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마켓인사이트]정치와 행정의 무능이 낳은 성동조선 매각 실패

    ≪이 기사는 06월14일(14:1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성동조선 거래는 안 될 수 밖에 없었다."(구조조정 전문 변호사 A)세 차례에 걸쳐 이뤄진 성동조선해양(성동조선) 매각이 결국 무산됐다. 사실상 마지막 매각 시도가 무산되면서 한 때 1만명의 직간접 고용효과를 창출하며 통영 경제를 뒷받침했던 성동조선은 파산 기로에 섰다. 지난해 3월 정부가 산업경쟁력강화 관계 장관회의(산경장 회의)를 열어 성동조선의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결정한 지 1년여가 지난 지금 시장이 내린 결론이다.인수합병(M&A)업계에선 대체로 ’예상했던 결과‘란 반응이 나온다. 올 상반기 다른 중형사들의 수주가 4척에 불과할 정도로 침체된 중형조선시장 환경에서 이미 지난해부터 수주가 끊긴 성동조선을 수천억원을 들여 인수할 투자자를 찾긴 어려울 것이란 시각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당수 전문가들은 성동조선의 매각 실패를 ’인재(人災)’로 보고 있다. 시장 논리가 아닌 노동조합의 입김에 휘둘린 정치권과 중형조선업에 대한 뚜렷한 비전 없이 매각을 추진한 정부의 무능이 성동조선 매각 실패를 낳았다는 분석이다. 성동조선 매각 무산 원인은 크게 △인력 구조조정 실패

  • 성동조선해양 매각 방식 바뀔까...법원·매각주관사 고민

    성동조선해양 매각 방식 바뀔까...법원·매각주관사 고민

    ≪이 기사는 02월18일(14:4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두 번째 매각을 시도 중인 성동조선해양이 기로에 섰다. 인수의사를 밝혔던 세 곳의 투자자 중 한 곳만이 유효한 제안을 내놓으면서 법원은 향후 매각 방식을 고민 중이다.18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성동조선의 회생절차를 진행 중인 창원지법과 매각주관사 삼일회계법인은 성동조선해양 매각 방식을 재검토 중이다. 당초 지난 달 18일 예정됐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일정이 인수의향서(LOI) 보완 등을 이유로 한 달 가량 미뤄지면서 사실상 기존의 매각 절차 진행이 어려워졌다는 판단에서다. 법원 측은 22일까지 LOI를 보완해 제출할 것으로 알려진 한 투자자에게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부여할지, 기존의 입찰 절차를 중단하고 예비 인수자를 선정한 뒤 새로운 공개입찰을 진행하는 스토킹호스 매각방식을 채택할 것인지를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법원은 22일 이와 관련한 의사결정을 확정지을 예정이다. 한 조선업 전문가는 “인수 대상이나 매각 금액 측면에서 의미 있는 제안은 낸 곳이 한 곳 뿐이라 사실상 예비 인수후보는 정해진 상황으로 알고 있다”며 “기존 매각 절차 중단 여부와 관계 없이 스토킹호스 등의 방식으로 매각 절차는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지난 달 17일 진행된 성동조선 예비입찰엔 총 3곳의 투자자가 LOI를 제출했다. 하지만 법원은 회생기업 인수합병(M&A)의 최저매각가인 청산가치(3730억원, 통매각시)보장의 원칙 준수 여부, 인수자금 증빙 여부 등 자료 제출이 미비하다는 이유로 결정을 한 달 미뤘다. IB업계에 따르면 당초 LOI를 제

  • 위기의 한국 조선…2위 자리도 뺏길 판

    위기의 한국 조선…2위 자리도 뺏길 판

    한국이 조선 수주잔량 3위 국가로 밀릴 위기에 놓였다. 1981년 스페인을 앞지르고 2위에 올라선 이후 35년 만이다. 조선업계에서는 올해 일본이 수주잔량 기준 한국을 앞지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5일 영국 조선·해운 분석기관인 클락슨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한국 조선 수주잔량은 2387만CGT(표준환산톤수)로, 중국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3위 일본(2213만CGT)보다 174만CGT 많은 수준이다. 6월 말까지만 해도 한국과 일본의 수주잔량은 303만CGT 차이가 났지만, 한 달 만에 차이가 절반 정도로 줄어들었다.이 추세가 이어지면 9월 말이나 10월 말 한·일 수주잔량 순위가 뒤집힐 가능성이 높다. 한국과 일본이 앞으로 매달 같은 규모의 수주를 따낸다고 하더라도 12월께는 순위가 뒤집힐 것이라고 업계 관계자는 분석했다.한국이 수주잔량 기준에서도 일본에 밀리게 된 것은 신규 수주량 감소와 생산설비 과잉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국은 올 들어 85만CGT 규모의 선박을 수주했다. 중국(273만CGT)의 30% 수준에 그쳤고, 일본(95만CGT)에도 밀렸다. 반면 올해 월평균 인도량(생산량)은 한국(105만CGT), 중국(90만CGT), 일본(61만CGT) 순이었다.궁극적으로는 조선산업 구조조정이 지지부진한 결과라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는 지난 6월8일 산업·기업 구조조정 추진 방안을 발표한 이후 조선 구조조정에 대해 침묵하고 있다. 이달 말 결과가 나오는 컨설팅 결과를 지켜보겠다는 설명이다. 대형 조선사 관계자는 “선주들이 ‘한국 조선산업 구조조정이 완료될 때까지 발주를 미루겠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며 “구조조정이 보다 빨리 마무리됐으면 수주량은 늘었을 것이고, 설비 감축에 따라 인도량