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트 코로나' 직격탄…전자상거래 업체들 휘청
전자상거래(e커머스)주가 휘청이고 있다. 세계 각국이 코로나19 방역 대책을 해제하자 사람들이 언택트 소비 대신 ‘콘택트’ 소비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미 중앙은행(Fed)의 고강도 긴축정책으로 뉴욕증시에서 성장주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된 영향도 있다.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 주가는 올 들어 지난 5일까지 31.7% 급락했다. 3000달러대를 넘나들었던 주가는 지난달 28일 1분기 실적을 공개한 뒤 2300달러대까지 내려앉았다.e커머스 플랫폼 이베이와 수공예 판매 플랫폼 엣시 등의 주가도 힘을 못 쓰고 있다. 올 들어 이베이는 20% 이상, 엣시는 50% 이상 급락했다. 전자상거래 및 소프트웨어 기업 쇼피파이 주가는 올해 70% 이상 떨어졌다. 쿠팡 주가는 11달러대로 올 3월 뉴욕증권거래소 상장 당시 공모가(35달러)의 3분의 1 수준이다.불안한 뉴욕증시에서 이들의 낙폭이 더 큰 이유는 부진한 실적 전망 때문이다. e커머스들은 2분기 ‘포스트 코로나’ 탓에 매출이 부진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베이는 지난 4일 1분기 매출이 24억8300만달러, 주당순이익은 1.05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각각 24억6000만달러, 1.03달러였던 시장 추정치를 웃돌았다. 그러나 2분기 매출 가이던스는 전년 대비 7~9% 감소한 23억5000만~24억달러로 제시했다. 월가 시장 전망치(24억5000만달러)도 밑돌았다. 아마존은 2분기 10억달러의 영업적자를 낼 수도 있다고 밝혔다.수공예 판매 플랫폼 엣시 역시 2분기 매출 가이던스를 5억4000만~5억9000만달러로 제시했다. 월가 전망치(6억2780만달러)보다 최대 14% 낮은 수치다. 조시 실버맨 엣시 최고경영자(CEO)는 “코로나19 특수로 인한 기저효과 때문”이라고 설명했다.5일 마스터
-
[마켓인사이트]중장기자금 조달 나선 롯데쇼핑…회사채 2000억원 발행
≪이 기사는 08월13일(09:5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롯데쇼핑이 또 한 번 중장기 자금 조달에 나선다. 유통업 투자심리가 가라앉은 상황에서 대규모 투자수요를 확보할지 주목된다.13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롯데쇼핑은 차입금 상환재원 마련을 위해 오는 29일 2000억원 규모 회사채를 공모로 발행할 계획이다. 채권 만기는 짧게는 5년, 길게는 10년 수준으로 검토하고 있다. 조만간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수요예측(사전 청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삼성증권, 신한금융투자, 한국투자증권, KB증권이 발행 주관을 맡고 있다.지난 1월에 이어 만기 5년 이상의 중장기 자금 조달을 추진한다. 롯데쇼핑은 7개월 전 3·5·10년 만기로 총 4000억원어치 채권을 발행했다. 당시 청약경쟁률이 6대1에 달할 정도로 높은 인기를 누렸다. 신규 운용자금을 받은 기관들이 비교적 금리가 높으면서도 위험이 작은 우량등급 회사채를 쓸어담고 있던 시기여서 무난히 흥행에 성공했다. 채권시장에선 유통업체들의 실적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서도 기관들이 이전처럼 적극적으로 롯데쇼핑 회사채에 투자할지 주목하고 있다. 롯데쇼핑의 올 상반기 영업이익은 296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 감소했다. 내수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온라인 유통시장을 둘러싼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면서 쉽지 않은 영업환경에 내몰렸다는 평가다. 국내 대형마트 1위인 이마트의 경우 지난 2분기 299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창사 첫 분기 적자를 냈다. 국내 신용평가사들은 실적 악화를 반영해 지난 5월 롯데쇼핑 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한 단계 낮췄다. IB업계 관계자는 &ldq
-
[마켓인사이트]금융위, 긴급 시장전문가 간담회..'컨틴전시 플랜' 꺼낼까
금융위원회가 6일 긴급 시장전문가 간담회를 연다. 증시 상황이 예상보다 심각하다고 판단, 투자 심리를 안정시키기 위한 비상대책 가동여부를 점검하기 위해서다. 이번 회의에서 과거 증시 패닉 당시 가동됐던 증시안정기금 투입 등 ‘컨틴전시 플랜’을 언급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5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6일 오전 10시 주요 증권사와 자산운용사의 전문가 6~7명을 소집해 '증권시장 상황 점검을 위한 금융투자업계 간담회'를 연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시장이 급변동하면서 투자 심리가 급격히 얼어붙고 있다”며 “시장에 가장 근접해있는 전문가들로부터 현재 상황을 직접 점검하고 정부의 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자리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간담회 주재는 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이 하게 될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오전 손 부위원장은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조치와 관련 금융상황 점검회의에서 “미리 예단해 불안해 할 필요는 없을 것”이라며 시장 심리 달래기에 나섰다. 그러나 코스피와 코스닥지수가 연중 최저치로 폭락하는 등 증시가 패닉에 빠지자 곧장 시장전문가&
-
넷마블게임즈 임원 장내매도로 스톡옵션 차익 실현
이 기사는 06월09일(17:0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권영식 대표 등 넷마블게임즈 임직원들이 스톡옵션을 행사해 취득한 주식을 장내매도해 차익을 얻었다. 9일 넷마블게임즈는 권 대표 등 임직원들이 4만7778주를 매도했다고 공시했다. 권 대표는 8~9일 이틀간 1만8000주를 팔아 약 29억원을 현금화했다. 권 대표의 평균 매도가격은 공모가(15만7000원)보다 2% 높은 16만167원이다. 스톡옵션 행사가격(2만5188원)을 감안하면 약 24억원의 차익을 올렸다.이승원 부사장은 1만1849주(주당 평균 매도가 14만8618원), 백영훈 부사장은 1만1690주(14만8878원)를 장내매도했다. 이들은 14억원대의 차익을 실현했다.임직원들의 매도는 지난달 12일 회사의 상장 전부터 어느 정도 예견됐던 일이다. 공모가가 스톡옵션 행사가격을 크게 웃돌아 상장 직후 물량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회사가 공식적으로 밝힌 스톡옵션 행사물량은 27만6242주다. 이는 행사 가능물량의 90% 수준이다.주요 경영진이 상장 한 달이 채 안 된 시점에서 주식을 팔면서 넷마블게임즈에 대한 투자심리가 악화하는 계기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기도 한다. 오너나 주요 임원의 보유 주식 매도에 대해 시장에서는 주가 상승동력이 떨어졌다는 '신호'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넷마블게임즈 측은 "스톡옵션 행사를 위해 받은 대출금 상환 및 소득세 납입을 위한 자금 마련 차원에서 주식을 매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넷마블게임즈는 전날보다 4500원(2.93%) 하락한 14만9000원으로 마감했다. 공모가보다 5.1% 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