는
-
편의점CU 현금지급기 운영 BGF핀링크 매각
이 기사는 04월21일(04:1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국내 최대 편의점 체인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이 편의점 내 현금지급기(CD) 사업을 하는 자회사 BGF핀링크를 매각한다. 현금흐름은 안정적이지만 성장이 정체된 현금지급기 사업을 접고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편의점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기 위해서다. 나이스 현금지급기를 운영하는 한국전자금융과 노틸러스효성 등 5~6곳의 전략적·재무적 투자자가 인수전에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2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BGF리테일은 BGF핀링크 매각을 위한 예비 입찰 제안서를 21일까지 접수한다. 매각주관사인 대신증권이 비공개입찰로 진행하고 있는 이번 예비 입찰에는 노틸러스효성, 한국전자금융 외에 스위스계 대형 사모펀드(PEF)와 토종 사모펀드 한 곳도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밖에 국내 유관 업체 한 곳도 인수전에 참여했다. 시장에서는 BGF핀링크의 매각가로 약 1000억원 정도가 거론되고 있다.BGF리테일은 지난해 말 100% 자회사인 BGF네트웍스의 금융자동화기기 관리 사업부문을 물적 분할해 BGF핀링크를 설립했다. 이 회사가 운영하는 현금지급기(CD)와 현금입출금기(ATM)의 70%가 CU에 배치되어 있다. 편의점에 배치된 기계 수는 1만대가 넘어 업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다만 매출액 기준으로는 은행 ATM 위탁운영 사업도 하는 한국전자금융과 노틸러스효성에 이어 3위에 머물고 있다.BGF리테일은 매년 150억원 안팎의 상각전 영업이익(EBITDA)을 꾸준히 내고 있다. 다만 매출액은 460억원대에서 더 이상 성장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IB업계 관계자는 “CU 편의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